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숙종대 남경 설치 의미 분석한 논문 등 담은 제105호 펴내
[서울=뉴스핌] 김세혁 기자 = 서울역사편찬원(원장 이상배)은 고려시대부터 현대 서울의 역사를 다양한 시각에서 다룬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서울과 역사' 제105호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담긴 논문은 총 6편이다. '고려 숙종대 남경 설치와 역사계승의식'(윤경진 경상대 교수)을 비롯해 '전 김희성, 옥류천도로 살펴본 창덕궁 후원 옥류천원의 원형 경관'(정우진 상명대 한중문화정보연구소 연구원), '1917년 창덕궁 대조전 화재와 이왕직의 역할'(이왕무 경기대 교수), '열패한 식민지 문화의 전파-조선총독부박물관의 설립 배경'(오영찬 이화여대 교수), '대한민국 정부 수립기의 뉴스영화에 관한-전진조선보와 전진대한보를 중심으로'(김정아 건국대 박사수료), '자유당 중앙정치훈련원의 개원과 성격 변화'(김진흠 성북문화원 연구원)가 포함됐다.
[사진=서울역사편찬원] |
윤경진 교수는 남경 설치의 의미를 역사계승의식의 관점에서 바라봤다. 고려는 개경과 서경(평양), 동경(경주)을 두고 삼경(三京)을 구성했는데, 이는 삼한일동의 신라의 위상을 공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숙종대 동경을 배제하고 새로 남경을 설치해 상경을 재구성한 의미는 삼한일동의식이 기존의 결합적에서 융합적으로 전환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진흠 연구원은 태화관과 경운동 일대에 자리했던 자유당 중앙정치훈련원의 역사적 의미를 살펴봤다. 자유당 중앙정치훈련원은 당원을 계획적으로 충원하고 체계적으로 훈련, 양성하려던 기관이다. 1953년 3월 개원해 서울 종로 태화관에 자리 잡았지만 당 내외 갈등 속에 곧 문을 닫았고 1955년 9월 서울 종로구 경운동에서 재개원, 1960년까지 약 2만 명의 수훈생을 배출했다. 논문은 이곳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 분석에 집중했다.
책은 서울시청 시민청 지하1층 서울책방에서 구매할 수 있다. 서울역사편찬원 홈페이지를 통해 개별 논문을 내려받거나 열람할 수도 있다.
starzoob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