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장주연 기자] “겨울을 견딘 양파는 봄에 심은 양파보다 몇 배나 달고 단단하다.”
시험, 연애, 취업, 뭐하나 뜻대로 되지 않는 삶. 지칠 대로 지친 혜원(김태리)은 ‘잘 먹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온다. 그는 재회한 고향 친구 재하(류준열), 은숙(진기주)과 함께 직접 농작물을 키우고 밥을 지어 먹으며 겨울, 봄, 여름, 가을을 보내고 다시 겨울을 맞이한다. 이 특별한 사계절을 통해 혜원은 고향에 온 진짜 이유를 깨닫고 새롭게 발을 내디딘다.
영화 ‘리틀포레스트’는 일본 이가라시 다이스케 작가의 인기 만화를 스크린에 옮긴 작품이다. 앞서 모리 준이치 감독에 의해 ‘여름과 가을’ ‘봄과 가을’ 두 편으로 나눠 영화화됐으며, 지난 2015년 국내에서도 개봉됐다. 이번 한국판의 메가폰은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2007), ‘소와 함께 여행하는 법’(2010), ‘제보자’(2014) 등을 연출한 임순례 감독이 잡았다. 지친 얼굴, 똑같은 표정의 사람들을 보고 든 “힐링을 주고 싶다”는 생각이 시작이 됐다.
원작의 메인 줄거리는 그대로 유지했다. 젊은 여성이 고향으로 돌아와 직접 키운 작물로 요리하면서 상처를 치유한다는 게 큰 줄기다. 다만 국내로 넘어온 만큼 한국적 색이 짙어졌다. 임 감독은 각색 과정에서 우리네 정서를 곳곳에 투영, 공감대를 높였다. 음식 메뉴를 비롯해 노량진 고시생, 고양이가 아닌 개 오구의 등장, 혜원의 엄마가 떠난 시점, 근처 고모가 거주하는 설정 등이 일례다. 사소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은 임 감독의 섬세함이 돋보인다.
차이점은 또 있다. 임 감독은 그간의 작품들에서 그래왔듯 사람, 그리고 이들의 관계에 집중했다. 잠깐 등장했다 사라지는 마을 주민들을 대신해 혜원과 재하, 은숙의 이야기를 확장, 세 사람의 상황과 마음에 귀 기울였다. 자연스레 농사 지침서(?) 혹은 건강한 요리책(원작과 일본 영화는 요리 별로 챕터를 나눠 세세하게 그려냈다) 같은 느낌이 사라졌다. 반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더욱 또렷해졌다.
진짜 미덕은 그 메시지가 희망적이나 허황하지 않다는 데 있다. 이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담담하다. 혜원이 어떤 삶을 견뎠는지, 어떤 아픔을 품고 고향으로 돌아왔는지, 이를 또 어떻게 치유해 나가는지 묵묵하게 담아낸다. 그 누구의 삶도 동정하는 법이 없다. 그 누구에게도 치열하게 살라고, 빠르게 정상에 올라가라고 재촉하지 않는다. 그저 건강한 삶이란 내가 선택하는 삶, 그것을 실천하는 삶이라고 귀띔한다. 그러니 우리 잘 먹고 잘살자고 말한다.
보고 듣는 즐거움도 ‘리틀포레스트’의 빠질 수 없는 백미다. 막걸리, 수제비, 파스타, 크렘 뷔륄레, 오코노미야끼 등 혜원이 수확한 재료로 직접 만들고 먹는 다양한 음식은 관객의 시청각을 자극한다. 여기에 달라지는 계절의 변화를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각 계절 고유의 풍광이 그림처럼 눈 앞에 펼쳐진다. 어떤 액션보다 화려하고 어떤 CG보다 완성도 있다. 촬영을 진행한 1년이라는 시간이 아깝지 않다.
배우들은 자연스럽다. 혜원 역을 맡은 김태리는 언제나처럼 건강하고 싱그럽다. 그 에너지가 고스란히 관객에게 전달된다. 그것 자체로 힐링이다. 여기에 류준열의 자연스러운 연기와 진기주의 명랑한 매력이 잘 어우러졌다. 혜원의 엄마로 분한 문소리는 편안하면서도 강단있는 열연으로 극의 중심을 잡는다. 오는 28일 개봉. 전체 관람가.
[뉴스핌 Newspim]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 <사진=메가박스(주)플러스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