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전시·아트

속보

더보기

중국 국민화가 치바이스와 그의 스승 팔대산인의 걸작을 서울서 본다

기사입력 : 2019년01월28일 09:29

최종수정 : 2019년01월28일 09:29

[서울=뉴스핌] 이영란 편집위원= 중국인들이 “피카소보다 나으면 나았지 절대 뒤질 게 없다”고 강조하는 중국의 국민화가 치바이스(齊白石·1864~1957)의 작품전이 서울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겨울 한파에도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이 전시에는 ‘중국의 피카소’라 불리며 20세기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화가 치바이스의 서화 80여 점이 내걸렸다.

치바이스, 활색생향 화훼초충책 중 ‘맨드라미와 나비’. 1937. 중국국가미술관 소장 [사진=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뿐만 아니라 치바이스의 예술에 결정적 역할을 했던 명말청초(明末淸初)의 문인화가 팔대산인 주탑(朱耷 1626~1705)과 청나라 말기를 풍미했던 우창쉬(吳昌碩 1844~1927)의 회화 20점이 함께 전시되고 있다. 아울러 사실적이면서도 표현적인 인물 조각으로 유명한 우웨이산(1962~)의 조각 8점 등 총 116점의 작품이 한국에 왔다. 출품작은 모두 중국국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것들로, 이 가운데 우리의 국보, 보물에 해당되는 국가 1급 문물 13점이 포함됐다. 특히 중국은 물론 한국 서화계에서도 늘 ‘전설’로 운위되던 팔대산인(八大山人)의 대표작이 한국서 처음 공개돼 화제다.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과 공동으로 전시를 기획한 중국국가미술관의 우웨이산 관장은 “팔대산인 주탑의 작품은 전해지는 숫자가 적어 중국에서조차 희귀하다. 그의 작품 7점이 해외전시를 위해 반출된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우웨이산, ‘치바이스 두상’, 2004. 청동. 중국조소연구원 소장 [사진=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이번 전시의 타이틀은 ‘같고도 다른: 치바이스와의 대화’이다. 치바이스가 스스로를 일컬어 ‘팔대산인 문하의 주구(走狗)’라 했을 정도로 깊이 흠모했던 팔대산인과 근대 거장 우창쉬의 작품이 치바이스 작품과 나란히 걸려 비슷하면서도 서로 다른 예술세계를 살펴볼 수 있다. 치바이스 작품만 기대하고 전시를 찾았던 관람객들은 팔대산인의 대표작인 ‘죽석영지도’와 4폭병 ‘학 사슴 오리 기러기’, 자화상에 해당되는 ‘물고기와 수초도’(1694년작) 등이 출품된 것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팔대산인은 ‘형사(形寫)’, 즉 대상의 모습을 그대로 표현하는 화원화가의 기교 대신, 뜻을 그리는 ‘사의(寫意)’를 추구하며 문인화의 기틀을 세운 기념비적인 작가다. 치바이스가 “구천에서 개가 되어 그 문하에서 수레바퀴를 돌리고 싶다”고 토로한 것은 그 독자적이면서도 자유분방한 예술세계에 매료됐기 때문이다.

명 태조 주원장의 후손인 팔대산인은 1644년 명나라 왕실이 전멸하자 벙어리 흉내, 미치광이 흉내를 내며 승려가 됐다. 54세에 환속한 그는 황공망(黃公望), 동기창(董其昌)에게 산수화를 배웠고 59세에 팔대산인이라는 별호를 쓰기 시작했다. 이후 자신의 화풍을 뚜렷이 세웠는데 붓과 먹으로 정신을 표현하는 ‘필묵사의’의 세계와, 대상을 테두리 없이 먹의 농담만으로 호방하게 표현하는 몰골법(沒骨法)이 그로부터 나왔다.

