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4월 10일 오후 5시4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김은주 기자 = 빠르게 늘어나던 중국의 부자 증가 속도가 지난해 처음으로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중국 경기 하방 압력이 심화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심화하면서 덩달아 부자들의 안전 자산 선호 경향도 한층 뚜렷해졌다. 중국 부자들은 가장 줄이고 싶은 금융 자산으로 리스크가 큰 주식을 꼽았고, 단기금융상품 MMF(머니마켓펀드)와 비금융기관의 공모채권을 그다음으로 지목했다.
중국 건설은행과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최근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한 중국 프라이빗뱅킹(PB) 시장 발전 보고서 ‘중국 프라이빗뱅킹 2019’를 통해 중국 부자들의 현황을 발표했다. 중국 부자의 기준을 부동산, 사치품 등 비금융자산을 제외하고, 금융 자산이 600만 위안 이상인 고액 순자산보유자로 설정해 분석한 것이다.
◆ 특징 1. 고액순자산보유자 증가세 둔화
지난해 중국의 부자(금융자산 600만위안의 고액 순자산보유자)는 167만 명으로 전 세계 2위를 차지했지만, 지금까지 빠른 속도로 늘어나던 그 수가 지난해 처음 주춤거리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고액 순자산보유자의 금융 자산 증가율은 전체 개인 금융 자산 증가율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둔화하는 흐름을 보였다.
지난해 기준 중국 개인 금융 자산 규모는 전년 대비 8% 증가한 147조 위안(약 2경4987조원)을 기록했다. 2013~2017년까지 5년간 평균 증가율이 16%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증가율이 절반으로 뚝 떨어진 것이다.
보고서는 개인 금융 자산 규모 증가율이 반 토막이 난 원인을 세 가지로 분석했다. 거시경제 성장률 둔화 와 주식 및 관련 자산관리상품 순자산 하락에 따른 일부 투자자의 자산 감소, 일부 민영 기업가들의 일부 개인 보유 자산 기업 투자로의 활용이 주요 요인이다.
조사 결과 고액순자산보유자의 수와 금융 자산 증가율은 급격히 둔화하는 흐름을 보였다. 지난해 고액순자산보유자의 수는 전년 대비 6% 증가한 167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고액순자산보유자 수의 평균 증가율이 21%이었던 것에 비해 증가 속도가 확연히 줄어든 것이다.
또한 이들의 금융 자산 증가율도 지난해 전년 대비 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 5년간 고액순자산보유자 금융 자산 평균 증가율이 24%를 기록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 특징 2. 기업 경영이 부의 주 원천
중국 고액순자산보유자들 대부분은 기업인으로 기업 경영을 통해 수익 배당을 챙기거나 기업 주식을 현금화함으로써 부를 축적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기업 경영을 통해 부를 축적한 비중은 전체의 66%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연봉과 보너스가 부의 주요 원천이 되는 비중은 전체의 13%로 2위를 기록했다. 주식 등 금융 투자는 8%를 차지해 3위에 그쳤다. 2015년에 금융 투자가 부의 원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에 달한 것에 비해 확연히 줄어든 것이다. 보고서는 당시 중국 증시와 부동산 시장 활황으로 금융 투자를 늘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특징 3. 고액순자산보유자 10만 명 이상 도시 5곳
지난해 고액순자산보유자가 10만 명 이상인 도시는 광둥, 베이징, 저장, 장쑤, 상하이 5개 도시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광둥, 베이징, 상하이 3개 도시는 고액순자산보유자 수가 각각 10% 안팎으로 상위 그룹에 속했다. 이 3개 도시의 고액순자산보유자 수 비중은 전체의 42%에 달했다.
고액순자산보유자 인구 밀도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베이징은 만 명당 고액순자산보유자가 78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상하이와 광둥은 각각 만 명당 60명, 37명으로 2, 3위를 기록했다.
한편, 고액순자산보유자가 5만 명 이상인 도시는 산둥, 허베이, 푸젠 등 10개 도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 특징 4. 안전 자산 선호 심리 뚜렷
지난해 미중 무역 전쟁 등 대내외적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중국 고액순자산보유자들의 리스크 회피 성향이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자산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도 안전을 추구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액순자산보유자들은 거시 경제에 대해 대체로 낙관적이거나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경제 전망에 대해 판단을 유보하는 비율(14%)은 지난해(7%)와 비교해 무려 2배로 껑충 뛰었다. 때문에 중국 부동산 시장, 위안화 환율, 주식 등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거나 판단을 유보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에 비해 현금, 예금 및 기타 저변동성 안전 자산 보유 경향은 강해졌다. 고액순자산보유자 40%는 향후 1년 내 현금, 예금을 늘리겠다고 응답했다. 36%는 은행 재테크 비중을 높이겠다고 하였으며, 28%는 보험 상품을 추가 보유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가장 줄이고 싶은 금융 자산으로 주식을 꼽았다. 단기금융상품 MMF(머니마켓펀드)와 비금융기관의 공모채권이 각각 2, 3위를 기록했다.
[사진=바이두] |
◆ 특징 5. 자산 유지 경향 강한 50세 이상이 주요 층
연령에 따라 고액순자산보유자의 자산 관리 성향도 달라지는 특징을 보였다. 지난해 고액순자산보유자의 연령대는 50~59세에 주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액순자산보유자 중 30세부터 50세 전까지는 자산 축적에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나 50세 이후 65세 전까지 자산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65세 이상은 부 계승에 관심을 두는 것으로 조사됐다.
◆ 특징 6. 금융·보험, 부동산 등 종사자 업종 전환 의향 강해
고액순자산보유자 중 민영기업가들의 업종 전환 의향이 이전보다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금융·보험, 부동산, 문화·오락·체육 종사하는 민영 기업가들의 업종 전환 의향이 가장 컸다. 이들 업종에 대한 당국의 관리 감독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연령별로는 30세 이하 청년 기업가들이 새로운 분야로의 진출 의사가 가장 높았다.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가 향후 1년 내 새로운 분야로 진출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eunjoo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