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한계선에서 북쪽 1.4km 지점 발견
군사분계선서 남쪽 600m 지점 폐사체
북한 당국과의 ASF 공동 대응 필요
[세종=뉴스핌] 이규하 기자 = 비무장지대(DMZ) 군사분계선(MDL)부터 남쪽 600m 지점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 보유의 야생멧돼지 사체가 발견되면서 유입경로의 실마리가 풀릴 전망이다. 특히 북한 당국과 ASF 공동 대응을 위한 협조 등 남북방역 협력이 더욱 절실해진 상황이다.
3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경기도 연천군 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의 ASF 바이러스는 첫 검출이다. 우리 측 군 부대 GOP 철책을 기준으로 발견 장소는 경기 연천 소재 5사단 GOP 철책 전방 1.4km 지점이다.
중국에서 ASF가 발생한 2018년 8월 이후 야생멧돼지에 대한 ASF 바이러스 검사는 올해 총 806건(수렵 671건, 폐사체 80건, 포획틀 55건)이다.
이 중 접경지역은 총 261건으로 260건 ‘음성’, 이번 검출에서 양성 1건이 나왔다.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첫 검출된 야생멧돼지 폐사체 [출처=환경부] |
우리 측 남방한계선 일대에 설치된 철책은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구축돼 DMZ로부터 남측 이동이 차단돼 있다. 하지만 북측 북방한계선에 설치된 북 측의 철책은 견고하지 않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앞서 이번에 발견된 경기도 연천 지역을 제외하면 발견된 야생멧돼지는 총 4두다. 이 중 2두는 시료 채취 후 음성 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2두는 사체가 부패해 시료채취 불가로 발견 장소 인근에 매몰처리한 바 있다.
정치권 등 일각에서는 돼지열병을 보유한 북한지역 야생동물들이 남측으로 내려와 전파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둬왔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하태경 의원(바른미래당)이 국방부로부터 제출 받아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 2018년부터 올해 9월까지 9개 사단 GOP 철책 파손 건 중 5건이 보강공사 중이다. 즉, 전방 13개소 GOP 철책이 파손됐다는 주장이다.
환경부와 국방부는 DMZ 내 감염된 멧돼지가 철책을 뚫고 남쪽으로 내려올 가능성과 관련해 “우리 측 철책은 과학화 경계 시스템이 구축돼 있어 남쪽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할 것”이라며 전했다.
그러면서도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체가 발견된 지점에는 반경 2km 이내 하천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발견지점에서 동북쪽 약 2km 지점에는 남에서 북으로 흐르는 역곡천이 형성돼 있다.
북한 당국과의 ASF 공동 대응과 관련해서는 “우리 정부는 2018년 중국에 ASF가 발생한 이후 북한에 ASF 관련 ‘남북방역 협력’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지속 제의했다”며 “그러나 북한은 현재까지 아무런 입장표명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등 국제기구 및 대북지원 민간단체 등을 통한 상황파악 및 방역물품 지원 등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며 “북한 유입 하천수 조사, 멧돼지 폐사체 예찰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jud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