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KIAF, 1만여 작품과 26일 개막…토크 프로그램부터 아트 키즈까지 '풍성'

기사입력 : 2019년09월18일 15:51

최종수정 : 2019년09월19일 09:16

17개국 175개 갤러리 참여…갤러리 리만 머핀 올해 첫 오픈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올해로 18회를 맞는 한국국제아트페어(KIAF ART SEOUL, 키아프)가 26일부터 29일까지 4일간 코엑스 A, B홀에서 개최한다. 25일에는 VIP 프리뷰가 진행된다.

Two Palms_Jeff Koons_ Gazing Ball (Klimt Kiss), 2019, archival pigment print on innova rag paper, glass [사진=(사)한국화랑협회]

2002년 문을 연 키아프는 매해 6만명 방문객이 다녀가는 국내 최대 아트페어다. 올해는 17개국 175개 갤러리가 참여한다. 국내 갤러리는 131개, 해외 갤러리는 44개이며 신규 참여 갤러리는 27개다. 일본과 무역 갈등 속에서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7개 일본 갤러리도 참여한다.

키아프에 처음으로 문을 두드리는 주요 갤러리는 뉴욕과 홍콩에 지점을 두고 2017년 말 한국에도 갤러리를 오픈한 Lehmann Maupin이다. 또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두 갤러리 ANSORENA, Galeria ALvaro Alcazar가 준비 중에 있으며 미국 뉴욕에서 첫 참가를 시도하는 TWO PALMS(미국), Mizuma, Kips & Wada Art(미국)도 오고 있다.

약 1만여 개의 작품이 키아프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한국 아방가르드와 추상미술의 선두자 김환기, 사물과 시공간의 관계에 주목하며 물질 그대로의 작품세계를 표현한 모노하 운동의 대표주자 이우환의 작품이 출품된다. 또 빛과 공간의 주제로 눈에 보이는 것 이상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미국 대표 작가 제임스 터렐의 환상적인 작품도 만날 수 있다.

James Turrell Atlantis, Medium Rectangular Glass, 2019 L.E.D. light, etched glass and shallow space 56 x 73 inches (142.2 x 185.4 centimeters) Copyright James Turrell Photo credit: Flying Studio, Los Angeles

조각과 설치 작품으로 백남준의 대형작품도 선보이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개인전을 가졌던 최정화의 작품과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캐롤 퓨어맨, 토니 크렉, 이환권, 신한철 등의 훌륭한 작품이 기다리고 있다.

키아프는 지난해에 이어 세 가지 유형의 부스 섹션을 운영한다. 서로 다른 크기의 참가 갤러리들이 전시를 기획해 키아프의 주요 부스라고 할 수 있는 갤러리즈, 각광받는 3인 이하의 작가들을 통한 기획력에 초점을 맞춘 하이라이트가 운영된다. 특히 신진작가 또는 재조명하고 있는 중견작가의 개인전 부스로만 구성하는 솔로프로젝트는 단일부스에 한 작가만의 전시를 통해 컬렉터들과 관람객에 더욱 직접적으로 작품을 소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키아프에서는 한국 근대미술을 재조명하는 특별전 '한국근대회화, 역사가 된 낭만'을 연다. 한국화랑협회 최웅철 회장은 "우리나라에는 근대미술관이 없다. 우리 미술의 가치와 의미를 재고하고 한국 미술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국의 근대미술전을 기획했다. 이번 전시는 조은정 교수가 기획했고 시기는 1950~1979년 작품이다. 1980년이 이후 작품은 과감히 제외했다"라고 설명했다.

김환기 KIM Whanki (1913~1974), 뱃놀이 Boating, 1950s, [사진=(사)한국화랑협회]

참여작가는 권옥연, 김기창, 김은호, 김환기, 노수현, 도상봉, 박고석, 박노수, 박래현, 박상옥, 박생광, 박수근, 박영선, 변관식, 백영수, 성재휴, 오지호, 이대원, 이만익, 이상범, 이중섭, 임직순, 장욱진, 천경자, 최영린, 황용엽이며 38점의 작품이 전시된다. 전시 작품은 화랑의 소장작이나 컬렉터 소장작이다. 전시작품 중 일부는 구매도 가능하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전시장 외부에 자리잡았던 토크프로그램이 전시장 내부로 들어온다. 컨버세이션에서 '토크'로 이름을 바꾸며 아카데미와 비엔날레에서 이뤄지는 담론을 대중과 함께 나눈다.

뉴욕 뉴뮤지엄에서 5년의 제작 기간을 거쳐 만든 실제 방 크기만한 조각 Kitchen을 전시하며 주목받은 라이자 루, 뉴욕과 멕시코시티를 오가며 각광받고 있는 보스코 소디, 한국적 물성을 대표하는 담색화의 대표 작가인 김택상과 이진우 작가는 창작자로서 경험과 그들의 예술 언어, 현대 미술이 갖는 예술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지난해 KIAF VIP 투어 [사진=(사)한국화랑협회]

샐러리맨 콜렉터로 알려진 미야츠 다이스케는 한국의 정연두 작가와 20년의 우정을 이어오고 있다. 이 둘은 진솔한 대화를 통해 작가와 콜렉터의 관계를 넘어 현대미술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한다. 중국의 젊은 콜렉터 저우 총은 자신이 감독한 'Calm&Zeal'을 통해 현대미술의 예술성과 이를 즐기기 위한 다양한 시각, 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외에도 국립현대미술관진흥재단에서는 미술산업을 조망하는 새로운관점을 발표한다. 서울대학교 권기성 박사는 미술시장 가치분류 체계를 연구해 이를 통해 미술 생태계가 지속적인 발전을 할 수 있게 돕는다.

올해 주목할 만한 공간은 '키아프 아트 키즈'다. 키아프를 방문하는 어린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창의 미술 전문 에듀케이터와 함께 키아프에 참가한 작가의 작품을 탐구하고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총 6가지 프로그램의 미술 활동으로 구성되어 온 가족이 미술을 경험하고 즐길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전망이다. '키아프 아트 키즈'는 어린이 현대미술교육연구소 빅피쉬아트가 맡았다. 현대미술교육소 빅피쉬아트는 12년간 창의미술 교육 전문 에듀케이터들이 모여 다양한 현대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교육하고 있다. 교육은 6~12세 대상으로 당일 현장 접수이며 90분간(유료) 운영된다.

  

89hkle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