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다정 소령, 2019년 개발시험비행 교육과정 참여
항공무기 체계 전력화 전 성능·안전성 시험·평가
약 1000여 시간의 총 비행시간 보유 베티랑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공군 최초로 여성 개발시험비행 조종사가 탄생할 전망이다. 개발시험비행 조종사는 연구 개발 중이거나 새롭게 개발된 항공기에 탑승해 최악의 상황을 스스로 만들어 항공기가 견딜 수 있는 지를 시험해보는 임무를 수행하는 요원이다.
공군은 2일 "공군 52시험평가전대 제281시험 비행대대에서 진행되는 2019년 개발시험비행 교육과정에 정다정 소령이 참여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 소령은 한국형 차세대 전투기사업(KF-X)과 같은 신규 개발 전투기 뿐만 아니라 무장·레이더 등과 같은 모든 항공무기 체계들이 상용화·전력화되기 전에 그 성능과 안전성을 시험하고 평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개발시험비행 조종사는 공중에서 일부러 엔진을 끄고 다시 켜는 비행이나, 의도적으로 조종불능 상태에 빠뜨린 후 항공기의 회복 특성을 파악하는 비행 등과 같이 비정상상황 하에서의 비행을 실시한다.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까다로운 비행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개발시험비행 교육과정에는 비행시간 700시간 이상 등의 자격 요건을 갖춘 정예 조종사만이 지원할 수 있다.
![]() |
여성 최초 개발시험비행조종사로 선발된 정다정 소령(진)이 사천기지에서 FA-50 항공기를 배경으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공군] |
또한 학술 능력과 강인한 정신력과 체력까지 모두 겸비한 지원자 가운데 우수 인원을 엄선해 선발하게 된다. 공군은 1990년부터 개발시험비행조종사를 선발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총 42명의 개발시험비행 조종사를 배출해왔다.
정 소령은 공사 57기로 2005년 공군사관학교에 입학해 4년간의 생도생활을 마치고 2009년에 공군 소위로 임관했다. 이후 비행훈련 과정을 거쳐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KF-16 전투조종사로서 2010년부터 제20전투비행단에서 근무를 시작했다.
주 기종 비행시간 약 800여 시간을 포함해 약 1000여 시간의 총 비행시간을 보유한 정 소령은 훈육관 근무를 자원해 2017년부터 2년간 사관학교에서 근무했다.
![]() |
2019년 개발시험비행조종사 교육과정에 입과한 정다정 소령(진)(사진 가운데), 우홍균 대위(사진 좌측), 이철수 소령(진)이 FA-50항공기를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공군] |
아울러 정 소령을 비롯해 이번에 선발된 개발시험비행조종사인 이철수 소령(진), 우홍균 대위 등 총 3명의 교육요원들은 2일부터 46주간의 이론·실습 교육으로 개발시험비행 조종사 자격(X-1)을 취득하게 된다. 또한 미국과 캐나다 시험비행학교에서 진행되는 보수교육을 통해 전문 기량을 향상할 예정이다.
공군은 이들이 KF-X 사업이 본격화되는 2022년부터 KF-X 개발시험비행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 소령은 "국내 최초 여성 개발시험비행 조종사의 이름에 부끄럽지 않도록 하겠다"며 "대한민국 최초의 전투기인 KF-X 개발 등 다양한 시험비행 임무를 통해 실제 작전 환경에서 전투기를 운영하는 동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개발시험비행 조종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