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전 신한사태 소회 밝혀…주총 장에선 결국 눈물
[뉴스핌=김연순 기자] "6년전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신한의 회장으로서 첫발을 내딛던 순간도 생생히 기억이 납니다.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저는 여러 가지를 구상했습니다. 첫 번째는 소위 신한사태의 후유증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옳고 그름의 차원을 넘어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23일 한동우 회장 이임사 중)
지난 1982년 설립사무국을 시작으로 신한금융에서 만 35년을 몸담은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이임식을 갖고 회장직에서 공식 퇴임했다. 한 회장은 2011년 신한생명 고문으로 있던 당시 신한 내분 사태로 수뇌부 3인방이 모두 물러난 신한금융그룹의 수장에 올랐다. 흐트러진 조직을 추스르는 게 급선무였다. 그는 취임 100일 만에 지배구조 개선책을 내놨다. 그룹사간 협업을 통한 WM과 CIB 등도 한 회장 주도로 신한이 처음으로 시도한 모델이다. 한 회장은 신한금융의 선봉장으로 6년 동안 신한금융을 리딩금융그룹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 |
신한금융그룹(회장 조용병)은 23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세종대로에 위치한 신한지주 본사 20층 대강당에서 회장 이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한동우 회장이 직원들로 부터 감사의 환송을 받고 있다.<사진=신한금융> |
한 회장은 신한을 떠나는 마지막 자리에서도 임직원들에 대한 애정과 함께 당부의 말도 잊지 않았다. 한 회장은 이날 신한지주 본사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신한은 그동안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개척하고 위기에 처해서는 일치단결해 일어서는 자랑스러운 전통을 가지고 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한 회장은 "최근 조직이 커지면서 지금의 자리에 안주하고 과거의 것을 답습하는 모습들이 조금씩 보인다"면서 "새로움을 추구하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그는 "기존 것에 의문을 품고 새로운 것에 호기심을 보이는 것은 고되고 힘든 일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노력들이 하나 둘 쌓이면 이것이 신한만의 차별성이 되고 이것이 신한이 앞서갈 수 있는 길이 된다"고 덧붙였다.
한 회장은 또한 '미래를 함께 하는 따뜻한 금융'이라는 신한의 사명을 강조했다. 그는 "세상이 빠르게 변하면서 금융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겠지만 그 본질은 결코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금융의 힘으로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신한의 꿈을 가슴에 품어달라"고 밝혔다.
한 회장은 이임식에 앞서 열린 신한금융 주총에서 그동안의 소회를 밝히며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이임식에서도 한 회장은 "새롭게 출범하는 신한은행에 합류한 이후 무엇에 홀린 것처럼 혼신의 힘을 다해 달려왔던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스쳐간다"며 지난 35년을 회고했다.
그는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저는 여러 가지를 구상했고 신한사태의 후유증을 치유하기 위해 이사님들과의 논의를 통해 투명하고 안정된 지배구조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어 "은행, 증권, 보험을 아울러 고객 중심의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영업 채널을 만드는 것이었다"며 "그룹사간 협업을 통해 WM과 CIB, 창조금융플라자 등 신한이 처음으로 시도한 모델은 이러한 고민의 산물이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한 회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게 미래 성장의 지향점을 설정하고, 한발 앞선 준비를 통해 그룹을 진화시키는 것이었다"며 "디지털, 글로벌 등 파괴적 혁신이 일어나는 분야에서 우리가 올바로 대처하지 않으면, 그룹이 도태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꼈기에 다른 무엇보다 역점을 두고 추진했다"고 회고했다.
신한은행과 증권의 복합점포 보델인 CIB그룹의 영업이익은 지난 2012년 약 300억원에서 지난해 약 870억원으로 급증했다. 신한지주는 지난해까지 9년 연속 업계 1위(당기순이익 기준)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한 회장은 퇴임 후 비상근 고문을 맡아 서울 광교의 신한은행 백년관의 사무실로 출근하게 된다.
[뉴스핌 Newspim] 김연순 기자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