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사회 사건·사고

속보

더보기

[코로나19] 거세진 등록금 반환 요구...대학생 "온라인 강의 만족 고작 6.8%"

기사입력 : 2020년04월06일 12:31

최종수정 : 2020년04월06일 13:31

전대넷, 6일 코로나19 대학가 재난 시국선언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코로나19 여파로 직격탄을 맞은 대학생들이 상반기 등록금 반환을 거듭 요구했다.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데다 오프라인 개강이 늦어지면서 수업 부재는 물론 경제적 부담까지 늘었다는 이유 등에서다. 일부 대학들은 차례로 재난 시국선언에 동참할 방침이다.

[서울=뉴스핌] 백인혁 기자 =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가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대학생들은 지금 재난 상황입니다 : 코로나19 대학가 재난시국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는 이날 재난시국선언을 통해 고등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육부가 '교육부 - 대학 - 학생 3자 협의회'를 소집하고, 4월 15일 총선을 앞두고 있는 각 정당들도 대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총선전에 발표할 것을 촉구했다. 2020.04.06 dlsgur9757@newspim.com

26개 대학 총학생회가 참여하는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전대넷)은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코로나19 대학가 재난 시국선언을 했다.

전대넷이 3월 18일부터 31일까지 대학생 626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학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 매우 불만족·불만족이 64.5%(3293명)으로 나타났다. 만족·매우만족은 6.8%(347명)뿐이었다.

교수자와 소통 미비가 53.1%(2725명)로 주요한 온라인 강의 불만족 사례로 꼽혔다. 이 외엔 실험실습 과목 대책 부재 등 계열별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수업 진행 49%(2513명), 서버접속 오류 46.2%(2371명) 등으로 조사됐다.

오프라인 개강 연기로 인한 피해는 수업 부재가 60.9%(3811명)로 가장 높았다. 온라인 대체가 불가한 수업 대안 미비 59.4%(3719명), 불필요한 월세 납부 등 주거 불안 30.7%(1920명) 등도 걱정거리로 나타났다.

전대넷은 정부에 ▲상반기 등록금 반환 ▲원격 강의 대책 마련 ▲대학생 경제 대책 마련 ▲교육부-대학-학생 3자 협의회 소집 등을, 각 정당엔 대학가 코로나19 대책을 촉구했다.

전대넷 소속 26개 대학 총학생회는 7일 오전 11시 성신여대를 시작으로 재난 시국선언을 진행할 계획이다.

임지혜 숙명여자대학교 총학생회장(전대넷 공동 의장)은 "일부 실험실습 수업은 개강되지 않거나 수업이 연기되고 있다"며 "교육당국에 대책 마련을 요구했지만 알맹이 없는 대답만 돌아와 대학생들 분노 더욱 거세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육부는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해선 안 된다고 하고 대학은 교육부 지침에 따라야 한다고 미루면서 서로 책임만 전가하고 있다"며 "현재뿐만 아니라,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재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kmkim@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버핏, 하락장에 옥시덴털 등 주식 더 샀다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이번 주 뉴욕증시 하락 장세 속에서 그동안 꾸준히 매수해 온 옥시덴털 페트롤리엄의 지분을 추가 매수했다. 20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버크셔는 890만 주의 옥시덴털 지분을 4억500만 달러(약 5860억 원)에 매수했다. 이번 지분 인수는 지난 17일과 18일, 19일에 걸쳐 이뤄졌다. 이번 매수로 버크셔가 보유한 옥시덴털의 지분은 28%로 확대했다. 버핏 회장은 하락장에 주식을 저렴하게 산 것으로 보인다. 옥시덴털의 주가는 이번 달 들어 10% 하락해 연초 이후 24%의 낙폭을 기록 중이다. 전날 옥시덴털의 주가는 52주래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워런 버핏 회장 [사진=블룸버그] 옥시덴털은 버크셔가 보유한 주식 중 6번째로 규모가 크지만, 버핏 회장은 완전한 인수설을 부인했다. 버크셔가 옥시덴털을 추가 매수한 것은 지난 6월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버크셔가 보유한 옥시덴털의 가치는 120억 달러에 이르지만 투자 전문매체 배런스는 옥시덴털 투자로 버크셔가 10억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같은 기간 버크셔는 북미 최대 위성 라디오 사이러스XM 지분 500만 주를 1억1300만 달러에 샀다. 사이러스XM은 올해 60%나 급락해 현재 10여 년간 가장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최근 투자자들은 회사가 2025년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주식을 공격적으로 매도했다. 도메인 등록 서비스업체 베리사인의 지분 23만4000주를 약 4500만 달러에 사들였다. 현재 버크셔는 이 회사의 지분 13%를 보유 중이다. 이로써 지난 3거래일간 버크셔가 매수한 지분은 최소 5억6000만 달러에 달한다. mj72284@newspim.com 2024-12-21 00:55
사진
달러/원 환율 1,450원 돌파...15년래 최고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19일 달러/원 환율이 1450원도 돌파하며 15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대로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으나 내년 기준 금리 인하 속도를 줄일 가능성을 시사한 여파다. 연준은 18일(현지 시각)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를 마치고 기준 금리를 4.25~4.50%로 0.25%포인트(%p)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연준은 9월과 11월에 이어 이달까지 세 번의 회의에서 연속으로 기준 금리를 내렸다. 연준은 별도로 공개한 경제 전망 요약(SEP)에서 내년 말까지 금리 인하 폭을 0.50%p로 제시했다. 이는 9월 1.00%p를 기대한 것에서 크게 축소된 수치다. 이 같은 예상대로면 연준은 내년 0.25%p씩 총 두 차례 금리를 낮추게 된다. 매파적인 연준의 내년 금리 전망에 이날 미 달러화는 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고, 달러/원 환율은 한국 시간 19일 오전 6시 50분 기준 1453원으로 1450원도 넘어섰다. 이는 지난 2009년 3월 이후 약 15년 만에 최고치다. 지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제롬 파월 당시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를 차기 의장으로 지명했다. [사진=블룸버그] koinwon@newspim.com 2024-12-19 06:5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