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글로벌 최대 유니콘 바이트댄스 커촹반 입성?, IPO 관심 증폭

기사입력 : 2019년02월25일 17:01

최종수정 : 2019년02월25일 17:01

중국 바이트댄스 기업가치 750억달러의 초대형 유니콘으로 꼽혀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세계 최대 규모의 ‘몸값’을 가진 스타트업 바이트댄스(ByteDance, 字節跳動)가 얼마 전 IPO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투자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홍콩 매체 SCMP는 지난 22일 한 소식통을 인용해 바이트댄스가 최첨단 기술기업 전용거래소인 커촹반(科創板)에 입성한다고 보도했다. 커촹반은 혁신 벤처기업을 위해 상하이에 개설되는 신규 주식거래 시장이다.

다만 바이트댄스측은 보도 내용을 공식 부인했지만, 바이트 댄스의 IPO를 둘러싼 업계의 관심은 한층 증폭되는 모양새다.

[사진=바이두]

혁신적인 기술력과 탄탄한 실적으로 유망 상장사의 요건을 갖춘 바이트댄스는 ‘IPO 대어’로 꼽히며 증권 업계의 뜨거운 ‘러브콜’을 받아왔다. 실제로 커촹반 관계자들은 바이트댄스측에 상장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1월 증감회(證監會)측은 커촹반 주력 상장 업종으로 △첨단장비 △신소재 △신에너지 △환경보호 △생물의약 △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인공지능 등 신흥 기술 업종을 지목했다.

구체적으로 예상 시총 10억위안 이상 기업의 경우 최근 1년간 매출이 1억 위안을 웃도는 동시에 순이익이 흑자 상태를 기록해야만 커촹반에 상장할 수 있다.  

현재 바이트댄스의 기업가치는 750억 달러(약 84조원)에 달하고, 2018년 매출은 500억을 넘어서는 만큼 커촹반의 상장 요건을 충분히 충족할 수 있다는 평가다. 특히 바이트댄스는 혁신 기술을 가진 유니콘으로서 A주 시장에 입성한다면 단숨에 ‘스타 상장사’로 등극할 전망이다

기관 투자자들도 바이트댄스의 증시 입성으로 ‘돈 방석’에 오를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세쿼이아 캐피탈 차이나(Sequoia Capital China), SIG 하이나야저우(海納亞洲),DST,신랑웨이보기금(新浪微博基金), KKR 등 국내외 저명 투자 기관들이 바이트 댄스에 자금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도 지난해 11월 바이트댄스의 주력 사업인 틱톡에 대한 투자를 단행했다. 

한편 바이트댄스는 올해 목표 매출을 1000억 위안으로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7년 매출 150억을 기록한 바이트댄스는 지난해 500억 매출 달성에 이어 올해도 2배가 넘는 실적 성장을 예고하고 나섰다.

바이트댄스는 설립 7년만에 인공지능, 미디어,SNS,쇼트클립, 금융, 교육,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손을 뻗으며 폭풍 성장을 실현해 왔다. 특히 중국의 기존 IT 공룡 ‘BAT’(알리바바,바이두,텐센트)로 투자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속 성장을 구가해 온 업체로 주목을 받았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