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까지 5일간 ‘회계 부정 의혹’ 조사
노동정책 대립각 견제 의심도
[세종=뉴스핌] 김홍군 기자 =고용노동부가 경영계를 대표하는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에 대한 특별감독에 들어갔다.
고용부는 산하단체인 경총의 회계부정 의혹을 확인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설명이지만, 경총이 최저임금과 근로시간 단축 등 각종 노동정책에서 정부와 대립각을 세워왔다는 점에서 정치적 의도를 의심하는 시각도 있다.
4일 고용부 및 경총에 따르면 고용부 노동정책실은 전날부터 10여명의 직원을 서울 마포구 대흥동 경총 사무실에 보내 대대적인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오는 7일까지 5일간 예정된 조사에서 고용부는 경총의 회계와 연구용역 수행 및 집행내역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고용부 노동정책실은 임금과 근로시간, 노사대화 등 노동정책을 총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경총은 고용부의 특별감독이 송영중 전 부회장의 해임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총 관계자는 “송영중 부회장이 해임 이후 언론 등을 통해 내부 회계비리 의혹을 제기하고, 참여연대도 국세청에 연구용역 부정비리 의혹을 고발했다”며 “차분히 조사에 응하겠다”고 말했다.
![]() |
한국경영자총회가 지난 7월 송영중 상임부회장의 해임안을 처리하기 위한 임시 총회를 개최하고 있다. [사진=김지나 기자] |
고용부 출신인 송 전 부회장은 지난 4월 경총 부회장에 취임했지만, 이후 이사회 및 사무국 등과 마찰을 빚다 3개월만에 해임됐다. 고용부는 “산하단체의 의혹을 확인하는 차원”이라는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경총이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정책에서 경영계의 입장을 대변하다 정부에 미운털이 박힌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경제단체에 대한 노동부의 특별감독은 이례적인 일이다”며 “최저임금 인상 및 업종별 차등 적용, 근로시간 단축 등에서 사용자의 입장을 대변해 온 단체에 대한 압박이라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고용부의 특별감독 시점이 지난 1일 당정청 회의에서 나온 문재인 대통령의 '적폐청산 지속' 발언 직후라는 점도 논란을 부추기고 있다.
kilu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