전시작 중 팔대산인이 70세에 그린 ‘물고기와 수초도’는 화가의 자화상이나 다름 없다. 수초들 위로 한 마리의 물고기가 그려졌는데, 뾰로퉁한 눈동자가 보는 이의 눈길을 잡아끈다. 새나 물고기를 통해 자신의 심정을 반영했던 화가의 의도가 읽혀진다.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의 이동국 수석큐레이터는 “물고기를 화면 중앙에 배치한 구도가 무척 파격적이다. 그림에 쓴 자작시에서 팔대산인은 스스로를 신화 속 물고기에 비유하고 나라를 잃고 떠돌지만 한족의 자존심은 지키겠다는 저항의식을 드러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시를 써내려간 글씨체도 독특한데 붓 끝을 싹둑 잘라 쓴 것이다. 당시로선 상상할 수 없는 파격으로 군더더기 없는 담박과 천진 그 자체”라고 평했다.

팔대산인 주탑, ‘죽석영지도-대나무와 바위, 영지’ [사진=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대나무와 바위, 영지를 한 화폭에 넣은 ‘죽석영지도’ 또한 대단히 혁신적이다. 화면 상단에 사각과 원을 배치하고, 대나무와 영지를 그려넣었다. 오늘날 많은 화가들이 시도하는 ‘그림 속 그림’인 셈이다. 300여년 전에 이같은 파격을 시도했다는 사실이 경이롭다. 연의 줄기는 쇠꼬챙이처럼 길고 가늘게, 꽃은 마치 먹물을 들어부은 듯 흥건하게 표현한 팔대산인의 ‘연꽃’도 내걸렸다. 먹의 농담만으로 대상을 입체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천재의 역량을 가늠할 수 있다.

팔대산인과는 달리 치바이스는 찢어지게 가난한 집안 출신이다. 중국 후난성 샹탄현의 농가에서 태어나 목공 일을 하며 근근이 생계를 이어갔던 치바이스는 1901년 친구집에서 우연히 팔대산인의 그림을 접했다. 팔대산인의 탈속한 듯한 붓질과 간결한 화면에 빨려든 치바이스는 이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며 그만의 화풍을 개척했다. 이번 전시에는 ‘마음의 스승’인 팔대산인의 ‘연꽃’과 치바이스의 ‘연꽃’이 나란히 출품돼 비교 감상해볼 수 있다. 팔대산인의 연 그림이 줄기는 철사처럼 가늘게, 잎은 큼지막하게 농담을 살리며 강렬한 대비를 보여준다면 200년 후인 치바이스의 연꽃은 닮은 듯하지만 마른 붓질과 청신한 기운에서 차이가 또렷하다.

청나라 때 상하이를 무대로 활발하게 전개됐던 후(後) 상해파의 거봉인 우창쉬의 화조화와 스무살 후배 세대인 치바이스의 화조화를 비교해가며 음미하는 것도 흥미롭다. 비문 글씨인 금석의 필획을 서화에 접목해 명성을 떨쳤던 우창쉬는 화조에도 능했다. 대각선 구도의 우창쉬의 모란이 단아하고 기품이 있다면 치바이스의 모란 그림은 보다 자유분방하고 표현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번 기획전은 역사 속 사제지간인 팔대산인과 치바이스, 동시대를 함께 했던 우창쉬와 치바이스를 함께 비교하며 감상하도록 했다. 1·2섹션에는 또 우웨이산, 진상이(1934~), 우추어런(1908∼1997), 리후(1919∼1975), 장구이밍(1939∼2014) 5명의 현대미술가들이 치바이스 등의 모습을 형상화한 조각과 회화도 곁들여졌다.

치바이스, 분향승, 1933. 중국국가미술관 소장 [사진=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3섹션에서는 치바이스의 작품 50여점이 그림의 소재, 표현기법, 미학적 취제 등을 고려해 4개의 단원으로 전시되고 있다. 당대 부패한 기득권층을 유머러스하게 풍자한 인물화와 자전적인 인물화, 물고기와 게 새우를 유유자적하듯 그린 그림, 세밀하면서도 매력적인 화조초충화가 이 섹션에 나왔다. 마지막 코너에서는 산수 소재를 간필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영혼의 해방을 구가한 작품이 출품돼 그가 왜 중국 문인화를 완성한 화가로 불리는지 보여준다. 지난 2017년 12월 베이징의 바오리경매에서 중국 회화 사상 최고가인 1532억원에 낙찰된 치바이스의 ‘산수 12조병’과 대비하며 음미하면 좋을 듯하다.

