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협력 순위는 119위로 1계단 높아졌지만 최하위권
대내외 개방성의 매력 면에서 71위로 해결과제 부상
[서울=뉴스핌] 김사헌 기자 = 한국의 인적자원 경쟁력이 전 세계 27위를 기록했다. 최하위권인 노사협력 수준을 개선하고, 대내외 개방성을 높이는 것이 가장 큰 과제로 평가된다.
유럽 경영대학원 인시아드(INSEAD)와 다국적 인력서비스 기업 아데코(ADECCO)가 22일(현지시간) 다보스포럼에서 발표한 '2020 인적자원경쟁력지수(GTCI)'에서 한국은 총점 59.59점으로 작년보다 3계단 오른 27위를 기록했다.
전체 1위는 스위스가 계속 차지했다. 그 뒤를 미국, 싱가포르가 순위를 뒤바꿨다. 이어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 핀란드,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호주 등이 10위 내에 들었다.독일, 영국, 캐나다가 바로 그 뒤에 위치해 있다. 스웨덴의 순위가 7위에서 4위로 올라갔고 노르웨이가 9위로 5계단 추락했다. 호주가 10위권으로 진입했고 영국이 2계단 밀렸다. 일본이 19위, 중국은 42위로 각각 3계단 올라갔다.
2020 인적자원경쟁력지수(GTCI) 상위 10개국 [자료=INSEAD/ADECCO] 2020.01.23 herra79@newspim.com |
인시아드와 아데코는 이번 2020GTCI의 가장 큰 특징을 대부분 고소득국가인 상위권과 하위권의 격차 확대와 인공지능(AI)의 도입으로 인한 변화로 꼽았다.특히 AI의 도입은 신흥국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경우 경쟁력을 튀어오르게 할 수 있는 요인이며, 또한 작업장으로 AI가 들어오면서 인력의 재숙련 과정이 필수적이게 되었다면서, 주요 도시들이 AI허브로 변신하고 필요한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해 각축을 벌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GTCI는 각국이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유치하며 창출하는 능력등 수치상으로 보여준다. 실현여건(Enable), 매력(Attract), 성장성(Grow), 지속성(Retain), 직업기술(VT Skills), 글로벌지식(GK skills) 등 6개 축의 점수와 포지셔닝 방식으로 순위를 매긴다.
◆ 한국은 대내외 개방성 강화로 매력 높이는게 과제
우리나라는 특히 실현여건이 74.19(20위)로 매우 높지만 인적자원을 유치하는 매력 면에서는 47.92점(71위)으로 상당히 낮은 점수를 받는 특징을 보인다. 인시아드 등은 "한국은 일본처럼 다른 모든 면에서는 상위권에 속하지만, 인재를 유치하는 매력을 높이는 것이 가장 큰 숙제"라고 지적했다.
2020 인적자원경쟁력지수(GTCI) 27위 기록한 대한민국 [자료=INSEAD/ADECCO] 2020.01.23 herra79@newspim.com |
실현여건의 점수가 높은 것은 경쟁 강도(3위), 기업활동의 수월성(4위), 연구개발비 지출(2위), ICT인프라(6위)등을 보는 시장환경(Market Landscape) 점수가 전 세계에서 1위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또 규제여건 30위, 기업환경도 28위로 상위권에 속한다. 다만 기업환경이 상위권이라고 해고 그 안에서 노사관계는 119위로 120개국 중에서 최하위권에 머무는 특징을 보익 있다.
인력 유치 매력이 낮은 것은 대외개방성이 70위, 대내개방성도 78위로 각각 중하위권에 머물기 때문이다. 외국인의 기업 소유나 주식 이전이 어렵고 사회적 이동성이나 여성의 기회부여 면에서 매우 열악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외에 성장성은 교육 훈련을, 지속성은 말 그대로 사회와 삶의 지속가능성 면을 평가하는 것이다. VT는 중등 수준의 직업훈련 및 관련 과학기술 습득 정도를, GT는 높은 수준의 학력이나 자격과 혁신과 신제품 신사업 과학저널 논문 등을 통해 재능의 강도를 보는 것이다.
herra7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