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전 '사진에 저항하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서 모레부터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제 작품은 수집하는 작업으로 정의합니다. 제 직업의 핵심은 기록물을 맥락 너머로 이동시키는 것이죠. 미래의 아카이브로 지향하고요."
레바논 출신 작가 아크람 자타리가 자신의 작업을 소개하는 말이다. 사진 매체의 정체성을 창의적 방식으로 교란시키고 재해석하고 새롭게 각색함으로써 사진 아카이브에 새 생명을 부여하는 그. 아크람 자타리는 시각아카이브를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작가로 유명하다. 사진을 평면적인 인쇄물로 보지 않고 입체적인 작품으로 바라본다. '예술로서 수집'을 중요시하며 사진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은 그의 국내 첫 개인전 '아크람 자타리: 사진에 저항하다'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크람 자타리_사진에 저항하다(2017), 마모된 필름 12개를 3D로 스크리닝한 작품. 주름진 것, 구겨진 것도 보인다. [사진=국립현대미술관] |
국립현대미술관(관장 바르토메우 마리)은 바르셀로나현대미술관(관장 페랑 바렌브리트)과 공동주체로 '아크람 자타리: 사진에 저항하다' 전을 오는 11일부터 8월19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제5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아크람 자타리는 개막 이틀 전인 9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작품은 수집하는 것'이라는 자신의 세계관에 대해 "10년 전, 저는 제가 하는 일이 고고학자가 하는 일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면서 "고고학자들이 유적지를 발굴하고 무언가를 캐내듯 저도 연구하고 탐구하는 일이 제 일이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진도 그렇고 다른 오브제도 그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자간담회에는 바르토메우마리 관장과 휴웨이 추 바르셀로나현대미술관 큐레이터도 참석했다.
그는 작가는 다른 두 가지 사물을 가까이 대보고 밀착하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할 수 있다고 첨언했다. 구체적으로 "보통 콜렉트(collect, 수집)라고 하면 주화 등을 수집한다고 생각하기 마련이지만, 화분에 성냥박스를 옆에 두면 자기만의 이야기를 표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크람 자타리_사진으로 본 사람들과 현시대(2010) [사진=국립현대미술관] |
아크람 자타리는 레바논 독재정권이 무너진 1997년 동료 사진 작가 푸아드 엘쿠리, 사머 모흐다드와 함께 아랍 문화권의 시각이미지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능동적 주체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아랍이미지재단(AIF, Arab Image Foundation)을 공동 설립했다. 이들은 아카이브를 연구하고 분석하는데 그치지 않고 '미래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인물만이 기록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공유하고 보존하고 기억하는 방식까지 주목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전시명이기도 한 '사진에 저항하다'(2017)는 마모가 생긴 젤라틴 네거티브 필름의 3D 스캔을 재현한 것으로 사진을 미학적인 전통에서 해방시키고 유기적인 특성의 물질로 되돌려놓는다. '얼굴을 맞대고'(2017)는 1940년대 초 트리폴리 기반으로 활동한 사진작가 안트라닉 아누치안이 제작한 인물 사진의 유리판을 근접 촬영한 것이다. 이 유리판들은 서로 달라붙은 채로 발견되었는데 자타리는 그 중 2개의 유리판을 선택해 작업에 사용했다. 이 작품은 제복을 입은 프랑스 군인들의 얼굴이 그들이 통치하던 지역 주민의 모습을 투과하듯 이미지가 겹쳐져 있다. 이를 통해 작가는 식민지의 고단함을 현대로 소환한다.
오른쪽 상단 변에 걸린 사진은 '계급사회. 부유한 가족이 일꾼과 나들이 간 모습을 담은 사진. 세명의 일꾼은 블랙컬러로 지워 얼굴을 볼 수 없다. 사진은 특정 계급 혹은 사회를 이야기하지만 모두의 이야기를 담고 있진 않다. 오른쪽에 걸린 사진들은 사진의 뒷면까지 모두 기록한 자료들. 왼쪽은 사진을 찍은 사람들의 그림자를 담은 작품들. [사진=국립현대미술관] |
자타리는 세상을 바라보는 반전의 눈을 갖고 싶은 마음을 전했다. 작가는 "사실 이는 어렵다. 왜냐하면 우리는 한 가지 방법으로 배우고 학습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진을 보는 앵글과 시각은 다양해야한다. 그리고 모든 상황을 꿰뚫어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설명은 전시 제목인 '사진에 저항하다'와도 일맥 상통한다. 자타리는 사진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각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고 했다. 사진 전문 잡지나 사진전문 페스티벌에 갔을 때 느낀 점이다.
아울러 사진을 설명할 때 그에 담긴 전반적인 상황과 역사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재차 역설했다. 그는 "사진의 내용을 설명하고 묘사하는 것을 너머서서 사진 그 자체의 이야기와 역사도 알아야 한다. 사진의 뒷면도 보고 우리가 살펴보지 못한 여러 부분을 다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작가 아크람 자타리, 휴웨이 추 바르셀로나현대미술관 큐레이터가 9일 열린 '아크람 자타리"사진에 저항하다'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사진=이현경 기자] |
자타리는 일화까지 곁들이며 설명을 이어갔다. 2년 전 어머니가 자신이 일곱살에 찍은 사진을 보여줬다. 머리가 부분적으로 잘려있어 사진이 마음에 안 들던 그는 결국 사진을 네 조각으로 찢었다. 어머니는 그걸 굳이 스카치테이프로 붙였다.
자타리는 "어떻게 보면 테이프의 흔적 역시 그 사진의 역사다. 저는 이 사진을 '부상 당한 사진'으로 이름을 붙이고 가방 안에 넣은 채 꺼내지 않는다"면서 "사진이 담고 있지만 우리가 상실한 사진의 풍부하고 전체적인 역사를 바라봐야 한다"고 요약했다.
바르토메우마리 관장은 "국립현대미술관도 사진 수집이 저희 작업 1순위 중 하나다. 사진이나 예술작품을 찾고 역사적인 가공물을 전시하는 것은 우리가 계속 수집하면서 과거만 되돌아보면서는 제대로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사진 안에 담긴 역사와 스토리를 제대로 말해주는 게 미술관이 하는 일이다. 아랍이미지 재단은 좋은 사례가 된다고 생각한다"고 마무리했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