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일본

속보

더보기

[오늘의 일본 주요 뉴스] 5/12(화)

기사입력 : 2020년05월12일 07:39

최종수정 : 2020년05월12일 07:39

- "높은 의약품 해외 의존도" 일본의 약점으로 부상/닛케이
医療品、海外依存度高く 感染爆発の備えに不安

- 日, 9월 입학 논의 활발...G7 중 4월 입학은 일본 뿐/닛케이
G20、4月入学は日印のみ留学や大学競争力にも影響 米欧・中国などとズレ

- 日 전문가 "실제 감염자 수 10배일지 20배일지 아무도 모른다"/요미우리
実際の感染者数「10倍か15倍か20倍か、誰にも分からない」…専門家会議副座長

- 일본 국내 확진자 1만5968명(크루즈선 제외)/NHK
新型コロナ 国内感染者1万5968人(横浜港のクルーズ船除く)

- 고용조정 조성금 상한 1만5000엔으로...총리 인상 언급/아사히
雇用助成の上限、1万5千円検討 首相、引き上げ言及

- 게이단렌, 기업 사업재개 위해 코로나19방지지침 공표/NHK
企業の本格的事業再開に向け コロナ感染防止指針公表へ 経団連

- 검사장 정년 연장 '정당화'...특례규정, 정치개입 우려/아사히
検事長定年延長「正当化」 特例規定、政治介入の恐れ 検察庁法改正案、問題点は 政府答弁、迷走の末

- 검사장법 개정안, 항의 트위터 확산...자민당 "주내 중의원 통과"/아사히
首相、今国会成立の構え 検察庁法改正案、抗議ツイート急拡大 自民「週内に衆院通過」

- WHO, 한국·우한 신규 확진자에 우려..."대책 지속을"/NHK
WHO 韓国や武漢の新たなコロナ感染に懸念 "対策継続を"

- 코로나19로 택시·미용실 등 수입·고용 불안 확산/NHK
タクシーや理美容など 収入や雇用に不安広がる 新型コロナ影響

- "더 이상은 한계"...도쿄서 영업재개·심야영업하는 음식점들/NHK
「もう限界」都内で営業再開や深夜営業の飲食店も 新型コロナ

- 센카쿠, 중국해경국이 일본 어선을 추적...중국이 일본 비판/NHK
尖閣沖 中国海警局が日本漁船追尾 中国が日本側を批判

- 中, 입국제한 완화 모색...'음성' 조건으로 일본에 타진/닛케이
中国、入国制限緩和探る 日本に打診 「陰性」が条件

- 日정부, 병상 확보는 확실하게 진전...3만개 전망/닛케이
官房長官「病床確保は確実に進展」 3万床にメド

- 도쿄, 코로나로 외국인 인구 대폭 감소...4월 전월비 7000명 이상 줄어/닛케이
外国人、減少幅最大に 都の人口、4月1日時点 前月比7411人減

