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세계증시가 10월 들어 공포의 한 달을 보내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세계 주요국 증시를 추적하는 FTSE 전세계지수가 이달 들어 7% 하락하며 남은 기간 낙폭을 회복하지 못하면 2012년 유로존 채무위기 이후 최대 월간 낙폭을 기록할 전망이다.
FTSE 전세계지수를 구성하는 3211개 종목 가운데 3분의 1 가까이가 올해 들어 미달러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20% 이상 증발했고, 절반을 훨씬 넘는 종목이 10% 이상 떨어졌다. 85개 종목만이 연중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주식 외 다른 금융자산도 거의 모두 하방 압력을 받아, 올해 상승한 자산군은 미국 대형주와 정크본드뿐이다. 그나마 오른 뉴욕증시의 S&P500 지수와 뱅크오브아메리카 정크본드 지수도 2.5% 오르는 데 그쳤다.
중국 CSI300 지수 1개월 추이 [자료=블룸버그 통신] |
◆ 세계 경제성장 둔화
세계증시는 10월 초 미국 금리 인상과 국채수익률 상승 우려로 시작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세계 경제성장 둔화라는 보다 근본적 우려가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세계 경제지표가 전문가 예상을 상회 또는 하회하는지를 측정하는 씨티그룹 글로벌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는 지난 4월 이후 줄곧 마이너스(-) 영역에 머물러 4년 만에 최장 기간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성장 모멘텀에 이처럼 약해지는 신호가 나타나자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와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3.7%로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시장에서는 이보다 급격한 성장 둔화를 예상하고 있다는 신호가 나오고 있다. 글로벌 증시에서 원자재 종목들은 지난 1월 고점을 기록한 데서 20% 이상 하락하며 공식적으로 약세장에 진입했다. 다른 성장주들도 최근 급락하고 있다.
◆ 중국발 위기
정체된 유럽 경제도 문제지만 보다 시급한 문제는 중국이다.
중국 경제가 오랫동안 건설 및 부채에 의존해 고속 성장을 지속한 후 중국 정부가 소비 중심의 경제로 전환을 꾀하며 연착륙을 유도하면서, 중국 경제성장세는 2014년 이후 서서히 둔화되고 있다.
하지만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6.5%로 2009년 이후 최저치까지 뚝 떨어지자 경착륙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미국과의 무역전쟁 우려까지 겹쳐 중국 본토증시의 CSI300 지수는 올해 들어 21%, 홍콩 항셍지수는 15.3% 각각 떨어졌다. 중국 위안화는 미달러 대비 10% 가량 떨어지며 2008년 초 이후 처음으로 달러당 7위안을 테스트하고 있다.
◆ 이탈리아 재정우려
유로존에서 부채가 가장 많은 이탈리아에 포퓰리즘 정부가 들어서면서 유럽연합(EU)과의 충돌을 불사하고 지출 확대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적 신용평가사들이 이탈리아에 대해 부정적 전망을 내놓자, 이탈리아 국채 가격이 급락하면서 이탈리아 은행주들도 미끄러지고 있다. 국채 가격 하락은 은행들의 대차대조표 악화로, 이는 다시 채권시장 위축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이탈리아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를 넘어서면 이탈리아 재정이 무너질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국채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수익률은 정부의 자본조달 비용을 뜻하기 때문이다.
현재 10년물 수익률은 3.59%에 거래되고 있다. 이탈리아 정부는 유로존 채권시장 기준물인 독일 10년물 국채 분트채와의 격차가 400bp(1bp=0.01%포인트)까지 확대되면 조치를 취할 것이라 밝혔다. 현재 이 격차는 318bp다.
◆ 미국 ‘어닝 충격’
미국 경제는 나 홀로 활황이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미국 기업들의 순익 증가율이 올해 초 정점을 찍었으며, 앞으로 인건비 증가, 금리 인상, 원자재 비용 증가 등에 따른 부정적 여파가 가시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또한 올해 기업 어닝을 뒷받침했던 감세 정책의 효과가 내년에는 사라질 것이란 관측도 우세하다.
기업들의 순익 경고가 잇따르며 이러한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전날 미국 캐터필러와 3M의 실적을 확인한 투자자들은 기업 이익 성장이 고점을 지나왔다는 판단으로 주식을 매도했다. 또한 3M은 순익 악화를, 캐터필러는 원자재 비용 증가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경고했다.
미국 캐터필러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