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말 기준 156.5조원...전년 대비 24조원 증가
한계기업 수 2011년 2604곳→3126곳으로 증가
[뉴스핌=허정인 기자]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의 빚이 156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되면 저금리로 연명해온 한계기업의 부실 위험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23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말 기준 한계기업(3278곳)의 금융권 신용공여(대출채권·지급보증) 규모는 156조5000억원으로 전년(132조5000억원)보다 24조원(18%) 증가했다. 지난 2011년 한계기업의 빚은 110조7000억원이었으나 불과 4년 만에 45조8000억원(41%)이 불어난 것이다.
이중 은행권 신용공여액은 일반은행 43조7000억원, 특수은행 75조8000억원으로 모두 119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서 한계기업에 빌려준 빚은 37조원에 달했다. 금리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커지면 제2금융권 대출부터 부실화될 가능성이 크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비율)이 3년 연속 1 미만인 기업으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당하지 못한게 3년째 지속된 곳을 의미한다.
한계기업의 수도 꾸준히 늘었다. 지난 2011년 한계기업의 수는 전체 2604곳이었으나 2015년 3278곳으로 674곳이나 확대됐다. 경기 침체와 맞물려 기업들의 실적 악화가 이어진 영향이다. 다만 기업 구조조정 등의 영향을 받은 지난해 한계기업 수는 3126곳으로 소폭 줄어들긴 했다.
문제는 앞으로 금리가 오르면 이들 한계기업의 부채가 우리경제의 시한폭탄으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빚으로 버텨온 기업들이 높아진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쓰러지면 빚에 물려있는 금융권에도 부실화가 번질 수 있고, 정상 기업들의 성장까지 발목을 잡게 될 우려가 높다.
한은은 지난해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한계기업의 영업환경이 나아지지 않으면 재무구조의 안정성이 더욱 취약해 질 수 있다"며 "기업의 재무건전성 악화과 금융시스템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상시적이고 선제적인 기업 구조조정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허정인 기자 (jeon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