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세혁 기자 = 코로나19 감염증이 지구촌을 뒤덮으면서 일상도 변하고 있다. 개봉이 한참 지난 감염증 영화에 새삼 눈길이 가는 것도 변화 중 하나. 25년 전 선을 보인 '아웃브레이크'에 코로나19 관련 댓글이 이어지는 것만 봐도 바이러스 재난영화에 대한 관심을 짐작할 수 있다. 다만 이런 영화들이 모두 사실을 다뤘는지는 의문이다. '아웃브레이크'와 '컨테이젼' 등 대표적인 감염증 영화를 들여다보며 팩트체크를 해봤다. <주의:기사에 스포일러가 포함됨>
①에볼라에 감염되면 피를 쏟을까
영화 '아웃브레이크'(1995) 속 에볼라(영화에선 이 명칭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들은 기침과 고열에 시달리다 눈과 코, 귀 등 칠규(얼굴의 일곱 구멍)로 피를 쏟고 사망한다.
상당히 섬뜩한 이 장면은 팩트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에볼라 출혈열'로 불리는 만큼 출혈이 관찰되는 감염증이다. 총 다섯 종류로 구분되는 에볼라 감염증 환자 중 일부는 영화처럼 피를 쏟고 죽었다.
다만 모든 에볼라 감염자가 출혈을 보이지는 않는다. 저혈압 쇼크나 다발성장기부전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많다. 에볼라는 혈관파괴보다 장기가 녹는 병으로 더 악명을 떨쳐왔다. 출혈을 보이는 환자는 일부이며, 사망 직전 관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아웃브레이크' 속 환자들이 피눈물을 흘리며 고통스럽게 죽어가는 장면은 관객 공포를 증폭하기 위한 장치다.
②증상 발현 속도, 영화처럼 빠를까
'컨테이젼'의 첫 희생자 기네스 팰트로 <사진=영화 '컨테이젼' 스틸> |
'아웃브레이크'는 영화 초반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들이 고통스럽게 죽어가는 장면을 반복해 보여준다. 눈길을 끄는 건 감염부터 잠복기, 증상 발현, 사망까지 시일이 매우 빠르다는 것. 심지어 영화 '컨테이젼'(2011)에서는 첫 희생자의 증상이 발현되고 하루도 지나지 않아 사망에 이른다.
이는 팩트로 보기 어렵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경우 잠복기를 지나 증상이 발현하는 시간이 짧게는 이틀, 길게는 3주(평균 8~12일)다. 영화 속 증상 발현 및 사망까지 시간이 매우 짧은 것은 출혈과 마찬가지로 관객 공포를 극대화화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③한국인도 에볼라에 전염된 사례가 있을까
'아웃브레이크'에는 태극호라는 한국 화물선이 등장한다. 당연히 선원도 한국인이고 한국어를 사용한다. 태극호는 에볼라 바이러스의 숙주인 원숭이를 운반하는데, 당연히 선내에서도 감염증이 발생하고 선원이 사망한다.
영화 속 내용은 팩트가 아니다. 애초에 실제 에볼라가 어떤 경로로 옮겨졌는지는 추정할 뿐이고, 한국인의 경우 감염자가 아직 나오지 않았다. 2015년 에볼라 감염증 환자들을 치료하던 한국인이 감염 의심을 받은 적은 있다. 참고로 영화 '아웃브레이크'는 에볼라를 모티브로 했으면서도 정작 '에볼라 바이러스'란 명칭을 사용하지 않았다. 바이러스를 무기화하려는 내용이 나오는 등 할리우드 영화 특유의 상상력이 동원된 작품이다.
④코로 흡입하는 백신이 정말 있을까
영화 '컨테이젼'(2011)에 등장하는 백신은 비강흡입형, 즉 사람 콧구멍에 대고 분사하는 형태다. 원숭이 실험 결과 겨우 얻은 항체로 백신을 제조했는데, 이를 엘리스 박사(로렌스 피시번)가 아내에게 흡입시키는 장면이 등장한다.
비강흡입형 백신은 낯설지만 실존한다. 보통 백신은 주사형이지만 복용 및 비강흡입 형태도 있다.
주사형에 비교했을 때 비강흡입형 백신은 여러 장점이 있다. 독감백신을 비강흡입형으로 제조하면 주사를 무서워하는 환자도 편하게 접할 수 있다. 처방만 있다면 의사 없이 자가흡입도 가능하다.
⑤치명적 감염증의 1차 숙주는 박쥐인가
영화 '컨테이젼'의 마지막 부분에선 세계를 초토화한 감염증의 1차 숙주로 박쥐가 등장한다. 박쥐가 바나나를 먹다 돼지우리에 일부를 흘리고, 이를 주워 먹은 돼지가 감염된다. 이 돼지를 잡은 고기를 손질하던 홍콩의 요리사가 손도 씻지 않고 베스(기네스 팰트로)와 악수를 하면서 대재앙의 서막이 오른다.
박쥐가 치명적인 바이러스 감염증의 1차 숙주라는 것은 학계에서도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에볼라 바이러스 역시 1차 숙주가 박쥐이고, 2차 숙주가 원숭이로 추정된다. 사스도 마찬가지다. 박쥐는 천산갑 등과 함께 현재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코로나19의 주요 숙주의 하나로 지목됐다.
학계에 따르면 원래 박쥐는 체내내 수백 종류의 바이러스를 갖고 있다. 그런 박쥐는 인간과 꽤 멀리 떨어져있을 것 같지만 중국처럼 박쥐를 먹거나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로 터전을 잃은 박쥐가 인간이 사는 곳까지 이동하면서 문제가 발생한다.
⑥바이러스는 공기로 전염될까
영화 '아웃브레이크' 중 극장내 공기감염 장면 <사진=워너브러더스> |
'아웃브레이크'에서 초기 감염자가 극장에서 기침을 하자 주변의 모든 사람이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만다. 심지어 바이러스가 건물 내 환기구를 통해 전파됨을 보여주는 신도 등장한다. 하지만 의학계에서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공기로 전염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보고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주로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의 혈액을 통해 전염된다. 혈액에 가장 많은 바이러스가 존재하며, 침이나 땀, 분변 등 각종 분비물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망자와 입을 맞추는 풍습을 가진 아프리카 부족에게서 에볼라가 집단 발병한 사례도 있다.
국제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코로나19 역시 공기전염은 희박하다. 알려진 것처럼 감염자의 비말을 통해 주로 전파된다. 다만 코로나19가 무섭게 확산 중이고,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공기전염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의학계 중론이다.
starzoob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