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 10.7%로 역대 최고치…"올해 더 오를 것"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 신용카드, 대부업의 대출 연체율이 심상치 않다. 경기 둔화로 인해 어려운 이들이 더 어려워지는 형국이다. 특히, 저축은행 등이 대출 심사와 관리를 강화하면서 이들 취약차주가 사금융 시장으로 내몰릴 가능성도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9월말 9.57%를 기록했다. 이는 1년 전보다 1.28%포인트 오른 것. 이 소액신용대출은 300만원 한도로, 주로 신용등급 7등급 이하 저신용자들이 이용한다. 금리 수준은 작년 11월 연 21.34%. 이 대출의 연체율은 취약차주 상황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척도다.
저축은행별 연체율은 애큐온저축은행이 지난해 9월말 12.07%로 약 6%포인트 올랐다. OK저축은행은 10.51%, SBI저축은행은 5.55%로 전년보다 각각 1.49%포인트, 0.37%포인트 상승했다. JT친애저축은행 연체율은 소폭 하락했지만, 15.55%로 여전히 가장 높았다.
새로운 대출규제 방식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26일 시행된다. DSR은 개인이 상환해야 하는 연간 대출의 원금과 이자가 연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을 종합적으로 산정한 것으로 신용대출과 자동차할부금, 카드론 등 모든 종류의 부채를 포함한다. 기존의 총부채상환비율(DTI) 보다 대출요건이 까다로워 진다. 이날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의 모습. /이형석 기자 leehs@ |
이러한 흐름은 카드, 대부업에서도 나타났다. 카드대출 연체율은 지난 1년간 지속 상승, 2017년 9월말 2.98%에서 지난해 9월말 3.15%가 됐다. 상위 대부업체 19곳의 지난해 9월말 평균 연체율이 10.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부업에서는 연체율 14% 이상을 위험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연체율 상승은 지난해 가계대출 규제강화 영향이 컸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지난해 법정 최고금리 인하,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도입 등을 통해 가계대출 증가를 억제했다. 통상 대출 억제기에는 연체율이 올라간다. 새로운 대출자산이 유입되지 않아 모수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가계대출 규제강화 기조에 따라 소액대출 규모를 줄이는 추세"라며 "소액대출을 받는 차주는 신용등급을 비롯해 여건이 좋지 않아 리스크도 크다"고 설명했다. 대부업 관계자도 "신규대출이 줄어들면서 가계 유동성이 축소돼 연체율이 상승했다"고 말했다.
문제는 올해부터다. 가계대출 규제강화가 지속되고 경기침체 장기화, 기준금리 인상 등이 더해지면서 대출 연체율 상승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취약차주 비중이 높은 2, 3금융권을 시작으로 부실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면 차주의 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은 점차 커지는데, 상대적으로 취약차주가 감내하기 더 어렵다. 또 신용대출은 담보가 없어 연체율이 오르면 가계대출 부실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0.5%포인트 오를 때, 보유자산을 모두 처분해도 빚을 갚을 수 없는 고위험 가구의 금융부채 규모가 4조7000억원 늘어난다. 지난해 말 기준금리 인상분인 0.25%포인트가 고스란히 대출금리 인상에 반영된다 가정하면, 고위험 가구 금융부채는 2조3500억원 증가한다.
2, 3금융권에서도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취약차주에 대한 대출을 줄이고 있다. 지난해 연체율 상승에는 기존 차주들이 대출 만기를 연장하지 못하고, 상환을 요구받은 기한 내 대출금을 갚지 못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가계대출 연체율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도 대출심사 강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이에 대출심사에 탈락하는 저신용 차주들이 불법 사금융 시장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말 대부업 대출잔액이 17조4000억원으로 6개월 전보다 9000억원 늘었음에도, 이용자는 236만7000명으로 10만명 줄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체율이 오르면 금융회사는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취약차주 대출을 줄인다"며 "신용도가 낮은 취약차주의 어려움이 커질 것으로 예상돼 이들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mil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