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장관 취임 후 여성 외교관 열정 높아져
현재는 10명이지만 여성 공관장 늘어나는 추세
[서울=뉴스핌] 허고운 기자 = 한미관계 핵심사안을 다루는 외교부 북미국 북미1과장에 박은경(42·외시37회) 장관보좌관이 내정된 것으로 9일 알려졌다. 외교부 내 핵심요직으로 꼽히는 이 직책을 여성이 맡게 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이날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박은경 보좌관의 북미1과장 임명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최종 결재만 남겨둔 상태다. 박 보좌관은 이르면 추석 전 발령이 날 것으로 보인다.
박 보좌관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2003년 외시 37회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했다. 세계무역기구(WTO)와 중동과를 거쳐 북미1과에서 일했으며 올해 초부터는 강 장관을 보좌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특정과 출신이 우대받는 문화를 지양하고 있으나 북미1과장은 외교관들 사이에서 요직 중의 요직으로 꼽힌다. 우리의 핵심동맹국인 미국과의 실무관계를 맡기 때문이다.
윤병세 전 외교부 장관, 김규현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임성남 주아세안대사(전 외교부 제1차관) 등도 북미1과장을 거친 후 고위직으로 진출한 바 있다.
박 보좌관에 앞서 이미 중국·일본·러시아 등 주변 4강국과의 외교 업무를 맡고 있는 핵심 과장들이 여성일 정도로 외교부 내 ‘여풍(女風)’이 거세다.
대일 관계를 책임지는 아시아태평양국 1과는 지난달부터 이민경(외시 35회) 과장이 이끌고 있으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관계를 총괄하는 유라시아과는 권영아 과장이 담당하고 있다.
중국 담당 주무과로 주로 중앙정부와의 외교를 담당하는 동북아1과장은 남성이지만 지방정부 및 민간부문과의 교류 협력을 담당하는 동북아 2과장은 여성인 여소영 과장이다. 여 과장은 대만중앙방송국(CBS) 기자 출신으로 1999년 개방직 공채를 통해 외교부에 들어왔다.
◆"여성이 아닌 외교관으로 헌신"
외교부 내 여풍은 역대 첫 여성 외교부 장관이 되며 유리천장을 깬 강 장관 이후 더욱 강세를 보이고 있다. 강 장관 본인이 양성 평등과 일·가정 양립을 강조하는 탓도 있지만 그를 롤모델 삼아 외교관으로서의 열정을 다하는 후배들이 많아지는 분위기도 영향을 준 것으로 전해졌다.
한 외교관은 “과거에는 4강 외교를 비롯해 업무 강도가 센 보직에는 여성들이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다소 있었으나 요즘은 자신의 성별을 생각하기보다는 외교관으로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으며 헌신하고자하는 여성이 더 많다”고 달라진 외교부 분위기를 설명했다.
여성 외교관들의 활동영역이 넓어진 데는 기본적으로 여성 외교관이 많아진 영향도 있다. 2012년까지만 해도 29.3%에 불과했던 여성 외교관 비중은 2019년 1월 기준 42.4%로 늘었다.
외교관 시험 합격자의 여성 비율은 2005년 52.6%로 처음 절반을 넘었으며 현재는 60%를 유지하고 있어 시간이 지나면 외교부서 여풍이란 말은 오히려 어색한 표현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다만 아직까지 국장 이상 고위급 외교관은 남성 비율이 절대적이다. 특히 외교관의 꽃이라 불리는 공관장직은 164곳 중 10곳만 여성이 맡고 있다. 이마저도 2017년 강 장관 부임 이후 3곳에서 대폭 늘어난 수치다.
현재 주요 4강국에는 여성 공관장이 없으며, 주제네바 대사인 백지아 대사(외시 18회)와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영국 주재 대사인 박은하 대사(19회)가 대표적인 여성 공관장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김경임 전 주튀니지대사(12회)에 이은 2·3번째 여성 외시 합격자로도 유명하다.
heog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