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세계 미술시장 '황색' 돌풍, 중국 현대미술 경매가 천정부지

기사입력 : 2017년04월27일 17:25

최종수정 : 2017년04월27일 17:52

중국 화단의 대표작가 장다첸,치바이스,우관중

[뉴스핌=이동현기자]‘중국 현대화가 미술품들이 피카소까지 밀어낼 기세로 전세계 예술품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중국 화가 장다첸(張大千)의 작품 거래규모가 글로벌 미술품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 미술시장에서도 중국발 ‘황색 돌풍’이 거세지고 있다.더불어 중국의 예술품시장은 2016년 기준 47억 9000만 달러로 전세계 38%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글로벌 최대 예술품 시장으로 부상했다.  

후룬연구원(胡润研究院)에 따르면 ‘2017 후룬 베스트 중국 예술가(2017胡润最畅销艺术家)’명단을 발표했고 중국 화단의 대가 장다첸(張大千),치바이스(齊白石)가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이 명단은 야창예술시장모니터센터(雅昌艺术市场监测中心)의 중국 예술가의 작품거래금액을 기준으로 선정됐다.

그 중 장다첸(張大千)의 작품거래규모는 전년동기대비 50% 증가한 약 23억 6000만위안으로 전세계 1위이자 중국 1위를 차지했다. 중국 산수화 대가 치바이스는 총거래규모 15억 위안으로 2위를 기록했다. 3위를 기록한 우관중의 작품거래는 전년동기대비 78%가 증가한 13억위안에 달했다.

◆ 중국예술의 혼을 떨친 대가 장다첸,치바이스,우관중   

세계 예술계가 주목하는 중국의 예술가 장다첸(張大千)은 중국 전통 서화 화풍을 가진 화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장다첸은 또다른 중국의 산수화 대가 치바이스(齊白石)와 더불어 중국 현대 회화사에서 전통파 화가로 분류된다.

장다첸은 1899년 쓰촨성(四川省) 네이장(內江)에서 태어났다. 18세 때 일본에서 미술을 배운 후 상하이로 돌아와 유명 서예가인 쩡시(曾熙)와 리단칭(李端淸)에게 전통화와 서예를 배웠다. 이후 상하이의 미술계에서 활발히 작품 활동중 1933년에 중국의 유명화가 쉬베이훙(徐悲鴻)의 추천으로 중앙대학 교수로 부임했다. 하지만 장다첸은 1년 만에 교수직을 사직하고 작품창작에 전념했다. 쉬베이훙은 ‘장다첸화집’에서 ‘오백년만에 나온 화가 다첸(五百年來一大千)’라는 표현으로 장다첸에 대한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장다첸의 작품은 중국 현대 미술작품가격의 바로미터 역할을 한다. 2009년에서 2011년사이 중국 예술품 시장이 활황을 보일 때 장다첸의 작품가격도 덩달아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2010년 베이징자더(北京嘉德) 춘계경매시즌에 장다첸의 작품 ‘아이헌후(爱痕湖)는 약 1억 위안을 팔려 당시 최고 가로 낙찰됐다.

2011년 홍콩소더비 경매에서 장다첸의 작품 ‘자어우투(嘉耦图)’는 1억 9000만 홍콩달러에 낙찰돼 수년간 최고 경매가 기록을 유지한다. 그 후 2016년 홍콩소더비경매에서 2억 7000만 홍콩달러에 낙찰된, 역시 장다첸 본인의 만년 작품인 ‘도원도(桃源图)’에 의해 기록이 갱신됐다.

장다첸의 인물화 및 장다첸사진<사진=바이두(百度)>

또다른 중국 전통화의 대가 치바이스(齐白石)는 제도권에서 미술 교육을 받은 사람이 아니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생계를 해결하기 위해 목공일을 했다. 타고난 예술적 감각과 꾸준한 노력으로 그림을 익혀 중국 현대 회화의 새로운 기풍을 만들어냈다. 중국 시골 마을에서 흔히 보는 작품 소재들은 친근감을 느끼게 한다.

2016년 치바이스(齐白石)의 작품거래규모는 15억 위안으로 총 688개 작품이 거래됐다. 그중 최고가로 낙찰된 작품은 1931년도에 그려진 산수화 모음집인 치척천애(咫尺天涯)가 베이징바오리(北京保利)경매에서 약 2억 위안에 낙찰됐다

후룬연구소 명단에서 3위로 선정된 우관중은 프랑스에서 유학한 최초의 중국화가로서 수채화 및 유화작품으로 널려 알려져 있다. 우관중은 서구풍의 유화 혹은 수채화를 그렸고 탁월한 작품으로 프랑스 정부로부터 문예훈장을 수상했다. 

