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결핵퇴치 목표…현재는 의료인·의료기사만 대상
지난 4월 국민신문고에 간호조무사 감염 민원 올라오기도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앞으로 결핵환자를 검진·치료하는 의료인을 보조하는 간호조무사도 주기적 잠복결핵감염 검진대상에 포함된다.
지난 5월 정부가 2030년까지 결핵퇴치(결핵발생률 인구 10만 명당 10명 미만)를 목표로 하는 '결핵예방관리 강화대책'을 발표한 만큼 더욱 강하게 결핵을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 |
한 시민이 결핵검진을 받기 위해 대전 유성구보건소 결핵검진차량에 오르고 있다. [사진=대전 유성구 제공] |
국민권익위원회는 결핵감염 예방을 강화하기 위해 주기적 잠복결핵감염 검진대상자에 간호조무사도 포함하도록 보건복지부에 제도개선을 권고했다고 4일 밝혔다.
잠복결핵은 환자가 결핵균에 감염됐지만 몸에서는 활동하지 않는, 즉 발병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잠복결핵 감염자는 결핵감염검사에서는 양성이나 결핵균검사에서는 음성으로 나온다.
결핵균을 흡입한 사람의 약 30%가 잠복결핵에 감염되고 잠복결핵감염자의 약 10%가 추후 결핵으로 발병한다. 따라서 결핵환자를 검진·치료하는 의사와 간호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등 결핵감염여부를 진단하는 의료기사는 주기적 잠복결핵감염 검진대상자로 지정돼 있다.
하지만 의료인을 보조하는 간호조무사는 그동안 검진대상에서 제외돼 왔다. 이에 국민신문고 등에는 의료기관 종사자의 잠복결핵감염 검진 확대와 적절한 치료에 대한 제도개선 요구가 올라오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결핵예방법 시행규칙 상 의료인과 의료기사는 잠복결핵감염검진 대상자로 규정돼 있으나, 간호조무사는 검진대상자로 고시하지 않아 검진의 사각지대 발생, 호흡기 결핵환자 또는 신생아, 면역저하자 등과 접촉가능성이 높은 간호조무사 등 의료기관 종사자도 주기적 결핵검진 의무대상자로 포함해 관리함으로써 의료기관에서의 결핵감염 예방 필요하다'는 민원이 올라왔다.
4월에는 실제 잠복결핵 결과를 받았다는 민원도 올라왔다. 민원인은 '저는 요양병원 간호사입니다. 작년 12월 환자가 타원에 입원하다가 결핵이 발견돼 그 전 병원인 우리병원 모든 의료진이 검사를 받았는데 제가 잠복결핵이 나왔다'고 밝혔다.
국민권익위는 의료인이나 의료기사 뿐만 아니라 결핵균 감염 위험성이 높은 간호조무사도 매년 실시하는 잠복결핵감염 검진이 필요하다고 보고 대상에 포함하도록 복지부에 권고했다.
안준호 국민권익위 권익개선정책국장은 "세계보건기구도 결핵 퇴치를 위해 잠복결핵감염 검진과 치료를 강조하고 있으며, 주기적인 잠복결핵감염 검진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사전에 발병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정부혁신 과제인 ‘국민의 목소리를 담은 생활밀착형 제도개선’의 일환으로 국민 삶과 밀접한 분야의 제도개선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