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외위원장 '유승민 카드' 원해
통합파 '유승민 비대위 체제' 반대하지만 뚜렷한 대안 없어
[뉴스핌=조세훈 기자] '포스트 이혜훈' 체제를 놓고 자강론과 통합론으로 나뉘어 갈등을 겪고 있는 바른정당이 13일 조기 전당대회 개최보다는 비상대책위원장 체제 전환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바른정당 원외위원장 대다수가 '유승민 비대위원장' 체제를 원하고 있어서다.
김무성 의원 등 통합론자들의 반발이 막판 변수로 꼽히지만 뚜렷한 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유승민 비대위 체제에 힘이 실리는 양상이다.
1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바른정당 중앙당사에서 열린 국회의원-원외위원장 연석회의에 참석한 유승민 의원이 미소짓고 있다. <사진=뉴시스> |
바른정당은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국회의원·원외당협위원장 연석회의를 열고 '포스트 이혜훈 체제'를 논의했다.
전지명 대변인은 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오늘 21명의 원외위원장들의 발언이 있었는데 당 대표 권한대행 체제냐, 비대위냐를 놓고 다수의 위원장들이 당이 위기 상황인 만큼 비대위로 가야한다고 말했다"며 "비대위원장에는 유승민 전 대선 후보가 적임자가 아니냐는 의견이 다수였다"고 전했다.
김세연 정책위의장도 "유승민 체제에 대한 반발 의견은 그렇게 많지는 않은 것 같다"며 "의견이 수렴되는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바른정당은 이날 저녁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차기 지도체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간다. 원외위원장들은 의원총회에 참석해 유승민 비대위원장 체제로 가야한다고 의견을 전달할 계획이다.
막판 변수로는 김 의원을 비롯한 통합파 의원들이 '유승민 불가론'을 내세우며 버티는 경우가 꼽힌다. 통합파는 유 의원이 비대위원장이 되면 내년 지방선거 전에 자유한국당과의 보수대통합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파가 유승민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에 반대해 조기 전당대회를 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그 이유는 첫째 전당대회가 끝난지 채 100일도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는 점이다. 다시 전당대회를 열 경우 조직 피로도 증가·당내 갈등 노출이란 부정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당 살림이 빠듯한 바른정당으로선 전당대회에 들어가는 비용 또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둘째, 조기 전당대회를 치루더라도 당내 역학구도 상 유승민 대표 체제로 갈 가능성이 높다. 통합파가 조기 전당대회를 고집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을 뒷받침하는 결정적인 이유다.
셋째, 일각에서는 통합파가 집단 탈당하면서 제2의 분당 사태로 치달을 가능성을 제기하지만 탈당 명분이 뚜렷하지 않고,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한국당의 출당 결정도 내달 1심 재판 이후가 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현재 시점에서 분당 가능성은 높지 않다.
유승민 비대위원장 체제에 힘이 실리는 이유들이다.
[뉴스핌 Newspim] 조세훈 기자 (ask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