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지난주 잭슨홀 심포지움에서 점진적인 금리인상을 지속할 뜻을 밝혔지만 9월과 12월 통화정책 결정이 간단치 않다는 주장이 나왔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앞서 예고한 대로 정책자들이 올해 두 차례의 긴축을 추가로 단행할 경우에나 속도 조절에 나서는 경우에나 상당한 파장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다.
핌코의 조아킴 펠스 이사는 28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의 칼럼을 통해 연준 정책자들이 연말까지 통화정책 방향을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고 주장했다.
먼저, 경제 성장과 고용 호조 등 펀더멘털을 감안할 때 올해 9월과 12월 두 차례의 추가 긴축에 대한 설득력이 충분하다.
문제는 신용시장과 신흥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이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미국 이외 지역의 비은행권 달러화 신용이 11조5000억달러로, 금융위기 이후 두 배 급증했다.
이 가운데 신흥국의 부채는 3조7000억달러로, 10년 전 1조5000억달러에서 두 배 이상 불어났다.
연준이 금리인상과 함께 대차대조표 축소에 나선 데 따라 유동성이 이미 위축되기 시작했고, 긴축 사이클이 지속될수록 시장 리스크는 상승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달러화 상승은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펠스 이사는 강조했다. 위기 상황에 빠진 터키의 전철을 밟는 신흥국이 연쇄적으로 발생, 궁극적으로 미국 금융시장 역시 충격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와 함께 강달러가 미국 기업 수익성에 흠집을 낼 것으로 우려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거듭 강조한 것처럼 달러화 상승이 수출 기업의 경쟁력을 깎아 내릴 여지가 높다.
이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주요국과 무역 마찰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이며, 주식시장과 성장 발목이 꺾이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연준이 9월이나 12월 중 금리를 한 차례 동결하더라도 문제는 없지 않다고 펠스 이사는 말했다. 가뜩이나 재정 확대로 인해 물가가 들썩이는 가운데 긴축 시기를 놓쳤다가 경기 과열을 초래할 수 있다는 얘기다.
상황을 감안할 때 연준이 내달 금리를 한 차례 올리는 한편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달러화 상승 속도에 따라 정책 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는 시나리오가 가장 현실적이라고 펠스 이사는 강조했다.
한편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 따르면 채권 트레이더들이 예상하는 내달 금리인상 가능성이 90%를 웃도는 상황이다. 12월 가능성 역시 60% 선으로 점쳐지고 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