감상자 중에는 치비이스의 무심한 듯 쓱쓱 그은 필치와 새우, 게, 꽃 등 일상의 소재를 그린 편안하면서도 청신한 그림에 매력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 맑고 담백한 분위기 속에서 자연과 삶에 대한 관조와 연륜이 느껴지는 그의 작품은 한국 화가들에게도 적잖이 영향을 미쳤다. 한편 돋보기가 필요할 정도로 정교한 공필로 꽃과 곤충을 세밀하게 그린 초충도에 찬사를 터뜨리는 이들도 많다.

치바이스는 인물 중심의 세필화를 배우면서 화업을 익혔고 이후 자연의 변화무쌍한 모습과 생물의 동태를 끈질기게 관찰하며 이를 수묵과 채색으로 담담하게 표현했다. 팔대산인과 우창쉬까지 위대한 선각들의 그림을 끝없이 학습하고, 그들과 대화한 끝에 평범한 민간화가에서 문인화가로 거듭난 것이다.

선대 거장을 추종했으나 획기적인 변신을 이뤄낸 치바이스는 옛 법을 통달해 ‘마음의 법칙’을 일궈냈다. 그 자신 후학들에게 “나를 배우려 하는 자는 살 것이요, 나를 닮으려는 자는 죽을 것이다”라며 자신만의 그림을 그릴 것을 강조했다. 과거와 현재를 통달한 기초 위에 민간예술의 순수함을 한데 섞어 현대 중국회화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은 치바이스의 진면목을 살필 수 있는 전시는 오는 2월17일까지 계속된다.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은 정기휴관일인 월요일(2월4일)을 제외하곤 설연휴 내내 전시장을 개방할 예정이다. .

