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시장 가맹률 49%..광주시 최저
이용주 "혜택 높이고, 사후관리 나서야"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가 2015년도부터 온누리전자상품권 저변확대와 인지도 제고를 위해 추진 중인 '온누리전자상품권 활성화 사업'이 상인들의 무관심 등으로 인해 가맹점 확대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용주 민주평화당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이 4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온누리전자상품권 시범시장으로 지정된 시장의 가맹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49%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의 수요 진작을 위한 목적으로 2009년 처음 발행된 온누리상품권은, 전국의 전통시장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일반 체크카드처럼 사용이 용이하고 잔돈을 주고받지 않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정부 기대와 달리 해당 상인들의 세원노출 부담 등으로 현금결제를 선호하고 지류상품권 대비 전자상품권 인지도가 부족해 결제 인프라 및 전통시장 가맹점 모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 온누리상품권 시범시장으로 선정된 곳은 193곳으로 총 점포수가 4만4460개인데 반해, 가맹점포 수는 2만1769개에 불과했다. 전국의 온라인전자상품권 가맹점포 7만8264개(2018.7월말 기준)와 비교하면 29% 수준이다.
가맹률이 가장 낮은 시범시장은 대전 동구에 위치한 대전상가시장으로 총 37개 점포 중 단 한 곳도 가입하지 않았다. 또한 강원도 원주시 남부시장과 광주동구 해뜨는 시장, 부산중구 남포역S지하상가는 가맹률 2%에 불과했고, 이들 시장을 포함한 가맹률 절반도 안되는 시범시장은 63곳, 전체 33%를 차지했다.
광역시·도별 가맹률 현황을 살펴보면, 광주시가 36.4%로 17개 광역시·도 중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음으로 경북이 44%, 대전 44.1%, 울산 45.1%, 부산 45.1%, 경남 45.2%, 전북 46.7%, 서울 49.2%, 경기 49.4%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가 73.3%로 가맹률이 가장 높았다.
이용주 의원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전통시장 활성화와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한 온누리전자상품권 제도가 상인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며 "소비자가 전자상품권을 구매해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이 많지 않아 제도의 실효성이 떨어져 유명무실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입 점포에 대해서는 미가입 점포보다 더 많은 혜택을 부여하고, 시범시장 선정 및 사후관리 등 정부가 직접 나서서 가맹률을 높이는데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