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을 낳았으나 국모가 되지 못한 비운의 여인들
숙빈 최씨 육상궁 비롯한 일곱 사당 모인 '칠궁'
어머니 향한 영조의 지극한 효심, 칠궁 곳곳에
[서울=뉴스핌] 김세혁 기자 = [여기!서울]은 1000만 시민의 도시 서울 곳곳의 명소를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사람들이 몰려드는 핫플레이스는 물론, 미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 공간을 만나보세요.
서울 궁정동에 자리한 '칠궁'은 조선시대 왕을 낳은 어머니지만 왕비가 되지 못한 여인들의 신주를 모시고 있다. 청와대 내부라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금단의 구역' 느낌이 강한 칠궁은 지난해 6월부터 일반에 공개됐다. 올해 1월부터는 관람 방식이 더욱 확대돼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칠궁에는 영조의 어머니 숙빈 최씨를 비롯해 인빈 김씨(원종), 희빈 장씨(경종), 정빈 이씨(진종), 영빈 이씨(장조), 수빈 박씨(순조), 순헌 귀빈 엄씨(영친왕)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 자리한다. 순서대로 육상궁, 저경궁, 대빈궁, 연호궁, 선희궁, 경우궁, 덕안궁이라 부른다. 왕의 어머니면서 신분의 벽과 싸워야 했던 여인들의 삶은 수백년이 흐른 현재에도 뜨겁게 소용돌이치고 있다.
조상들은 사람이 죽으면 혼백이 된다고 믿었다. 사당은 혼을 모신 곳이다. 육신과 함께 백을 모신 곳이 바로 무덤이다.
◆왕들의 지극한 효심, 곳곳에 묻어나는 칠궁(七宮)
칠궁 입구로 들어서면 탁 트인 마당 왼쪽으로 가옥 한 채가 눈에 들어온다. 두 현판에 '송죽재' '풍월헌'이라 적혀 있다. 송죽재는 영조가 '육상궁'에 행차할 때 머물던 재실이다. 송죽재는 영조의 어진을 모신 시설이다.
재례에 앞서 심신을 정돈하던 송죽재와 풍월헌 앞에는 계단처럼 보이는 돌이 있다. 노둣돌, 즉 하마석이다. 말에서 내릴 때 이용했던 일종의 돌계단이다. 영조는 어머니에게 예를 다하기 위해 여기서부터 직접 걸어 사당으로 이동했다.
영조는 출신이 미천했던 어머니를 하늘처럼 생각했고, 왕이 되자마자 육상궁을 지어 신주를 모셨다. 칠궁 곳곳에는 노둣돌처럼 영조의 지극한 효심이 드러나는 시설들이 많다.
◆칠궁의 원래 주인 육상궁, 그리고 연호궁
송죽재와 풍월헌 옆으로 난 작은 나무다리를 오르면 비로소 '육상궁'이 보인다. 참고로 현재 칠궁 자리의 주인은 육상궁으로, 1929년 덕안궁을 마지막으로 여섯 궁이 이곳에 합쳐지면서 비로소 현재의 칠궁이 됐다.
육상궁은 칠궁의 주인 숙빈 최씨를 모신 곳이다 보니, 사당 입구서부터 제법 위세가 느껴진다. 조선시대에는 산자뿐 아니라 망자가 머무는 공간에도 권세의 흔적이 묻어난다.
입구로 들어서면, 정면의 사당 양쪽으로 대칭되는 건물이 한 채씩 마주한다. 이곳은 신주를 임시로 모시는 이안청이다. 육상궁에 화재 등 급한 일이 벌어졌을 때를 대비한 시설이다.
육상궁으로 알고 왔는데 현판엔 연호궁이라 적혀있다. 연호궁에는 효장세자의 모친이자 영종의 후궁 정빈 이씨의 신주가 모셔졌다. 정조는 즉위한 뒤 효장세자를 진종으로 추존하고 정빈을 위해 사당을 세우는 등 극진했다. 이는 모두 영조가 죽기 전 명한 일이었다.
정빈 이씨는 영조가 연잉군이던 시절 첩이었다. 화억옹주와 경의군, 화순옹주를 낳았다. 경의군이 바로 훗날의 효장세자다. 영조가 왕세제이던 시절 소훈에 책봉된 정빈 이씨는 안타깝게도 영조가 왕이 되는 것을 보지 못하고 28세에 요절했다.
가만 보니 연호궁 현판 뒤에 육상궁 현판이 숨어있다. 이 사실은 사당 가까이 가서야 드러난다. 원래 이곳이 육상궁이니, 당연한 일이다. 연호궁은 1870년 육상궁에 합사됐다. 조선시대 건축물 중 이런 독특한 현판 양식은 찾아보기 어렵다. 육상궁 현판이 안쪽에 자리한 것은 당연히 숙빈 최씨가 어른이기 때문이다.
숙빈 최씨는 무수리 출신이다. SBS 사극 '장옥정, 사랑에 살다'에서 한승연이 연기했던 그 최무수리다. 내인보다 천한 무수리에서 왕의 어머니가 됐으니, 드라마틱한 신분상승의 주인공이라 할 만하다.
이 숙빈 최씨를 둘러싸고 재미있는 설이 많다. 이문정의 '수문록'을 보면, 폐서인이 돼 사가로 쫓겨난 인현왕후의 생일을 맞아 기원을 올리다가 우연히 숙종의 후궁이 됐다는 대목이 나온다. 출신 자체가 남편과 사별한 기혼녀였다는 설도 있다.
역사적으로 숙빈 최씨는 희빈 장씨(장희빈)의 라이벌 인현왕후와 관련이 깊다. 희빈 장씨 탓에 폐위된 인현왕후가 궁으로 돌아온 배경에는 숙빈 최씨의 역할이 컸다. 장희빈이 인현왕후를 무고했다고 고발한 인물이 바로 숙빈 최씨다.
육상궁의 전신은 1725년 경복궁 북쪽인 현재 자리에 영조가 세운 숙빈묘다. 영조는 워낙 효자였고, 자신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도 어머니의 신분상승이 필요했다. 1744년 영조 20년, 묘호를 올려 육상묘라 했고, 1753년 묘를 궁으로 승격한 것도 그 때문이다. 육상궁은 1882년 소실됐으나 이듬해 다시 지어졌다.
육상궁 왼쪽으로 나오면 영조가 즐겨 마셨다는 우물 '냉천'이 있다. 여기서 흘러내린 물이 고인 직사각형 연못이 이름하여 '자연'이다. 한겨울 추위에 자연은 완전히 얼어붙었다. 이 연못 앞에 '냉천정'이 자리한다. 영조의 어진이 보관된 곳으로, 건립 시기는 미상이다. 육상궁이 숙빈묘이던 시절, 영조 초반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현판은 영조의 손자인 순조가 직접 썼다. 전서체 특유의 오묘함이 감돈다. 냉천정은 영조가 어머니의 제사 전에 몸을 정결히 하던 곳이다. 온돌방과 대청으로 구성되며 뒤로 냉천이, 앞으로 자연이 자리한다.
냉천정까지 오는 동안 칠궁 중 두 궁을 봤으니, 앞으로 다섯 궁이 남았다. 이 중에는 그 유명한 희빈 장씨의 신주를 모신 대빈궁도 있다. 조선왕조 500년을 통틀어 궁녀 출신으로 정실 왕비까지 올라간 전무후무한 인물 희빈 장씨 이야기는 다음에 이어진다.
starzoob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