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피플

속보

더보기

수교 이후 북한을 찾은 중국 최고지도자들, 역대 중국 정상 방북과 북중 관계

기사입력 : 2018년08월28일 14:06

최종수정 : 2018년08월28일 14:06

류사오치부터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까지

[편집자] 이 기사는 8월 27일 오후 4시5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고은나래 기자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다음 달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을 기념하는 9.9절 열병식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역대 방북한 중국 최고위급 인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은 지난 1949년 10월 북한과 수교한 이래로 최고위급 인사의 방문 교류를 활발히 추진해 왔다.

1992년 8월 한국과의 수교 등으로 한동안 북중 양측 관계가 약간 소원해졌으나 지난 1999년 김영남(金永南)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방중 이후 최고위급 인사의 방문이 재개됐다.

다음 달로 예정된 시진핑 주석의 방북은 김정은(金正恩) 위원장의 초청으로 이뤄진 것으로 이번 방북이 실행된다면 중국 최고 지도자로서는 2005년 이후 13년 만에 북한을 방문하게 되는 것이다. 시 주석은 2008년 부주석 취임 후 첫 순방 국가로 북한을 찾기도 했다.

2008년 부주석 취임 후 북한을 방문한 당시 시진핑(習近平) 부주석 <사진=바이두>

지난 2005년 10월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은 북한의 핵 포기와 개혁개방 촉구를 위해 북한을 방문했다. 당시 북핵 문제를 둘러싸고 국제사회의 모든 이목이 후 주석의 방북에 집중되었다. 후 주석은 김정일 위원장에게 중국식 사회주의 모델의 성과를 보여줌으로써 개혁개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이런 후 주석의 노력에도 불구, 이듬해 김정일이 핵을 선택하자 북중 관계는 악화 일로를 걷기도 헸다.

시 주석과 후 주석에 앞서 1990년 3월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도 김일성(金日成) 위원장의 공식 초청을 받아 북한을 방문했다. 그로부터 11년이 지난 2001년 9월 장 주석은 두 번째 방북을 통해 국제사회에 북중 혈맹관계의 공고함을 드러내었다.

일찍이 1963년 9월에는 당시 류사오치(劉少奇) 중국 국가주석이 최용건(崔庸健)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방중(1963.6년)에 대한 답방으로 북한 평양을 방문한 바 있다.

총리급 인사로는 1991년 5월 리펑(李鵬) 총리의 방북 이후 18년 만인 2009년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의 방북이 성사됐다.

2009년 10월 원 총리는 북중 수교 60주년과 북중 우호의 해 활동을 위해 평양을 방문해 김정일(金正日) 위원장과 ‘홍루몽(紅樓夢)’을 감상했다. 중국 고전소설을 개작한 북한 가극 홍루몽은 1961년 김일성 주석과 덩샤오핑(鄧小平)이 함께 관람하면서 ‘북중 우호’의 상징이 되었다.

2009년 방북한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사진=바이두>

시진핑 주석 집권 이후 북한을 처음 방문한 고위급 지도자는 리젠궈(李建國) 전인대 부위원장이다. 리 부위원장은 2012년 11월 이틀 일정으로 북한을 방문해 18차 당 대회 결과를 설명하고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 시진핑 주석의 구두 친서를 전달했다.

전통적으로 중국 공산당은 5년에 한 번 최고 지도부가 교체되면 북한을 비롯한 우방국에 특사를 파견해 자국 사정을 설명한다.

2013년 7월에는 리위안차오(李源潮) 국가 부주석이 평양을 찾아 한국전쟁 정전 6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한 6자 회담 재개를 촉구했다.

그로부터 2년 뒤 2015년 북한 노동당 창립 70주년 때에는 중국 권력서열 5위인 류윈산(劉雲山) 상무위원이 북한을 찾았다. 18차 당대회 이후 최고 권부인 7인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의 첫 방북이다. 류윈산은 2007년과 2014년에도 북한을 방문한 이력이 있다.

류윈산은 2007년에는 중앙정치국위원으로서 김정일 위원장에게 후진타오 당시 국가주석의 구두 친서와 베이징 올림픽 기념품을 전달하기도 했다. 2015년 류 상무위원의 방북은 한동안 얼어붙었던 북중 관계가 회복되는 계기로 평가받는다.

북중 양측의 고위급 인사 교류는 실상 2013년 초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으로 끊긴 상황이었다. 2013년 리위안차오 부주석의 방북은 형식적인 인사교류일 뿐이었다. 하지만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의 방북은 그 자체만으로도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그밖에 북한을 공식 방문한 당시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는 우방궈(吳邦國, 2003년), 리창춘(李长春, 2004년), 장더장(張德江, 2011년), 리커창(李克强, 2011년) 등이 있다.

