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마켓·금융

속보

더보기

[라오쯔하오] 중국 4대 명주, 유망 A주 상장사 '노주노교'

기사입력 : 2019년05월02일 17:57

최종수정 : 2019년05월02일 17:58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명·청대부터 시작된 유서 깊은 농향형 백주
올 1분기 기준 노주노교 주가 상승폭 63.75%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중국 4대 명주이자 '라오쯔하오'(老字號,오랜 역사를 지닌 중국 브랜드)'인 루저우라오자요(瀘州老窖, 이하 노주노교)는 귀주모태(貴州茅台),우랑예(五糧液)와 더불어 중국을 대표하는 프리미엄 백주 브랜드로 통한다. 노주노교는 얼마 전 ‘명냥’(茗酿)이란 브랜드로 한국에도 본격 진출해 다시 한번 주목을 받고 있다.

'백주의 본산지' 쓰촨성 루저우(泸州)에서 탄생한 노주노교(泸州老窖)는 1573년부터 땅굴을 파 숙성을 시켜 깊은 풍미를 지닌 전통 술로 널리 알려져 있다. 명·청대부터 시작해 446년 역사의 유서 깊은 노주노교는 은은한 향을 지닌 동시에 달콤하고 깔끔한 맛으로 백주 애주가들의 각광을 받아 왔다. 

노주노교 저장창고[사진=바이두]

◆유서 깊은 역사 지닌 백주 ‘노주노교’

노주노교의 대표 백주 제품인 ‘루저우라오자오터취’(瀘州老窖特曲, 노주노교특곡)는 오랫동안 항아리에 숙성시킨 ‘농(濃)향형’ 백주로 명성이 높다.

노주노교특곡은 전통적인 양조방법을 23대째 계승한 방식으로 제조되면서 백주 특유의 깊은 향과 맛을 낸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2006년 이 제품을 ‘중화 라오쯔하오(中華老字號)’로 지정했다.

농향형 백주는 깊고 풍부한 향이 특징이며 뒷맛이 오래 남는다. 쓰촨(四川)성과 장쑤(江蘇)성 일대 양조장에서 생산하는 백주(고량주) 대부분이 농향형에 속한다.

노주노교 백주의 농익은 향은 100년 역사를 지닌 1619개에 달하는 백주 저장창고(古窖池)에서 비롯된다. 이 창고들은 노주노교의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입증하는 산물이기도 하다. 이 업체 명칭 중 ’노교’(老窖)도 '오래된 구덩이(저장고)'라는 뜻으로, 여기서 구덩이는 백주를 발효시키는 저장소를 가리킨다.

국교 1573[사진=바이두]

그 중 노주노교의 가장 오래된 창고는 1573년에 지어진 곳으로, 지난 1996년 국가중점문화재로 지정됐다. 노주노교의 프리미엄 제품인 ‘국교(國窖)1573’도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백주로 전해진다.

1619개의 백주 저장창고와 16곳의 양조장 및 3곳의 천연 저장소도 잇달아 국가 문화재로 추가 지정됐다. 이로써 노주노교는 백주 업체중 가장 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업체가 됐다.

그 밖에 원나라 시기부터 전승된 노주노교의 양조 비법도 2006년 5월 ‘국가비물질문화유산’(國家級非物質文化遺產)으로 선정됐다.

◆높은 실적 성장세로 자본시장에서도 각광

노주노교는 중국 백주 업계의 전반적인 성장세와 더불어 고속 성장을 실현하고 있다.

실제로 2018년 노주노교의 2018년 매출은 130억 5600만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도 동기대비 36% 늘어난 34억 8600만위안을 기록했다.

올 1분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나타냈다. 노주노교의 1분기 매출은 전년비 37.15% 급증한 41억 6900만위안으로 집계됐다. 또 순이익도 43.08% 늘어난 15억 1500만에 달했다.

이 같은 폭발적인 성장세는 제품당 판매 가격이 800위안 이상의 국교(國窖)를 비롯한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호조에 힘입은 바 크다. 지난 2018년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증가율은 37%에 달했고,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절반(49%) 가까이를 차지했다.

