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창어(嫦娥)는 달에 사는 선녀다. 중국에서 창어는 달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본래는 중국 고대 전설상의 영웅인 ‘허우이’의 아름다운 부인이었다.
천하 권세를 잡은 허우이가 폭력을 일삼자 창어는 쿤룬(昆侖)산의 서왕모(西王母)에게서 얻어온 장생불로약을 훔쳐 옥토끼(玉兔)가 산다는 달로 달아났다. 그렇게 창어는 달의 광한궁(廣寒宮)에서 영생을 하게 됐고, 후세 중국인들은 창어가 사는 달을 신비로움의 상징으로 여겼다.
달 빛에 가려진 창어의 신화가 중국의 최첨단 우주 과학기술에 힘입어 태양광이 깃든 역사로 다시 쓰여지고 있다. 중국은 2019년 1월 3일 창어(嫦娥) 4호를 인류가 한번도 가보지 못한 달 뒷면에 착륙시켰다. 달 뒷면에 착륙한 창어(嫦娥)’ 4호는 무인 로봇 탐사차 ‘위투(玉兔, 옥토끼)-2’를 분리시킨 뒤 본격적인 탐사에 돌입했고 영상을 보내기 시작했다.
강대국간 우주개발 경쟁은 지난 1957년 구소련의 인류 최초 로켓 스푸트니크호 발사로 본격화됐고 한참동안 중국은 미·소 양국의 뒤를 멀리서 쫓아가는 정도였다. 하지만 구소련과 미국에 이어 2003년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 5호 발사에 성공했고 건국 70주년을 맞는 2019년 마침내 달 뒷면에 세계 최초로 인류가 만든 인공로봇의 발자국을 남겼다.
수천년간 신비롭고 애틋하게 중국인들의 마음을 움직여온 우주 속 창어의 전설은 그렇게 신비의 베일을 벗었다. 옛부터 중국인들에게 달은 아름다움의 표상이었다. 중국인들은 밝고 아름다운 달 ‘웨량(月亮)’을 매개로 부모형제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달랬다. 달은 중국의 전통 문화와 민족 정서, 각종 시 문학에도 심원한 영향을 줬다. 내로라하는 중국의 옛 시인들 치고 달을 노래하지 않은 이가 거의 없다.
'明月機時有(밍웨지스유)'로 시작해 ‘但愿人長久(단위안런창주) 千里共嬋娟(첸리궁찬쥔)’ 으로 마무리되는 소동파의 긴 시(歌詞) '水调歌头·明月機時有(수조가두 명월기시유)' 는 달에 관한 중국 시의 압권이다. 소동파는 ‘비록 만나지는 못해도 명절날 한날 한시에 달을 바라보며 수천리 밖의 가족을 그린다는 내용으로 달을 노래했다. 이 시에서도 달은 자태 고운 아름다운 여인이라는 뜻의 ‘찬쥔(嬋娟)’으로 묘사되고 있다.
통신 수단이 없던 그 옛날, 달은 지금의 ‘스마트폰’ 처럼 친지간 안부를 묻고 정회(情懷)를 나누는데 더할나위없이 맞춤한 소통의 도구였다. ‘床煎明月光 (촹첸밍웨광) 疑是地上霜(이스디상솽) 举头望明月(쥐터우왕밍웨) 低头思故乡(디터우쓰구샹)’. 당대 최고의 시인 이백(李白)은 중국 아이들이 걸음마보다 먼저 익힌다는 ‘징예스(靜夜思)에서 달을 소재로 타관객지의 나그네 그리움을 절절히 읊고 있다.
창어는 여전히 중국 인문 서정의 심벌로 남아있으나 로봇 탐사차 위투(玉兔, 옥토끼)-2가 본격적인 달 탐사에 나섬에 따라 달의 전설은 이제 과학이 됐다. 위투-2는 이미 영상을 송신한데 이어 앞으로 달 뒷표면의 토양 지형 광물까지 탐사, 귀중한 자료를 계속해서 지구로 보낼 예정이다.
중국은 올해 중 추가로 창어 5호를 발사하고 연이어 2020년에 창어 6호를 발사,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달에 대한 정보를 채집해 지구로 가져올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5년에는 달에 기지를 설립하고, 2030년에는 중국 우주인을 달에 보낸다는 장대한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달은 이제 중국의 광대한 우주탐사 개발계획과 ‘중국제조 2025’로 대표되는 기술굴기의 상징물이 됐다. 한때 우주개발의 출발이 한참 뒤쳤지만 창어 4호 발사에 성공함으로써 이젠 미국까지 위협하는 상황이 됐다. 발사 성공 다음날인 4일 저녁 주한 중국 대사관에서 만난 중국 외교관은 ‘자랑스런 일이지만 미국 견제가 걱정된다’고 소감을 밝혔다. NASA(미국항공우주국)도 이번 창어4호 발사에 대해 매우 인상적이라며 놀라움을 표시했다.
중국 국기 오성기를 부착한 창어 4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표방하는 중국몽(中國夢),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여봐란 듯이 무주공산과 같은 달에 내려앉았다. 우리 한국에게 달은 여전히 옥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는 '신화의 나라'일 뿐인데, 중국은 무서운 우주굴기의 행보속에 '이 곳은 옛날부터 창어가 살던 우리 땅'라고 주장하며 영토 깃발을 꽃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