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출범이나 브렉시트 등과는 무관"
[뉴스핌=이영기 기자] 독일의 중앙은행이 분데스방크가 당초 일정보다 3년 앞당겨 해외보관 금괴를 본국으로 송환해 주목된다.
독일은 냉전시대 소련의 침공에 대비하기 위해 미국, 프랑스, 영국 등에 분산 보관하던 금괴 중 674톤을 2020년까지 본국으로 송환한다는 계획이었다.
![]() |
<출처: 블룸버그, 칼-루드비히 티일 분데스방크 집행위원과 금괴> |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독일은 지난해 미국과 프랑스에서 각각 111톤 및 105톤의 금괴를 본국으로 이송시켰다. 올해 프랑스에서 추가로 91톤을 옮겨오면 당초 일정 2020년보다 3년 앞당겨 금소환 계획을 완료하는 것.
금괴 본국송환 프로젝트는 소련의 침공 위험이 동서냉전이 종료됐을 뿐 아니라 어쩌면 금괴가 없을 수도 있다는 국민들의 우려를 씻어내기 위해 2013년부터 추진됐다.
독일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수출증가로 인한 경상수지 흑자를 당시 금본위제를 활용해 금보유량을 늘여왔다. 2016년 기준으로 독일의 금보유량은 총3378톤이다. 그 가치는 약 1340억달러에 달해 독일 GDP의 약 4%에 달한다.
올해 프랑스에서 91톤을 옮겨오면 독일은 총 보유량 3378톤의 50.6%인 1710톤을 자국에서 직접 보관하게 된다.
나머지 1668톤은 미국 뉴욕의 연방준비은행과 영국중앙은행에서 각각 1236톤 및 432톤을 대신 맡아 계속 보관한다.
분데스방크의 집행이사인 칼-루드비히 티일(Carl-Ludwig Thiele)은 "프로젝트를 앞당겨 완료하는 것이나 나머지 금괴 보관장소의 선택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발이나 브렉시트 같은 정치적 불확실성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