art29@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윗집 발망치 소리, 내년부터 끝" [세종=뉴스핌]김정태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지난 2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주택성능연구개발센터(HERI). 세종시에 위치한 이곳에는 주택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여러 시험동이 있지만, 5층짜리 실제 아파트 건물 한 동이 눈에 들어왔다. 출입구 한켠에는 'db35lab(데시벨 35 랩)'이란 영문과 숫자 표기가 부착돼 있었다. 아파트 1층 내부에 들어가야 이 표기의 의미를 알게 됐다. 이는 LH가 층간소음 1등급 기준인 37데시벨보다 낮은, 도서관처럼 조용한 집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은 층간소음기술연구소의 시험동 이름이다. 층간소음 등급별 시연 모습 [사진=국토부기자단 공동] 거실에 설치된 대형 모니터 화면에는 2층의 층간소음을 일으킬 수 있는 런닝머신, 책상과 의자, 공 등의 도구들이 보였다. 우선 화면을 통해 윗층에서 아래층에 전달되는 성인의 발걸음 소리를 들려줬다. 말 그대로 '발망치' 소리였다. 들려오는 소음은 49데시벨로 4등급 수준이다. 층간소음의 기준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2005년 전에 지어진 공동주택의 경우 일부에서 이러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중량충격음이다. 이번에는 실제로 윗층에서 걷는 소리를 듣는 순서였는데, 귀를 쫑긋 세우지 않고서는 소음을 느끼기 어려웠다. 미세한 진동음이 들리긴 했지만, 불편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어 1m 높이에서 3kg 무게의 공을 떨어뜨리는 실험도 시연됐다. 이는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중량충격음으로, 역시 4등급 수준에서는 참기 어려운 소음과 진동이 느껴지지만, 이곳의 실제 시연에서는 역시 진동음이 확 줄었다. 의자 끄는 소리는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음이어서 경량충격음이라고 하는데 4등급 수준에서는 참기 어려울 정도로 불편했지만, 실제 시연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로 충격음이 전달되지 않았다. 이처럼 층간소음이 획기적으로 줄어든 데는 1등급 기준인 37데시벨에 맞춘 성능으로 시공된 바닥 때문이었다. 기존 슬래브 두께보다 두꺼운 250mm로 시공하고, 그 위에 40mm 복합완충재와 30mm 고밀도몰탈 및 와이어 메쉬 등을 함께 깔아 놓은 바닥재다.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기술은 2023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했으나, 슬래브 두께는 210mm로 상대적으로 얇고 낮은 등급의 완충재와 일반 몰탈을 적용해 3등급 수준에 머물렀으나, 이를 매년 개선해 온 결과 올해 1등급 기준을 충족하게 됐다. LH는 이러한 기술 개발을 실험동 연구에 그치지 않고, LH 공동주택 각 현장에 실증 시공을 하면서 실증 결과 데이터를 쌓아왔다. LH가 층간소음 저감기술을 처음으로 적용한 단지는 양주회천 A15블록으로, 당시 3등급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평택고덕 ab57-2블록에 2등급 수준으로 끌어 올려 적용했다. LH 연구원 관계자는 "이 같은 1등급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2022년부터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과 공법을 연구해 왔다"면서 "47개의 기술 모델 개발과 총 1347회에 걸친 실증을 거쳐 자체 1등급 기술 모델을 정립해 내년부터 주택 설계에 본격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같은 1등급 기준 설계로 분양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기존 공동주택 24평형(전용면적 59㎡) 기준으로 가구당 300만~400만 원의 공사비가 더 소요되는 것으로 LH는 추정하고 있다. 정운섭 LH 스마트건설본부장은 "층간소음 1등급 설계 적용 때문에 수분양자의 분양가 상승 부담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자체 원가절감과 함께 정부 재정 지원을 요청한 상태"라면서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공사비 상승의 주요인인 슬래브 두께를 슬림화하면서도 1등급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층간소음감지기를 통해 경고 알람이 뜨는 월패드 시연 장면 [사진=국토교통부기자단 공동] 층간소음 1등급 설계는 새로 짓는 공동주택에서만 가능하다. 때문에 구축에서는 이러한 혜택을 누리기 어렵다. LH는 이를 보완하는 방안으로 층간소음 감지기를 IT업체와 협력해 개발 중이다. 바닥에 여러 차례 충격을 줄 경우, 층간소음 감지기의 센서가 작동해 해당 세대 월패드를 통해 주의를 당부하는 알람이 뜨도록 하는 장치다. 정승호 LH 스마트주택기술처 팀장은 "구조적으로 층간소음을 줄일 수는 없겠지만, 층간소음을 일으키는 기준을 해당 세대에게 알림으로써 아래층 이웃과의 분쟁을 줄일 수 있도록 고안한 장치"라고 말했다. 실제 이날 시연은 기존 공동주택에 적은 비용으로도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팸투어에 참여한 국토교통부 기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 [사진=뉴스핌DB] LH는 바닥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국한하지 않고, 옆 세대와의 벽간소음, 화장실 배관 소음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생활소음 저감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벽간소음을 저감하는 소음 차단 성능 1등급 벽체 구조는 2019년 11월부터 이미 설계에 반영한 바 있다. 내년부터는 화장실 배관이 아래층을 통하지 않고 각 세대 내에서 설치되는 자체 배관을 적용해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도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내구성이 좋은 장수명 주택, 수요자의 취향에 맞게 가변형 평면 구성이 가능한 라멘 구조 주택, 레고처럼 조립·건설하는 모듈러 주택 등 주택 건설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는 주택 유형에도 층간소음 1등급 접목 방안을 모색해 적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LH는 층간소음 저감 기술 저변을 민간으로 확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민간의 고성능 신기술을 발굴하고, 다양한 1등급 기술 요소의 시장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올해에는 층간소음 기술 마켓을 통해 6개의 고성능 기술을 발굴했으며 LH 공공주택 현장에서 그 성능을 검증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LH는 층간소음 1등급 적용 확산을 위해 db35lab을 내년 3월부터 전면 개방하기로 했다. 