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취업 취지로 세운 직업계고, 실태는 '극과극'
466개 특성화고 중 110곳 취업률 30%도 못 미쳐
취업 실패한 뒤 수능 응시 곤란...'청년백수' 위기
전문가 "업계 수요 반영도 못하고 세금만 낭비"
[서울=뉴스핌] 박진범 기자 = #“친구, 선배들은 이미 삼성전자, 한전, 한수원에 붙었더라고요.”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2학년 김대성(18)군은 열심히 자격증시험 공부를 한다. 김군이 다니는 학교는 마이스터고(숙련기술인 육성을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고)다. 대학 진학이 아닌 취업에 목적을 둔 곳이다. 이 학교 학생들은 이르면 2학년부터 졸업 후 다니게 될 직장이 결정된다.
#“취업하지 못한 선배들은 급한 마음에 대학이라도 가려해요.” 권지아(19·가명)양은 한국치즈과학고 3학년생이다. 권양의 학교는 치즈제조 및 유통 전문가를 양성하는 특성화고다. 그렇지만 관련 기업 취업문은 바늘구멍이다. 졸업생들은 지푸라기라도 잡는 마음에 대학 진학을 꾀한다. 권양은 3년 동안 배운 지식·기술을 포기할 수 없어 식품가공학과가 있는 대학에 수시모집 원서를 넣고 있다. 그는 “선배들은 배운 것과 상관없더라도 취업이 된다는 물리치료학과, 유아교육과로 지원하는 편”이라고 털어놨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고졸취업을 돕겠다는 취지로 설립된 특성화고의 학교 간 양극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특성화고는 취업률이 한자리 대를 밑도는 등 설립 목적에 전혀 부합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성화고란 특정 분야의 인재 및 전문 직업인을 양성하는 학교다. 전문 직업인을 키워내는 직업계고등학교인 마이스터고와 비슷한 개념이다.
13일 학교알리미에 따르면 직업계고 중 높은 취업률을 보이는 곳은 대부분 마이스터고다. 지난해 기준 전국 36개(취업률 산정대상) 마이스터고의 평균 취업률은 무려 94.06%다. 삼척마이스터고와 완도수산고는 졸업생 전원(100%)이 취업에 성공했다. 김군이 다니는 수도전기공고도 91.92%의 높은 취업률을 자랑했다.
직업계고 취업률은 대학 취업률과 달리 졸업 당시 취업여부를 기준으로 한다. 즉 마이스터고 학생 대부분이 졸업 전 첫 직장을 구하는 셈이다.
마이스터고가 고졸취업에 강세인 것은 정부지원이 두둑해서다. 과거 이명박 정부는 독일의 기술자교육시스템을 본받고자 기존 특성화고를 마이스터고로 지정했다. 예산도 차등 지원했다.
마이스터고는 정부지원 아래 기업체와 협약을 맺고 장비나 기술을 전수 받았다. 전문화된 직업교육을 받은 졸업생들은 학교와 협약을 맺었던 기업에 채용됐다. 정부·기업·학교가 함께 맞춤형 인재를 키워낸 것이 취업률 고공행진의 비결이다.
반면 일부 특성화고는 극심한 취업난에 허덕인다. 전국 466개 특성화고의 평균 취업률은 51.85%다. 이마저도 양극화가 심하다. △창원기계공고(90.68%) △세그루패션디자인고(88.41%) △서울여상(88.03%) 등은 높은 취업률을 기록했다. 반면 △청담고(경기·7.05%) △한국디지털미디어고(5.58%) △한국게임과학고(4.3%) 등은 매우 저조했다. 30%대 이하의 취업률을 보인 곳도 약 110곳이나 된다.
권양이 다니는 한국치즈과학고의 취업률은 18.87%에 불과하다. 폐교직전이던 임실서고가 2011년 개명한 뒤 국내 유일의 치즈·조리 특성화고로 새 출발한 곳이다. 그러나 마이스터고로 지정받지 못해 지원이 비교적 부족했고, 실제 일자리 수요와도 맞지 않으면서 많은 학생들이 '취업 미아'가 됐다. 치즈 장인을 길러내겠다는 본래 목적을 잃어버린 것이다.
졸지에 '청년백수' 위기에 놓인 학생들은 일반 대입제도를 통한 대학 진학도 힘들다. 애초 특성화고는 3년 내내 전문 기술을 육성하는 곳이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교과를 가르치지 않는다. 권양 등은 수능최저등급이 없는 수시모집만으로 대학에 가려 애쓰는 상황이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서울 중구 청년일자리센터에서 특성화고 졸업생 노동권익 증진 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2018.08.09 leehs@newspim.com |
이에 대해 이범 교육평론가는 “최고의 세금 낭비”라고 꼬집었다. 그는 “교육부 장관 및 관료 중에 실업계 출신을 본적 있는가”라고 반문하면서 “전문성·지식 없는 사람들이 ‘○○산업이 뜨니까 관련 학교를 만들어보자’는 식으로 비현실적인 설계를 한 탓”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설립부터 운영까지 업계 수요와 교육과정을 연동하는 세밀한 작업이 없다”며 “특성화고를 학교단위로 만들지 말고 학과단위로 유연화해 신기술 도입 등 매번 달라지는 현장 요구에 대응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학생 인권과 일자리 질을 고려하지 못한 관리체계도 지적했다. 이범 평론가는 “지난 제주 특성화고 현장실습생 사망사건 같은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아야한다”며 “취업률도 중요하지만 양질의 교육이 제공돼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beo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