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활용해 은행 계좌에서 거래대금 실시간 이체
내년 상반기 서비스 개시 목표
[서울=뉴스핌] 민지현 기자 = 한국은행이 시중은행과 함께 스마트폰을 활용해 거래대금을 실시간으로 구매자 계좌에서 인출해 가맹점 계좌로 인출하는 결제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 모바일 직불서비스는 결제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은과 금융사들로 구성된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이하 '금정추')는 은행계좌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직불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기로 의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를 위해 관련 기술표준 개발과 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자료=한국은행> |
금정추는 QR코드 인식 등을 통한 모바일 기기간 통신(App-to-App) 방식으로 결제정보를 교환하여 구매자의 계좌에서 대금이 인출・지급되는 은행계좌 기반의 모바일 직불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금정추는 은행권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표준을 마련하고, 모바일 직불서비스 앱(플랫폼)구축해 내년 상반기 중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국민들이 스마트폰과 은행계좌 기반의 현금카드를 소지하고 있음에도 신용카드 서비스의 시장 선점으로 모바일 직불서비스(현금카드 기반)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았다.
한은은 "국내 지급서비스의 혁신을 촉진하고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저비용 구조의 은행계좌 기반 모바일 직불서비스 활성화를 은행권 공동으로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다.
모바일 직불서비스 도입하면 소비자와 가맹점은 어떤 은행이든 예금 계좌를 갖고 있으면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하므로 별도의 단말기(POS 등)가 필요없으며 결제과정의 중계·대행 단계를 축소 또는 생략해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이 서비스를 위한 기술표준은 정부 및 일부 지자체가 추진중인 소상공인페이(제로페이) 등의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어 신용카드 수수료 제로 서비스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jihyeon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