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GoGo)는 'Go Global & OnLine'의 준말입니다. 1980년대 신나게 흔들었던 '고고춤'처럼 강소기업을 향해 신나게 도전하자는 구호입니다. 글로벌화와 디지털화를 통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도약한 기업들을 들여다보고 전략을 소개합니다.
제주도의 수출 1위 품목은 뭘까? 감귤, 생선, 녹차, 화장품 모두 아니다. 한국무역협회 제주지부가 지난 1월 발표한 2019년 제주도 수출실적에 따르면, 반도체가 1위다. 순서대로 보면, 반도체, 넙치, 소라, 생수, 감귤, 화장품, 전복 등의 순이다.
지난해 제주도의 반도체 수출(6700만 달러)은 제주도 전체 수출(1만4900만 달러)의 45.3%를 차지했다. 이처럼 제주도의 수출을 좌지우지하는 회사는 '제주반도체'다. 제주에서 창업한 것도 아니고, 대표가 제주 출신도 아니며, 제주가 반도체로 특화된 곳도 아닌데, 이 회사 뭐지, 하는 호기심이 생길 것이다.
2000년 서울에서 창업했을 당시 회사명은 이엠엘에스아이(EMLSI)였다. 창업한 지 얼마 안 된 소규모 벤처기업으로서 수도권 이전에 따른 세제 혜택을 감안해 충청권으로 이전하려다 발상의 전환을 했다. 자동차로 1시간이나 비행기로 1시간이나 이동시간은 비슷하니까, 경관 좋은 제주도로 가는 것은 어떨까라는 생각을 직원들과 공유했다. 그리고 2005년 과감하게 제주를 선택했다. 8년쯤 지난 2013년에는 회사 이름도 어려운 영어이름 대신 '제주'를 넣어 바꿔버렸다.
이처럼 글로벌 강소기업은 뭐가 달라도 다르다. 이 회사가 특별한 점은 제주도로 본사를 이전한 것, 회사 이름에 제주도를 집어넣은 것뿐만 아니다. 인재 활용도 남달랐다. 제주도의 지역 인재를 육성하고 활용하기 위해 지역소재 대학의 공대 3학년생을 대상으로 반도체 설계과정을 산학협력 과정으로 개설하고 장학금을 제공했다. 이를 통해 지역 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이 회사는 준비된 창업을 했다는 점에서도 다른 벤처기업의 귀감이 된다. 이 회사의 대표는 대학에서 반도체를 공부했고, 반도체 대기업에서 15년 이상 반도체를 연구하고 마케팅을 담당했다. 이처럼 반도체 관련 전문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준비된 창업을 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사업의 성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비즈니스 모델도 차별화했다. 글로벌 가치사슬(GVC)을 잘 활용해, 설계는 판교에 있는 연구소에서 하지만 생산은 대만의 협력업체에서 담당한다. 즉, 생산 공장이 없다. 나머지 조립과 검수와 수출은 제주 본사에서 이뤄진다.
또한, 틈새시장(니치마켓)을 개척했다. 삼성이나 SK, 도시바, 마이크론 등 세계 최고의 기업들이 고용량, 고사양 반도체 시장을 분점하고 있지만 나머지 1~5% 틈새시장이 비어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공장이 없는 설계전문 반도체 기업을 세워 사물인터넷(IoT)이나 보안, 모바일 기기 등에 특화된 저용량, 저사양 반도체 시장을 공략한 것이다. 물론 기존의 경쟁업체들이 있었지만 오랜 경험과 노하우,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해 틈새시장에 진입하는데 성공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기준 18건의 메모리 반도체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2018년에는 85명의 임직원이 약 1500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 히든 챔피언의 저자 헤르만 지몬의 조언에 따르면, 세계시장의 누구와 경쟁해도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과 경쟁력을 갖춘 분야로 시장을 좁게 정의하고, 한 우물을 깊고 오래 파야 성공할 수 있다. 제주반도체야말로 헤르만 지몬의 '히든 챔피언' 개념에 제대로 어울리고, 그의 조언을 충실하게 따르고 있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업력 20년의 기업으로서 아직은 태풍에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뿌리가 튼튼하고 안정적이라고 낙관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지난해 기준 85명 정도로 고용창출 효과가 큰 기업도 아니다. 틈새시장에서 높은 수익률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고, 기존 사업과 연관성을 유지하면서 제품과 고객을 다각화하는, 유연하고도 연관성 높은 다각화를 수행하는 어려운 목표도 달성해야 한다.
아울러, 이런 훌륭한 벤처기업을 지역에 유치하고 뿌리내리도록 도와주고,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은 지자체의 몫이다. 제주도가 했으니, 그 밖의 16개 광역지자체도 다 할 수 있다.
김동열 글로벌강소기업지원센터 대표 donykim@naver.com
▶김동열은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원과 재정경제부장관 정책보좌관, 한국금융연구원 초빙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 정책조사실 이사대우 등으로 재직했다. 현재 글로벌강소기업지원센터 대표를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