자체 층간소음 시험 시설이 없는 중소기업에 데시벨 35랩을 테스트베드로 제공해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LH는 또 그간 개발해 온 층간소음 저감 기술 요소와 시공법, 실증 결과를 중소 민간 건설사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더불어 자체 기술 개발과 층간소음 저감 시공·품질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들에 대한 기술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이한준 LH 사장은 "2년 전 취임 당시 제일 먼저 강조한 게 층간소음 문제 해결을 약속한 것이었다"면서 "내년부터는 LH가 짓는 모든 아파트에 1등급 기준을 적용해 국민 일상의 생활 고통을 덜어주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는 벽식 구조의 공동주택에서 벗어나 라멘(기둥식) 구조와 모듈러에도 층간소음 1등급 기준을 적용해 100년 이상 가는 장수명 주택의 근간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dbman7@newspim.com 2024-11-24 11:00
사진
기후동행카드, 고양·과천도 30일부터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가 오는 11월 30일 첫 차부터 고양시와 과천시까지 서비스를 확장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서울~고양~과천을 오가는 시민들도 월 5만~6만원대로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 1월 27일 서울 지역을 대상으로 출발한 기후동행카드는 3월 30일 김포골드라인, 8월 10일 진접선·별내선까지 확대됐다. 서울 공동생활권인 인구 100만의 대규모 도시 고양시와 지리적으로 서울시와 경기남부의 길목에 위치한 과천시까지 연결됨에 따라 수도권으로 본격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서울 외 지역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도시철도 구간 [이미지=서울시] 서울시와 고양시, 과천시는 지난해 2~3월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후속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고 11월 30일 고양시(3호선·경의중앙선·서해선), 과천시(4호선)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를 확정지었다. 관계기관들과 함께 시스템 개발·최종 점검을 완료했다. 이번 확대로 3호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역에서 서울시 송파구 오금역까지 모든 역사(44개)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경의중앙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역에서 구리시 구리역까지 34개 역사, 서해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역에서 서울시 강서구 김포공항역까지 7개 역사, 4호선은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역사까지 34개 역사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현재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에 이미 고양시를 경유하는 서울 시내버스 28개 노선과 과천시를 경유하는 6개 노선이 포함돼 있음을 고려하면 서울과 고양·과천을 통근·통학하는 약 17만 시민의 이동 편의가 더욱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이용범위가 대폭 확대되면서 과천·고양 등 시민들도 기후동행카드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동일하게 누릴 수 있다. 과천시 4호선 확대로 대공원역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만큼 방문 시 서울대공원 50% 할인 등 혜택을 참고하면 된다.  기후동행카드는 올해 1월 23일 서비스 시작 이후 70일 만에 100만 장이 팔리는 등 시범사업 단계부터 큰 호응이 확인된 바 있다. 7월부터 본사업에 들어가면서 청년할인권·관광객을 위한 단기권 등 다양한 혜택이 더해졌다. 평일 최대 이용자가 65만명이 넘어가는 등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시는 고양·과천 지하철 적용을 시작으로 수도권 시민들에게도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협의·시스템 개발 검토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확장을 위한 타 경기도 지자체와의 논의 역시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고 시는 덧붙였다.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려면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전화에서 '모바일티머니' 앱을 무료로 다운받아 충전하면 된다.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 지하철 인근 편의점 등에서 구매한 후 서울교통공사 1~8호선, 9호선, 신림선·우이신설선 역사 내 충전기에서 권종을 선택·충전 후 사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의 고양시, 과천시 확대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고양시(031-909-9000), 과천시(02-3677-2285),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김포·남양주·구리에 이어 고양·과천 확대로 경기도 동서남북 주요 시군까지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대중교통 혁신이 이어지고 있다"며 "교통비 절감·생활 편의·친환경 동참 등 일상 혁명을 수도권 시민들까지 누릴 수 있도록 수도권 지역 서비스 확대·편의 향상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 2024-11-21 11:1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