 

nalai1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주니어 취재진 피해 조용히 입국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취재진을 피해 조용히 입국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해 탑승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5.04.29 choipix16@newspim.com 29일 재계에 따르면 트럼프주니어는 전용기편으로 입국해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에 오후 6시20분경 도착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해 탑승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5.04.29 choipix16@newspim.com 이후 취재진을 피해 건물 오른쪽으로 나간 뒤 준비된 벤츠 차량을 타고 떠났다. 차량은 정 회장 측에서 직접 준비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주니어 외 여성 1명이 동행했으며 화사한 옷을 입은 채 꽃을 들고 있던 것으로도 전해졌다.  현장에는 취재진과 경호원을 포함해 많은 인력이 대기 중이었다. 강서경찰서에서도 출동해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하는 모습이었다.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트럼프주니어를 위해 마련된 의전 차량. 왼쪽 차량을 타고 공항을 빠져나간 것으로 전해졌다. 2025.04.29 whalsry94@newspim.com 당초 트럼프주니어는 차량을 타고 숙소로 바로 이동할 것으로 전해졌으나 경기 성남시 백현동 소재 정 회장 자택으로 이동해 저녁 식사를 함께하며 회동을 가질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만찬 회동 이후 트럼프 주니어는 이날 밤 10시쯤 서울 강남구에 있는 조선팰리스 호텔로 이동할 예정이다. 이 호텔에서 하룻밤 묵은 뒤 30일 국내 재계 총수들과 릴레이 면담을 이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하고 있다. 2025.04.29 choipix16@newspim.com 이번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은 평소 친분이 있는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가교 역할'을 하면서 성사됐다. 정용진 회장은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 일정에 동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트럼프 주니어의 구체적인 방한 일정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재계에서는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그룹을 비롯해, 한화, GS, HD현대중공업 등 10대 그룹 주요 총수들이 연이어 트럼프 주니어와의 면담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면담 예정일은 오는 30일로 전해졌다. 트럼프주니어를 기다리는 취재진으로 북적거리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mkyo@newspim.com 2025-04-29 19:29
사진
'김문수·한동훈' 최종 승자는 누구 [서울=뉴스핌] 박서영 김가희기자 =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결선 진출자에 김문수·한동훈 후보가 이름을 올렸다. 반탄(탄핵반대)파 김 후보와 찬탄(탄핵찬성)파 한 후보가 2파전을 겨루게 된 가운데 최종 1인 자리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29일 오후 3차 경선에 진출할 후보자 2명을 발표했다. 안철수·홍준표 후보는 탈락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가나다순)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황우여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은 경선 결과를 발표하며 "과반 득표자가 없어 3차 경선으로 이어지게 됐다"며 "우리 당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깊이 고민하시고 이번 투표에 참여해주신 존경하는 당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2강 후보에 진입한 김 후보는 "한 후보와 같이 마지막 경선을 하게 된 것을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 미래가 창창한 대한민국을 위해 한 후보께서 많은 역할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인사를 전했다. 한 후보는 "어려운 대선 상황에서 김 후보와 제가 생각은 조금 다르지만 2인 3각의 마음으로 하나의 후보로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맞서야 한다"며 "남은 경선 과정에서 김 후보를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로 생각하고 함께 이재명과 싸워 이기는 한 팀이 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홍 후보는 경선 결과 발표 직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입당시켜, 3차 경선에 진출하는 2명의 후보와 '원샷 국민 경선'을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그 부분은 조금 더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는 경선 결과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 대행도 아직 출마선언을 하지 않았다. 지금 제가 답을 드리는 것 자체가 너무 앞서가는 것이고 당에서도 생각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차차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즉답을 피했다. 한 후보는 한 대행을 포함한 '원샷 경선'이 공정성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머지 (탈락한) 6명은 치열한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왔기 때문에 갑자기 (한 대행이) 들어와서 여기서 경선한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우리는 전통이 있고 룰이 있는 정당"이라고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진출에 실패한 안철수 후보가 소감을 밝히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한편 이날 결선 문턱을 넘지 못한 안 후보는 "누가 최종 후보가 되든 이재명을 막고 정권교체 이루는 데 제 힘을 바치겠다. 우리 당의 승리가 국민 승리고 역사의 승리"라고 소회를 전했다. 홍 후보는 이날 결선 탈락을 끝으로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홍 후보는 "정치인생을 오늘로서 졸업하게 되어 감사하다. 이제 시민으로, 자연인으로 돌아가서 좀 편하게 살도록 하겠다. 이번 대선에서 제 역할은 여기까지"라고 했다. 앞서 지난 27∼28일 진행된 국민의힘 2차 경선은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의 룰이 적용됐다. 당원 투표엔 76만5773명 중 39만4명(50.93%)이 참여했고 국민 여론조사는 5개 기관에서 6000명(역선택 방지 적용)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후보들의 순위와 득표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따라서 결선에 진출한 김 후보와 한 후보 중 누가 앞섰는지 알 수 없다. 이날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한동훈 후보 2명은 오는 30일 양자 토론회를 진행한다. 국민의힘 선관위는 다음달 1∼2일 양일 동안 선거인단 투표(50%)·국민 여론조사(50%)를 거친 후 같은달 3일 전당대회에서 최종 1명을 선출할 계획이다. seo00@newspim.com 2025-04-29 15:4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