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 김창선 일행, 中·베트남 접경지역 기차역 점검
일각선 "할아버지 김일성처럼 기차 타고 베트남 가려 해"
60시간, 4000km…북·중 친선 과시용, 현실적으론 어려워
전용기 참매 1호기·중국 임대기 사용 가능성도 제기돼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전 세계의 이목이 모아지고 있는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여드레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기차를 타고 베트남을 찾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김 위원장의 집사로 현재 베노남 하노이에서 의전·경호 등의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 일행이 중국·베트남의 접경지역인 량선성의 기차역을 점검, 철도 이용설에 대한 관측이 제기되고 있는 것.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3월 29일 중국을 방문, 1호열차에서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량선성 기차역은 김 위원장이 육로로 베트남을 찾을 경우 최단 거리로 통과할 수 있는 지역이다.
일본 후지TV에 따르면 김 부장 일행은 량선성 기차역과 플랫폼을 꼼꼼히 확인하고 베트남 정부 관계자와도 대화를 나눴다. 김 위원장의 하노이 방문을 앞둔 이동경로 점검 차원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이 열차로 하노이를 방문하면 평양에서 중국을 거쳐 하노이를 방문하게 된다.
모두 4000km에 달하는 장거리 일정이다. 육로를 통해 중국의 발전상을 눈으로 지켜볼 수 있는데다 북·중 관계의 친밀함을 대외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중국을 방문하면서 북한 지도자들이 이용하는 1호열차를 타고 있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김 위원장이 하노이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을 마친 후 귀국 도중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 위원장의 롤모델인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 역시 열차를 이용해 베트남을 방문한 바 있다.
한편 대북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열차 이용 가능성에 대해 그다지 신빙성이 있다고 보지 않았다. 정상국가를 추구하는 김 위원장이 이동에만 60시간이 걸리는 열차 이용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위원장이 기차로 이동할 경우 대략 3일 정도가 소요된다. 또 열치 이동구간 중국 철도의 통제가 불가피하다.
![]() |
북한 최고 지도부 전용기 /김학선 기자 yooksa@ |
반면 비행기를 이용할 경우 평양에서 베트남 하노이까지 약 3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행에 거부감이 많았던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달리 김정은 위원장은 1차 북미정상회담 때 중국 전용기를 임대해 사용하고, 중국 방문 때도 참매 1호기를 이용하는 등 비행에 거부감이 없다.
이에 따라 이번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도 중국 비행기를 임대할 가능성, 김 위원장의 전용기인 참매 1호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참매 1호기는 노후화됐지만, 약 1만km의 비행거리를 가지고 있어 2760km의 평양·하노이 구간 비행에는 큰 문제가 없다.
다만 최고 지도자의 안전을 무엇보다 우선시하는 북한 정권의 특성을 감안할 때 1차 북미정상회담에 이어 이번에도 중국의 전용기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