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분기 이후 순채권국 유지
[뉴스핌=김은빈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순대외금융자산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외투자 규모가 1000억달러 수준의 증가세를 기록한 영향이 컸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16년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한국의 순대외금융자산은 2785억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년(2045억달러) 비해 740억달러 증가한 수치다.
순대외금융자산은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값으로 우리나라의 부채건전성과 대외 지급능력 규모를 뜻한다. 때문에 금융 기초체력을 가늠하는 잣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
<자료=한국은행> |
역대 최고치인 순대외금융자산의 배경에는 마찬가지로 역대 최고를 기록한 대외금융자산(대외투자)이 있다. 2016년말 기준 우리나라의 대외금융자산은 1조2397억달러로 전년말에 비해 958억달러 증가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증권투자(+673억달러) ▲직접투자(+202억달러) ▲기타투자(+123억달러)가 각각 증가했다.
문성민 경제통계국 국외투자통계팀 팀장은 “대외금융자산 증가는 주로 거래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상수지 흑자가 컸기 때문이다”라고 진단했다.
같은 기간 대외금융부채(외국인 투자)는 217억달러 증가한 9612억달러를 기록했다. 대외부채 증가는 지분증권을 중심으로 한 증권투자가 늘어난 데 영향을 받았다. 외국인의 증권투자가 전년대비 222억 달러 증가로, 증권투자 내 지분증권이 401억달러 늘어난 반면, 부채성증권이 179억달러 줄었다.
외국인의 직접투자는 54억달러 증가, 기타투자는 9억달러 감소를 기록했다.
한편, 지난해 말 한국의 대외채권은 전년보다 638억달러 늘어난 7843억달러로 연말기준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만기별로는 장기대외채권이 512억달러, 단기대외채권이 126억달러 늘었으며, 부문별로 보면 ▲기타부문(+501억달러) ▲예금취급기관(+93억달러) ▲중앙은행(+40억달러) ▲일반정부(+3억달러)였다. 기타부문은 보험사, 증권사 등의 기타금융기관과 비금융기업으로 구성돼있다.
외채로 불리는 대외채무 부문은 3809억달러로 전년말 대비 151억달러 규모가 감소했다. 만기별로는 부채성증권을 중심으로 장기외채가 160억달러 감소했다. 단기외채는 8억달러 소폭 증가했다.
문 팀장은 “외환건전성 측면에서는 좋지만, 대외부채가 줄었다는 점에서 외국인 투자자금이 줄었다고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게 한국의 당면과제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단기외채는 소폭 증가했지만 자산건전성은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보유액을 의미하는 준비자산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율은 28.3%로 전년과 동일했다. 대외채무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율은 27.6%로 전년말 대비 1.3%p 소폭 상승했다.
[뉴스핌Newspim] 김은빈 기자 (keb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