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데뷔 12주년 슈퍼주니어, 8집 'PLAY'로 컴백…위트함 잊지 않은 'Black Suit' (종합)

기사입력 : 2017년11월06일 13:11

최종수정 : 2017년11월06일 13:11

그룹 슈퍼주니어가 6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정규 8집 'PLAY' 컴백 기자회견에서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뉴스핌=이지은 기자] 2년 2개월 만의 컴백이다. 오랜만의 활동이지만, 슈퍼주니어의 위트함은 앨범에 그대로 녹아있다.

6일 슈퍼주니어가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정규 8집 ‘플레이(PLAY)’ 발매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타이틀곡 ‘블랙 수트(Black Suit)’는 자유분방한 스윙 계열 브라스 리듬 위에 절제된 멜로디를 입힌 마이너 댄스 팝 장르로, 어둠 속 찰나의 순간 마음을 훔치기 위해 ‘블랙 수트’를 차려 입은 자신감 넘치는 남자의 모습을 루팡에 비유한 노래이다.

이날 은혁은 “슈퍼주니어 스페셜 앨범 발매 이후 2년 2개월만에 정규 8집으로 컴백했다. 그 동안 많은 일들이 있었다. 앨범을 정말 열심히 준비했는데, 그 과정을 ‘슈주 리턴즈’라는 방송을 통해 담았다. 그 모습도 재밌게 봐주셨으면 좋겠다”며 컴백 소감을 밝혔다.

그룹 슈퍼주니어가 6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정규 8집 'PLAY' 컴백 기자회견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이어 은혁은 “이번 앨범 ‘플레이’에는 음악을 재생하다는 뜻과 저희 슈퍼주니어만의 신나는 유쾌한 이미지를 담은 뜻이 담겼다. 저희만의 색깔을 잘 담고 싶었다. 10곡을 꽉꽉 채웠고, 심혈을 기울여 만들었다. 한 곡도 빠짐없이 들어주시고 사랑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김희철은 타이틀곡에 대해 “그동안 해왔던 슈퍼주니어의 음악이다. 앨범에는 동해가 만든 가을 감성을 저격하는 발라드도 있는 반면, 저희는 댄스그룹인 만큼 저희가 해왔던 댄스곡”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첫 공개된 뮤직비디오에 대해 “조금 더 스토리가 들어가 있는 것 같은데 어떤 스토리가 담겨 있는지 모르겠다. 몇 번 더 봐야 알 것 같다”고 말해 웃음을 더했다.

2005년에 데뷔해 2017년 지금까지 무려 12년이 흘렀다. 이제 멤버들은 30대를 맞이하게 됐다. 앨범에서도 슈퍼주니어 멤버들의 성숙미가 묻어난다.

그룹 슈퍼주니어가 6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정규 8집 'PLAY' 컴백 기자회견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이 부분에 대해 이특은 “안무 연습을 해도 멤버들이 이제는 자기 것으로 습득하는 능력이 빨라졌다. 이제는 멤버들이 나이를 먹었는데 세월의 무게에 못 이겨서 힘이 빠진 게 아니라, 그 세월의 흐름을 잘 받아들여서 남자로서 멋있어 진 것 같다. 조금 더 멋있는 사람들이 될 것 같다”며 멤버들을 향한 애정을 드러냈다.

앞서 최시원 사태 전부터 화제를 모았던 것이 바로 김희철이 SNS를 통해 남긴 활동 여부였다.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인해 큰 고통을 호소한 바 있다.

이에 김희철은 “제가 11년 전에 교통사고 나고 그 이후부터 들은 말들이 ‘군대나 가라’는 말들이었다. 항상 얘기들이 많이 나왔다. 나이가 들고, 계속해서 안 좋아지고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저희는 퍼포먼스팀인데, 발목을 아예 못 쓰는 저로 인해서 안무가 많이 바꿨다. 그래서 SNS에 글을 남기게 됐다. 이렇게 글을 남기게 돼서 달라지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저와 슈퍼주니어를 지지해주는 팬들에게는 한 번쯤 얘기를 해주고 싶었다. ‘악플계 전문가’ 김가연 누나랑 많은 얘기도 했다. 그래서 고민도 많이 했다. 일단은 글만 남기게 됐다. 저도 마음이 복잡했다. 앞으로 더 열심히 즐거운 모습 보여드리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6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슈퍼주니어 정규 8집 'PLAY' 컴백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또 이특은 갑작스런 멤버 변화에 대해 “저희는 12년 동안 다사다난했다. 그때마다 자포자기하고 쓰러지는 게 아니라 잘 견뎌내고 이겨냈다”고 운을 뗐다.

그는 “잘 견디다 보면 슈퍼주니어에게 더 좋은 일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멤버들에게 ‘화기애애함과 위트함을 잊지 말자’는 얘기를 자주 한다. 멤버 수에 변화는 있지만, 크게 걱정은 안하고 있다”며 속내를 털어놨다.

마지막으로 이특은 “2005년에 데뷔한 것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데뷔 12주년이 됐다. 그때 멤버들이 많아서 대형 버스를 타고 움직였다. 저희는 시간이 흘러도 견주게 되고, 라이벌로 활동할 수 있는 그룹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슈퍼주니어 정규 8집 ‘PLAY’에는 타이틀곡 ‘Black Suit’를 포함해 ‘Scene Stealer’ ‘비처럼 가지 마요(One More Chance)’ ‘Good Day for a Good Day’ ‘Runaway’ ‘The Lucky Ones’ ‘예뻐 보여(Girlfriend)’ ‘Spin Up!’ ‘시간 차(Too late)’ ‘I do(두 번째 고백)’ 까지 총 10곡이 수록됐다.

[뉴스핌 Newspim] 이지은 기자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