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김용(59·미국명 Jim Yong Kim) 세계은행 총재가 갑작스럽게 사임을 발표하면서, 후임 총재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를 이어나갈 인물이 들어설지 여부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7일(현지시간) 김 총재는 오는 2월 1일 총재직에서 사임할 예정이라고 돌연 발표했다. 임기를 3년이나 남겨 놓은 사임 결정이라 후임 총재 인선을 놓고 내홍이 예상된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세계은행뿐 아니라 국제무역기구(WTO) 등 국제기구의 취지 자체에 회의적인 시각을 던지고 있어 미국과 신흥국 간 기싸움이 예상된다.
미국 금리인상과 무역 긴장 고조 등으로 신흥국들이 이미 대외 악재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총재 지명 권한을 가진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이 세계은행의 자금 운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존 볼턴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은 지난 2016년 한 칼럼에서 세계은행의 민영화를 주장했고, 데이비드 맬패스 미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은 중국이 이미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자본을 조달할 능력이 있는데도 세계은행이 중국에 막대한 자금을 빌려주는 데 불만을 제기해 왔다.
지난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중 유럽 재건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세계은행의 최대 주주는 미국이다. 지금까지 세계은행 총재는 미국인이 맡고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유럽인이 맡는다는 것이 미국-유럽 동맹의 비공식 불문율이었다. 하지만 최근 일부 국가들이 신흥국 출신의 총재를 주장하고 있다.
총재 지명은 미국 대통령이 하지만, 최종 인선은 189개 회원국 대표로 구성된 이사회의 몫이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이 입맛에 맞는 인물을 지명한다 해도 신흥국들이 거세게 반발하면 임명이 불발될 수 있다.
라구람 라잔 전 인도준비은행 총재는 “국제기구들이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으려면 세계은행과 IMF 총재직을 미국과 유럽이 손에 쥐고 내놓지 않는 관행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스콧 모리스 미국 글로벌개발센터(CGD) 선임연구원은 “세계은행은 언제나 동맹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고, 여러 가지 동맹 중 핵심적인 것은 미국과 유럽 간 75년 동안 이어온 동맹이었다. 하지만 그러한 핵심 동맹이 계속될 것이라는 근거를 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2012년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의 지명을 받아 로버트 졸릭 전 총재 후임으로 임명됐다. 당시 나이지리아 재무장관 및 콜롬비아 출신 교수와 경선을 벌였다. 김 총재부터 신흥국 후보자들의 도전을 받은 것이다.
오바마 전 대통령이 신흥국의 이러한 도전을 막기 위해 2016년 김 총재의 연임을 신속히 승인했을 당시 세계은행 직원단체는 ‘리더십 위기’를 개탄하며 ‘밀실 거래’를 중단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김용 세계은행 총재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