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옛 신라 왕궁으로 추정되는 경주 월성에서 목재 방패 2점과 목간 1점, 63종의 씨앗 등이 발굴조사 중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지난해 추진한 경주 월성(사적 제16호) 정밀발굴조사 중 해자 내부에서 의례에 사용된 가장 이른 시기의 축소 모형 목재 배 1점과 4~5세기 제작된 가장 온전한 형태의 실물 방패 2점, 소규모 부대 지휘관 또는 군을 다스리는 지방관인 당주와 곡물이 언급된 문서 목간 1점을 발굴했다고 2일 밝혔다.
배구조 [사진=문화재청] |
이번에 공개되는 축소 모형 목재 배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것 중 가장 오래됐다. 통나무배보다 발전된 형태로 실제 배와 같이 선수와 선미가 분명하게 표현된 준구조선으로 크기는 약 40cm다. 배는 약 5년생의 잣나무류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제작 연대는 4~5세기 초(350~368년 또는 380~424년)로 산출된다.
방패는 손잡이가 있는 형태로 발견된 최초의 사례다. 가장 온전한 실물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2점 모두 수혈해자의 최하층에서 출토됐다. 하나는 손잡이가 있고 하나는 없는 형태다. 크기는 각각 가로x세로가 14.4×73cm와 26.3×95.9cm이며, 두께는 1cm와 1.2cm다. 표면에는 날카로운 도구로 기하학적인 밑그림을 그리고 붉은색·검은색으로 채색했다. 또한, 일정한 간격의 구멍은 실과 같은 재료로 단단히 엮었던 흔적으로 보인다. 실제 방어용 무기로 사용했거나, 수변 의례 시 의장용으로 세워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해자 출토 방패모양 목제품 [사진=문화재청] |
목간은 3면 전체에 묵서가 확인됐다. 주요 내용은 곡물과 관련된 사건을 당주가 보고하거나 받은 것이다. 6세기 금석문(국보 제 198호 '단양 신라 적성비')에 나오는 지방관의 명칭인 당주가 목간에서 등장하는 것은 처음이다. 또한 벼, 조, 피, 콩 등 곡물이 차례로 등장하고 그 부피를 일(壹), 삼(參), 팔(捌)과 같은 갖은자(같은 뜻을 가진 한자보다 획이 많은 글자, 금액이나 수량에 숫자 변경을 막기 위해 사용)로 표현했다.
월성해자 내부에서는 이외에도 호안 목제 구조물과 다양한 유물들이 확인됐다. 목제 구조물은 해자 호안(기슭)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로 수혈해자 북벽에 조성했다. 수혈해자 바닥을 파서 1.5m 간격으로 나무기둥을 세우고 그 사이는 판재로 연결했다. 최대 높이 3m인 나무기둥과 최대 7단의 판재가 남아 있어 대규모 토목 공사가 삼국통일 이전에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신라의 목제 구조물 전체가 확인된 최초의 사례로 당시의 목재 가공 기술을 복원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목간 A면 [사진=문화재청] |
또한 총 63종의 신라의 씨앗과 열매도 확보했는데 국내 발굴조사 상 가장 많은 수량이다. 해자 주변의 넓은 범위에 분포했던 식물자료를 알아보기 위해 화분분석을 실시해 물 위의 가시연꽃, 물속에 살았던 수생식물, 해자 외곽 소하천(발천)변의 느티나무 군락 등을 파악했다.
이밖에 물의 흐름·깊이·수질을 알려주는 당시의 규조(물에 사는 식물성 플랑크톤)를 분석해 해자에 담겼던 물의 정보도 분석하고 있다. 연구소 관계자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신라인들이 가시연꽃이 가득 핀 해자를 보며 걷고, 느티나무숲에서 휴식을 취했을 5세기 무렵 신라 왕궁의 풍경을 복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1호 해자 전경 [사진=문화재청] |
해자 내부에서 확인된 6개월 전후의 어린 멧돼지뼈 26개체로 미뤄, 신라인들이 어린개체를 식용 혹은 의례용으로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신라 왕경에서 최초로 확인됐던 곰뼈는 현재까지 15점(최소 3개체)이 나왔는데 앞발과 발꿈치 등 특정 부위를 집중적으로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 외에도 2~3세기부터 분묘 유적지에서 다수 출토되는 수정도 가공되지 않은 원석 상태로 출토했다. 통일기 이후에 조성돼 사용된 3호 석축해자의 바닥 지점에서는 단조철부(쇠도끼) 36점을 확인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철부는 실제 사용 흔적이 있었으며 석축해자 축조과정 혹은 의례 등과 관련해 한번에 폐기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방패와 목제 배 등 이번에 공개되는 유물까지 포함해 지금까지 월성의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유물들은 오는 5일부터 6월 2일까지 서울 한성백제박물관(관장 이인숙)에서 열리는 ‘한성에서 만나는 신라 월성’ 특별전에서 만나볼 수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와 한성백제박물관이 지난 2월 체결한 학술교류 협약을 바탕으로 월성 발굴조사 성과를 널리 알리기 위한 자리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