우관중(吴冠中)의 유화 작품인 ‘저우좡(周庄)은 2016년 홍콩소더비경매장에서 2억 3600만 홍콩달러를 기록해 우관중 작품중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로써 우관중의 작품 저우좡(周庄)은 중국 현대 유화 작품중에서 최고가에 매매된 작품으로 기록됐다.

 2억3600만 홍콩달러에 낙찰된 우관중의 작품 저우좡<사진=바이두(百度)>

한편 2016년 글로벌 상위 10대 예술품 거래 리스트에 중국 예술가 4명이 포함됐다. 그중 장다첸(張大千)의 작품 885건이 거래돼 1위에 올랐다. 그 밖에 치바이스(齊白石), 우관중(吳冠中), 푸바오스(傅抱石) 등이 각각 3위, 4위, 9위를 기록했다.

치바이스의 작품 바이시아투(百虾图)<사진=바이두(百度)>

[뉴스핌 Newspim] 이동현 기자(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미중 관세협상, 명백한 중국의 승리"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협상에 대해 중국내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승리'를 거뒀다며 고무된 분위기다. 중국의 매체들은 13일 일제히 미중관세협상 결과를 보도하고 나섰다. 관영매체들은 '승리했다'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지만, 협상이 성공적이었다는 논조를 유지했다. 중국의 SNS상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중국이 승리했다는 반응 일색이다.  12일 미중 양국의 협상단은 스위스 제네바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추가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5년전인 2020년 1월 타결됐던 미중 관세협상 결과와는 차이가 크다. 당시 중국은 2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 구매할 것을 약속했고, 강도 높은 지재권 보호 ,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환율 투명성 강화 등을 보장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미국은 관세를 일부 인하했다. 하지만 이번 미중 관세협상에서는 양국이 모두 동등하게 115%의 관세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중국의 미국산 물품 구매나 시장개방에 대한 약속은 없었다. 양보 일변도였던 5년전과 달리 이번 미중 관세협상은 공평하고 평등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 매체 블룸버그는 "이번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었고, 미국은 끝내 양보했다"며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강대강 전술이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양국의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공동성명 발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서 거둔 중대한 승리이자 중국이 투쟁을 견지한 결과"라며 "미국의 무역 괴롭힘에 맞서 항쟁할 용기가 조금도 없는 국가들과 비교하면 이번 승리의 무게가 더 무겁다"고 논평했다. 광다(光大)증권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국제 무역 투쟁에서 패권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건하게 맞선 결과 단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가장 먼저 미국에 대등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국내적 국제적으로 대응조치를 내놓았다"고 덧붙였다. 자오상(招商)증권은 "중국은 미국과 공평하고 평등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호평했다. 이어 "중국은 우호적인 국가들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중국 경제의 대미 의존도를 낮췄고, 기술 진보와 군사력 확충 등이 이뤄졌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같은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여론이 지나치게 고무되는 것을 경계하는 논설기사도 나왔다. 신화사는 '중미 경제무역 회담이 세계 경제 압박을 낮추고 신뢰를 증진시켰다'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양국의 대화 재개는 기쁜 일이지만, 양국간의 의견 차이 해소는 복잡하고 어려우며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ys1744@newspim.com 2025-05-13 09:53
사진
대법 "대법원장 청문회 출석 곤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은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오는 14일 예정된 '사법부의 대선개입 의혹 진상규명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국회에 전달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12일 기자단 공지를 통해 "재판에 관한 청문회에 법관이 출석하는 것은 여러모로 곤란하다는 입장"이라며 "출석 요청을 받은 16명의 법관 모두 '청문회 출석요구에 대한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조희대 대법원장. [사진=뉴스핌DB] 앞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지난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서 무죄를 선고한 항소심 판결을 파기하고 유죄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했다. 민주당은 대법원이 이 후보 사건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심리·선고해 사실상 대선에 개입했다며 대법원장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7일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과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 등을 의결했다. 청문회 증인으로는 조 대법원장과 판결에 관여한 대법관 11명이 전원 채택됐으며 대법원 수석·선임재판연구관, 대법원장 비서실장, 법원행정처 사법정보화실장 등 판사들도 포함됐다.  shl22@newspim.com 2025-05-12 18: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