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민지현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한 기록적인 규모의 미국 장기물 국채 입찰을 앞둔 가운데 뉴욕증시 다우지수가 5개월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장기 국채 수익률이 상승했다.
10일(현지시간)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1.5bp 상승한 0.583%를 나타냈고 30년물 수익률은 2bp 오른 1.256%에 거래됐다. 2년물은 0.4bp 하락한 0.133%를 기록했다.
시장을 크게 움직일 만한 재료가 부재한 상황에서 공급 이슈가 채권 시장에 압력을 가했다.
미 재무부는 코로나19 경제 피해를 지원하기 위해 국채 발행 물량을 최고 수준으로 늘렸다. 특히 장기물 위주로 공급을 확대한다. 이번주 3년에서 30년 사이의 만기에 걸쳐 1120억달러 규모의 국채 입찰이 예정됐다.
![]() |
코로나19 사태로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두 달만에 다시 문을 연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트레이더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근무하고 있다.[사진=로이터 뉴스핌] |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6월 구인 및 이직(JOLTs)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미국 구인 건수가 590만건으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다만 팬데믹 이전 수준인 700만건에는 미치지 못했다.
BMO캐피털마켓의 존 힐 금리 전략가는 "새로운 촉매제가 없는 상황에서 커브는 향후 72시간 동안 1120억달러의 채권 공급을 아두고 가팔라졌다"고 전했다.
샌프란시스코 소재 액션 이코노믹스의 킴 루퍼트 이사는 로이터통신과 인터뷰에서 "내일부터 이번달 기록적인 자금 조달이 있고 주식이 꽤 확실한 강세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다만 국채 수익률 상승은 경제 회복세 둔화 우려와 미국과 중국의 긴장 고조 등으로 제한됐다.
루퍼트 이사는 "경제 회복과 바이러스, 정치적,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 많은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주당 400달러의 실업 급여 지급을 포함한 경기 부양 행정 명령에 독자적으로 서명했다. 연방정부가 지급하던 주당 600달러의 실업 급여가 7월 말 종료된 가운데 미 의회와 백악관이 합의를 이루지 못하자 예고했던 대로 독자 행동에 나섰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독자적 행동이 법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움직임은 미 의회가 협상 테이블로 복귀하는 데 어느정도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평가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백악관과 의회가 이번주 조속히 합의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지만 민주당원들은 양당이 지난주 금요일 협상 타결이 무산된 이후 아무 논의가 없었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의 관계도 악화됐다. 미국은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등 중국과 홍콩 관료 11명에 제재를 가했고, 중국도 이에 맞서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 등 미국의 대표적 대중 강경파들에 제재를 조치를 발표하며 보복했다.
jihyeon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