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출신 과학자 도움으로 미사일 고도화 속도 올려"
"北, 지구상 어느 나라보다 신속하게 신무기 개발"
[서울=뉴스핌] 허고운 기자 = 미국의 전문가들은 북한이 옛 소련 출신 과학자 등 외부의 도움을 받아 미사일 고도화 속도를 높였다고 분석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21일 보도했다.
존 하이튼 미 합참차장은 지난 17일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강연에서 "북한은 지구상 그 어느 국가보다 가장 신속히 신형 미사일, 새로운 능력, 신무기들을 개발하고 있다"며 "배경은 북한이 무기 개발을 신속하게 하는 방법을 터득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
북한은 지난해 5월 4일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로 추정되는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포함해 방사포 등 발사체 여러 발을 발사했다. 이스칸데르 미사일은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분류된다. [사진=노동신문] |
이와 관련,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VOA에 자신이 면담한 북한 고위 망명자 발언을 토대로 "1990년대부터 100여명 규모의 옛 소련 출신 핵·미사일 과학자들이 북한의 미사일 개발에 획기적인 도움을 줬다"고 전했다.
베넷 선임연구원은 "냉전 당시 미국과 소련의 로켓공학이 급속도로 발전한 것도 2차 세계대전 뒤 망명한 독일 출신 미사일 과학자들과 이들의 효과적인 관리체계가 배경이었다"며 독일의 V-2 로켓 개발을 주도했던 베르너 폰 브라운 박사가 미국에 망명해 국방부와 항공우주국의 개발 체계 선진화에 기여한 점을 대표적 사례로 꼽았다.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조정관도 "옛 소련 붕괴 이후 실직하게 된 과학자들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핵심적으로 관여한 것은 사실"이라며 "이들이 여전히 북한에서 활동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북한의 무기개발 속도에 결정적 영향을 줬다"고 평가했다.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다만 추가적인 장거리 미사일 실험 없이는 성능 개선에 한계가 있다"며 "북한이 제한된 실험환경에서 당분간 고체연료 전환에 집중하겠지만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heog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