세균·플랑크톤이 독성물질 먹어 수질 정화
갑오징어 내륙 양식 성공…수온 조절 가능
[태안(충남)=뉴스핌] 최온정 기자 = "조심해서 발을 떼셔야 해요. 수조 바닥에 새우가 워낙 많아서 자칫하면 밟을 수도 있어요"(태안양식연구센터 관계자)
지난 6일 충남 태안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태안양식연구센터'. 서해의 수산자원을 관리하고 특산품종의 양식기술을 개발하는 이곳에서는 국내 최초로 지하수와 바이오플락(세균·플랑크톤 집합체)을 활용해 양식에 성공한 흰다리새우(바다새우)의 수확행사가 열렸다. 수개월간 키운 시퍼런 흰다리새우를 그물로 잡아 들어올리는 최완현 국립수산과학원장과 연구진의 얼굴에는 환한 미소가 번졌다.
◆ 2016년 알제리서 저염분 새우양식 성공…"수도권 양식도 가능"
흰다리새우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태평양 동부 연안의 열대해역에 자라는 아열대산 대형새우다. 외형은 우리나라 토속종인 대하와 매우 유사하지만 이마의 뿔이 대하에 비해 짧다. 전 세계 양식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주요 품종이다.
[세종=뉴스핌] 최온정 기자 = 최완현 국립수산과학원장이 6일 서해수산연구소 태안양식연구센터에 위치한 흰다리새우 양식장에서 다 자란 새우를 그물망으로 건져올리고 있다. [사진=국립수산과학원] 2020.11.08 onjunge02@newspim.com |
우리나라에서는 새우 소비량이 연간 8만여 톤(t)에 달하지만 생산량은 7000여톤에 불과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흰다리새우의 경우 전국 606개소에서 양식되고 있으나 이중 513곳이 해면의 일부를 제방으로 막고 수문을 만든 '축제식 양식장'이다. 축제식 양식장은 해면을 활용해야하기 때문에 새롭게 양식장을 만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수산과학원에서는 지난 2003년부터 해수가 아닌 저염수를 이용해 흰다리새우를 양식할 수 있는 양식방법을 개발해 왔다. 지난 2016년에는 알제리 사하라사막에서 저염분 지하수를 이용한 바다새우 대량생산에 성공하면서 국내 내륙지역의 지하수를 이용한 새우양식 관련 기술자문 요청도 증가하고 있다.
수산과학원이 흰다리새우의 양식에 성공한 비결은 미생물 집합체인 '바이오플락'이었다. 저염분 지하수에 흰다리새우와 바이오플락을 함께 넣으면 양식 도중에 발생하는 독성물질을 이 미생물이 먹어치워 새로 지하수를 넣지 않아도 사육수가 정화된다. 성장한 바이오플락은 흰다리새우의 먹이가 되기 때문에 새우의 성장에도 도움이 된다.
박광재 서해수산연구소 양식산업과장은 "사육수 교환율이 낮아 양식장 입지에 제약이 없어 유통이 원활한 수도권 인근에서도 양식이 가능하다"며 "육상 양식으로 자연재해로부터 영향이 적고 안정적인 사육환경으로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늘고 양식기간도 단축된다"고 설명했다.
◆ 갑오징어 초기먹이 밝혔다…축제식·육상호지 양식 잇따라 성공
이날 흰다리새우 행사장의 한 켠에는 양식 갑오징어 시식회도 열렸다. 갑오징어는 일반 오징어에 비해 부가가치가 높은 고급어종으로, 지난해 태안양식연구센터에서 양식에 성공한 바 있다. 올해는 경제성을 더 끌어올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세종=뉴스핌] 최온정 기자 = 국립수산과학원이 6일 서해연구소 태안양식센터에서 육상 호지에서 양식한 갑오징어를 공개했다. [사진=국립수산과학원] 2020.11.08 onjunge02@newspim.com |
우리나라에서는 연안 환경의 변화와 남획으로 갑오징어 생산량이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지난 1983년 5만9487톤을 기점으로 생산량이 꾸준히 감소했으며, 1991년에는 1만톤 이하(8149톤)로 줄었다. 2010년대에는 4000톤 전후로 어획되고 있다.
국내에서 갑오징어를 양식하려는 시도가 여러번 있었으나 번번이 실패했다. 초기 상태의 갑오징어를 키우는 데 필요한 먹이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에서 갑오징어의 초기먹이를 포함한 다양한 습성을 연구한 끝에 지난해 축제식 양식장에서 양식 시험에 성공했다.
올해는 인위적인 환경조절이 가능한 육상 호지를 활용한 갑오징어 양식도 성공했다. 육상 호지는 소규모로도 조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보온시설을 설치하면 양식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어 갑오징어의 주수를 늘릴수도 있다. 특히 올해처럼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해 저염수가 많이 유입된 경우에는 축제식보다는 염분 조절이 가능한 육상 호지가 더 유리하다.
최완현 원장은 "육상호지를 활용한 갑오징어 양식의 경우 소규모로 이뤄지기 때문에 생산량을 늘릴 수 있도록 인위적인 먹이환경을 조성하는 게 중요하다"며 "실제 양식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지속적으로 보완해 갑오징어 양식이 자리잡고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onjunge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