- 日국민 30% "수입과 고용에 불안"...택시기사는 80%/닛케이
「収入・雇用に不安」3割、厚労省・LINE調査 タクシー運転手は8割

- JOC이사 "올림픽, 명확한 기준 제시를"/아사히
五輪、明確な基準示し決断を JOC理事・山口香さん

- BOJ 4월 회합, 코로나19 영향 심각 전망...물가 하락 우려도/아사히
コロナ影響、厳しい見方 物価押し下げ懸念も 日銀4月会合

- 도쿄, 감염 111명 보고 누락...35명 중증/아사히
都、感染111人報告漏れ 35人の重複も 計76人追加へ 新型コロナ

- 피난소 '3밀' 피하기 위해선...칸막이 도입·개설 늘려야/아사히
避難所、「3密」防ぐには 間仕切り導入・開設増やす

- 확산되는 온라인...농산물 판매·결혼식 등 동영상 배포로 현장감/아사히
広がるオンライン 物産展、生産者の動画で臨場感 結婚式、自宅で挙げ映像を配信

- 미세코시 이세탄, 적자 111억엔..."점포 삭감 피할 수 없다"/아사히
三越伊勢丹、赤字111億円 3月期 社長「店舗削減避けられぬ」

- 미쓰비시중공업 여객기 개발 늦어질듯...미국용 소형기 동결/아사히
旅客機開発、さらに遅れ 三菱重、米向け小型機は凍結 3月期、20年ぶり営業赤字

goldendo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지각대장' 푸틴, 새벽에 평양 지각 도착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19일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났다고 크렘린궁과 러시아 매체 등 외신이 전했다. 크렘린궁 측이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푸틴은 예정보다 늦은 이날 새벽 2시45분께 전용기인 일류신(IL)-96 항공기로 도착했으며, 공항 활주로에서 영접 나온 김정은과 환영 의식을 가졌다. [서울=뉴스핌] 19일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영접 나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포옹하고 있다. 두 사람은 이날 정상회담을 갖는다. [사진=크렘린궁] 2024.06.19 김정은과 푸틴은 환영 행사를 위해 의장대가 도열한 레드카펫을 걸어가면서도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푸틴의 이야기를 통역을 통해 들은 김정은이 고개를 끄덕이는 장면도 드러났다. 두 정상은 푸틴의 전용차량인 러시아산 '아우루스' 차량에 서로 먼저 탈 것을 청하며 한동안 옥신각신 했고 결국 푸틴이 먼저 탑승해 뒷좌석 오른쪽에 앉았다고 현지에서 취재한 매체들은 전했다.  푸틴은 김정은의 안내로 숙소인 금수산영빈관에 묵었다. 지난해 9월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센터에서 만난 이후 9개월 만에 재회한 김정은과 푸틴은 19일 정상회담을 하고 북러 간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에 서명하는 등의 결과를 공동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푸틴의 방북은 지난 2000년 7월 첫 평양 방문에 이어 두 번째로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북한의 대러 무기 제공 등으로 밀착관계를 보여온 북러 정상 간의 논의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yjlee@newspim.com 2024-06-19 06:03
사진
尹 지지율 35.2% 제자리걸음…'동해 석유' 발표 별무신통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상승해 30%대 중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3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0~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5.2%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62.2%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6%다. 지난 조사 대비 긍정평가는 0.1%포인트(p) 상승했고 부정평가는 0.6%p 하락했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27.0%p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26.5% '잘 못함' 72.1%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2.3% '잘 못함' 64.4%였다. 40대는 '잘함' 22.5% '잘 못함' 75.3%, 50대는 '잘함' 32.3% '잘 못함' 66.5%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45.5% '잘 못함' 51.4%였고, 70대 이상에서는 '잘함'이 55.0%로 '잘 못함'(40.1%)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37.0%, '잘 못함'은 60.1%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2.6% '잘 못함' 66.2%, 대전·충청·세종 '잘함' 34.8% '잘 못함' 63.6%, 부산·울산·경남 '잘함' 35.7% '잘 못함' 59.9%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51.9% '잘 못함' 45.6%, 전남·광주·전북 '잘함' 21.9% '잘 못함' 75.1%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8.0% '잘 못함' 54.6%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32.4% '잘 못함' 65.7%, 여성은 '잘함' 38.0% '잘 못함' 58.8%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결과에 대해 "포항 영일만 앞바다의 석유,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 국정브리핑과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로 인한 9·19 군사합의 파기 등의 이슈를 거치면서 지지율 반등을 노릴 수 있었다"며 "그러나 액트지오사에 탐사 분석을 맡긴 배경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고, 육군 훈련병 영결식에 참석하는 대신 여당 워크숍에 가는 모습 등 때문에 민심이 움직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앞으로 큰 이슈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지지율은 떨어지지도, 올라가지도 않을 것 같다"며 "많은 국민이 기대도 하지 않고 그렇다고 아예 버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지지율이 올라가려면 획기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3.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6-13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