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은행, 자본유출 경기부양 '진퇴양난'
미국 금리 세번 올리면 인민은행도 외면 못할 듯
<김학선 사진기자> |
[뉴스핌=강소영 기자] 미국의 금리 인상이 중국의 주식시장, 환율,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예상 외로 커지면서 인민은행의 통화정책이 시험대에 올랐다. 경기 부양과 환율 안정, 자본 유출 방어의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할 인민은행으로선 현 상황을 지켜만 볼 수도 그렇다고 섣불리 긴축 기조에 적극 가담할 수도 없는 진퇴양난의 상황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면 인민은행이 어쩔수 없이 금리 인상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전망도 확산되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자국 경제에 큰 타격을 입히지 않을 것이라는 중국의 입장과는 달리 15일 금리 인상이 단행 된 후 중국의 주식시장, 채권시장과 환율은 '3중 충격'에 시달렸다.
이날 중국 상하이지수는 0.73% 하락하며 반 개월래 최저치로 내려갔다. 선전성분지수와 창업판지수는 소폭 상승했다. 일부에서는 중국 A주가 금리 인상의 여파에 흔들리지 않고 비교적 선방했다는 평가를 내놓기도 한다. 그러나 위안화 가치 급락과 자본유출 등 영향으로 A주 앞날이 밝지만은 않다.
가뜩이나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위안화 환율도 금리 인상 후 평가절하 폭이 훨씬 확대됐다 . 15일 중국 외환당국이 고시하는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은 6.9289위안으로 2008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7위안 돌파도 코앞으로 다가왔다.
채권시장의 충격은 가장 컸다. 15일 장 개장 후 중국 5년물,10년물 국채선물 가격이 급락했다. 이날 하루 낙폭은 사상 최대치에 달하면서 주요 국채 선물거래가 중단됐다. 이날 10년물과 5년물 국채선물 가격은 각각 1.81%와 1.16% 하락했다. 중국 파생상품 거래 시작 후 최대 하락폭이다.
금리 인상의 여파가 '예상' 외로 커지자 중국 시장 내부에서는 인민은행의 금리 인상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라가면서 한때 금리 인상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이후 물가가 그다지 우려스러운 상황은 아니고, 경기 부양 필요성도 있어 금리 인상 가능성이 낮아지는 듯 했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 인상 후 주식, 환율, 채권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인민은행이 원치않아도 금리 인상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의견에 다시 힘이 실리고 있다.
중신증권은 미국 금리 인상 압박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인민은행이 가능한 빨리 손을 써야 한다고 역설했다. 변동환율제를 확립시키든지, 확실한 긴축 통화에 나서야 한다는 것. 금리 인상 카드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신은 미국 달러의 강세 속에 위안화 평가절하가 지속되고, 자본 유출도 한층 확대되면서 위안화 환율과 자본 유출이 상호 '자극'을 통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외환보유액도 7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고, 외국환평형기금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신증권은 2017년 미국이 금리 인상을 세 번 단행하면 중국 인민은행이 결국 '행동'에 나설 수 밖에 없다고 예측했다.
중국의 경제 전문지 남방재부망(南方財富網)도 내년 인민은행이 결국은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자본 유출 리스크가 위험 수위에 이르면 결국 금리 인상을 통해 위안화 가치 방어에 나설 것이라는 예측이다.
그러나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장차오(姜超) 해통증권(海通 하이퉁) 애널리스트는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충격이 점차 소화되면서 위안화 환율 상승(가치 하락) 압력도 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장차오 애널리스트도 위안화 환율이 향후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는 주요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것에는 동의했다. 2017년 하반기 미국의 금리 인상 전망이 고조되면 위안화는 또 다시 시험대에 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민은행도 아직까지는 '버틸 수 있다'는 입장이다. 섣불리 금리 인상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16일 인민은행 산하 매체인 금융시보(金融時報)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중국의 안정정 통화정책 기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제목의 보도로 시중에 확산되고 있는 중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부인했다.
금융시보는 중국의 통화 정책이 대외 환경 보다는 국내 경제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 대다수 경제 전문가들의 견해라고 밝혔다.
경제 반등 구간에 진입한 미국과 달리 중국 경제는 여전히 L자형 성장 구간에서 바닥권 탐색을 진행중이어서 금리 인상은 고려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중국처럼 경제 규모가 큰 국가의 통화정책은 국내 경제 상황을 우선 고려할 수 밖에 없고, 현재 중국의 경제 상황에선 안정적인 통화 정책 유지가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