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4개 중 3곳 월세 신세…임대료는 계속 상승
[뉴스핌=한태희 기자] 소상공인이 내수경기 침체와 상가 월세 부담이란 이중고를 겪고 있다. 사람들이 지갑을 열지 않아 매출은 줄어드는데 상가 임대료는 다달이 내야 해서다.
28일 소상공인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소상공인 약 320만명이 상가 임대료를 포함한 고정비 지출로 고생 중이다. 상시 근로자가 5명을 밑도는 사업자(제조업·건설업 등 10명 미만)가 소상공인이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전국에 있는 소상공인 3000곳을 대상으로 한 '2016년 소상공인 비즈니스 활성화 실태조사' 자료를 보면 소상공인 4곳 중 3개는 월세로 사업장을 운영 중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보증금 있는 월세가 70.5%고 보증금 없는 월세는 2.9%다.
소상공인이 밀집해 있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을 보면 이 수치는 더 올라간다. 서울은 소상공인 10곳 중 9개(90.4%)가 월세 신세다. 또 경기는 소상공인 10개 중 8곳(83.6%)이 월세 사업장이다.
이는 수도권에 있는 소상공인의 상가 임대료 부담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도권 특히 서울 도심으로 올수록 상가 임대료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 |
수산시장의 한 소상공인 모습 /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
부동산정보 제공업체인 부동산114가 매분기마다 내는 보고서를 보면 지난 1년간 서울 상가 임대료는 23% 상승했다. 예컨대 서울에서 30평짜리 상가를 임대한 소상공인은 임대료로 월 62만3700원(270만2700원→332만6400원)을 더 내야 한다.
문제는 소상공인 매출이 갈수록 줄고 있다는 점이다. 소상공인연합회에 따르면 서울과 경기지역 소상공인 10개 중 6곳은 올해 월 평균 매출이 지난해보다 줄었다.
서울 대학로에서 두부 음식점을 운영하는 한 소상공인은 "임대료에 인건비, 재료비, 전기랑 수돗세처럼 기본 지출해야 하는 돈을 빼면 실제 쥐는 돈은 100만원이 조금 넘는 정도"라고 한탄했다. 서울 여의도에서 김밥과 라면 등을 파는 김 모씨는 "월 1800만원 정도 버는데 상가 임대료로 350만원, 서빙 아르바이트 직원 2명에게 줄 월급 300만원 등을 빼면 하루 14시간 일해도 한달에 200만원 벌기가 어렵다"고 했다.
[뉴스핌 Newspim] 한태희 기자 (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