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올해 들어 신흥국 시장부터 상품까지 거의 모든 글로벌 자산에 하방 압력을 줬던 미달러 강세가 연말로 가면서 힘을 잃고 있다.
현재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ICE달러지수는 8월 고점에서 1.7% 하락하며 올해 1~8월 기록한 오름폭의 3분의 1 가량을 반납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수개월 간 몇 가지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달러에 하방 압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우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가한 관세 공격의 수위가 당초 우려보다 높지 않아 미국과 중국이 결국 무역 갈등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싹텄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달러 등 안전자산 베팅을 줄이고 미 증시와 신흥국 통화 및 증시로 갈아탔다. 앞으로 수개월 동안 이러한 추세가 이어지면 달러 하방 압력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올해 초부터 미·중 무역 갈등이 불거지자 전면적 무역전쟁이 발발하면 다른 국가보다 미국이 덜 타격을 입을 것이란 전망에 무역전쟁 우려는 곧 달러 강세로 이어졌다.
미국 외 지역에서 경제성장세가 강화되고 있는 것도 강달러를 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9월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유로존 경제 전망을 낙관하며 연내 자산매입 프로그램 종료 계획을 다시금 확인했다. 일본 경제도 2분기 들어 성장세로 전환했다.
게다가 올해 네 차례와 내년 몇 차례의 추가 금리인상 전망은 이미 시장에 충분히 반영돼 있다.
웰스파고인베스트먼트 애널리트스들은 고객노트에서 “거시경제 및 통화정책 격차에 기인한 달러 강세가 거의 막바지에 이르렀다”고 분석하고, 앞으로 연말까지 달러가 유로 대비 보합 수준에 머물다가 내년에는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달러 강세가 꺾이면 최근 수개월 간 위기로 내몰렸던 터키와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 통화들도 한숨 돌릴 수 있게 된다. 이들 국가는 최근 수년 간 저금리에 기대 달러 부채를 눈덩이처럼 불려 놓아 달러와 미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면 디폴트 리스크가 상당히 높아진다.
반면 통화 절하에 힘입어 강력한 수출 성장으로 경제 급반등을 이뤄낸 데다 인플레이션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한 유로존과 일본으로서는 달러 하락이 반갑지 않다.
유로화 지폐 위에 구겨지고 찢긴 미국 달러화가 놓여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