실적 호조에 노주노교(瀘州老窖,000568 SZ)의 주가도 우샹향 곡선을 그리면서 기관 및 개인 투자자들의 각광을 받고 있다.

지난 1분기 기준 노주노교의 수익률은 63.75%에 달하면서 눈부신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4월 30일 기준 노주노교의 주가는 77.88위안을 기록했고, 시총 규모는 1141억위안에 달했다.

기관들도 잇달아 펀드의 주요 포트폴리오로 편입시키는 동시에 ‘매수 의견’을 제시하면서 백주업계의 각광받는 ‘블루칩’으로 떠올랐다. 노주노교는 총 79개 펀드에 편입됐다.

국신(國信)증권은 “고급 백주의 수요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다”며 노주노교의 목표주가를 81.6~87.9위안으로 제시했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비만 치료제 가격 인하 합의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위고비'를 판매하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와 '젭바운드' 제약사인 미국 일라이 릴리와의 합의를 통해 비만 치료제 가격을 월 250~350달러 수준(35만원~50만원)으로 대폭 인하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월 1천 달러(약 145만 원) 이상에 판매되던 약가가 절반 이하로 낮아지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는 미국 환자에게 '최혜국가 기준' 가격을 적용하기로 합의했다"며 "위고비는 1천350달러에서 250달러로, 젭바운드는 1천80달러에서 346달러 로 내려간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위고비 등 비만약 가격 인하 합의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11.07 kckim100@newspim.com 이번 조치는 메디케어(65세 이상·장애인)와 메디케이드(저소득층) 가입자에게도 적용된다. 정부 부담이 반영될 경우 환자 본인 부담금은 월 50달러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저소득층 메디케이드 가입자는 사실상 무료 또는 저가로 약을 처방받게 된다. 백악관은 또 연내 '트럼프알엑스(TrumpRx.gov)'라는 직구 플랫폼을 개설해, 미국 소비자가 제약사로부터 직접 비만 치료제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자비로 약을 구입하는 미국인들은 위고비·젭바운드를 월 500달러 수준에 구매해왔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245달러 수준까지 추가 인하한다는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뚱보 약'이라고 부르는 이 약들은 매우 효과적이며 이미 수백만 명이 사용하고 있다"며 "이 약들은 생명을 구하고 미국인의 건강을 바꿔 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은 세계 인구의 4%뿐이지만 글로벌 제약사의 75% 수익을 내주고 있다"며 "관세 압박을 통해 약가를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약속을 지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약사들이 미국에서만 바가지를 씌우는 시대를 끝내겠다"며 "이번 약가 인하가 그 신호탄"이라고 말했다.  이번 합의에는 곧 출시될 위고비·젭바운드 '알약 형태(경구용)' 약가도 포함됐다. 최저 용량 기준 월 150달러가 적용되며, 출시 즉시 메디케어·메디케이드에서도 동일한 가격으로 급여가 이뤄진다. 노보 노디스크는 고용량 경구제 위고비의 FDA 승인 심사를 받고 있으며, 일라이 릴리도 '오르포글립론'이라는 비만·당뇨 경구제를 연내 승인 신청할 예정이다. 그동안 미국 내 건강 보험 상당수는 여전히 비만 치료 목적의 약가 지원을 제한해 왔으며, 이 때문에 '부자만 살 빠지는 약'이라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kckim100@newspim.com 2025-11-07 03:26
사진
울산화력발전소 매몰자 1명 사망 확인 [울산=뉴스핌] 박성진 기자 =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로 매몰된 구조 대상자 한 명이 사망했다.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매몰 사고 현장 [사진=소방청] 7일 울산소방본부에 따르면 숨진 인물은 소방 당국이 매몰 위치를 확인한 2명 중 한 사람으로, 발견 당시 의식이 있어 대화가 가능했으나 끝내 숨졌다. 이 사고는 한국동서발전이 관리하는 울산 남구 용잠동의 60m 높이 보일러 타워 해체 작업 중 발생했다. 소방청은 울산 남구 소재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내 구조물 붕괴 사고와 관련해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했다. psj9449@newspim.com 2025-11-07 06:45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