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장애인 콜택시 487대 불과
하루 평균 호출 4000여건 못따라가
운행지역도 제한..시경계 넘어가면 갈아타야
[뉴스핌=황선중 기자] 서울 광진구에 거주하는 지체장애 2급 장애인 박모(43)씨는 지난달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후 작은 소망이 생겼다. 오는 9일 개막하는 평창 패럴림픽을 직접 관람하는 것이다. 박씨는 "올림픽은 TV로 지켜봤지만 패럴림픽은 현지 분위기를 직접 느껴보고 싶다"고 말했다.
하지만, 박모씨의 바람이 실현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장애인 콜택시와 일반택시, KTX 등을 이용해 평창에 갈 수 있지만,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장애인 콜택시 [사진=뉴시스] |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현재 서울에서 운행중인 장애인 콜택시는 487대에 불과하다. 하루 호출건이 평균 4000여건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셈이다. 전국 중증 장애인 수는 82만명에 달한다.
서울시가 2003년 도입한 장애인 콜택시는 카니발 등 대형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를 개조한 것으로, 시간대(7시·8시·10시·12시·19시) 별로 운영중이다.
운행지역 제한도 콜택시 이용에 걸림돌이다. 정태근 한국근육장애인협회 사무국장은 "장애인콜택시 운영 기관이 하나로 통일돼 있지 않아 다른 시로 넘어가려면 환승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목적지까지 거리가 얼마 남지 않았어도 시 경계를 넘어가면 내려야 한다는 것이다.
정 사무국장은 "갈아탄다고 내려도 다른 콜택시가 바로 오는 것도 아니니 난감하다"며 "저녁 7~8시 무렵에는 택시기사들이 퇴근하기 시작해 대기시간이 2시간에 육박할 때도 있다"고 말했다.
현행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은 장애인을 위한 특별교통수단의 운영 등 필요한 사항을 지자체 조례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자체마다 요금 기준도 다르다.
일반 택시를 이용해 평창에 가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일반 승용차와 달리 택시 트렁크에는 엘피지(LPG) 가스통이 들어 있어 휠체어 등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기기를 실을 수 없기 때문이다. 비용도 비싸다.
한 택시기사는 "택시 트렁크가 좁아서 휠체어를 차 안에 실어야 하는데 과정이 번거로워서 보통 택시기사들이 휠체어 탄 손님을 꺼린다"고 말했다.
2018년 1월 장애인콜택시 시간대별 운행자료 [출처=서울시설관리공단] |
일반인들과 마찬가지로 KTX를 타고 평창에 가는 것이 비용과 시간 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이 역시 환승의 문제가 걸린다. 앞선 박씨는 "기차역까지 가는 것조차 힘들다"고 토로했다.
정 사무국장은 "(장애인 콜택시)증차가 예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호출 수요가 많은 시간대에 택시를 많이 배치하는 운영의 묘라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장애인 콜택시를 관리하는 서울시설관리공단측은 "장애인들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 힘 쏟고 있다"며 "부족한 면은 점점 더 보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역시 연내 지방자치단체 조례안을 표준화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운행 요금, 범위 등을 통일해 문제를 차근차근 해결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광역이동지원센터를 신설해 콜센터를 시 단위가 아니라 도 단위로 관리하게 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선중 기자 (sunj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