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마켓

속보

더보기

[선강퉁시대] 외자가 선호하는 4대 바이주 선강퉁 테마주

기사입력 : 2016년12월05일 17:29

최종수정 : 2016년12월05일 17:29

4대 바이주 종목 평균 PER 22배

[뉴스핌=서양덕 기자] 바이주(고량주) 업종이 선강퉁 대표 수혜 섹터로 꼽히면서 선전증시에 상장된 4대 바이주 종목이 주목받고 있다.

5일 중국 경제전문 미디어 허쉰에 따르면 1선 바이주 기업 우량예(五糧液 000858.SZ)를 포함한 4대 유력 종목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홍콩 주식 시장에는 적거나 없는 희귀 업종으로 분류되는 바이주 업종은 관련 기업들의 성장성이 높고 현금유동성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선전증시 바이주 업종으로 대량의 자금 유입이 예상되고 있다.

<사진=바이두(百度)>

선전증시 대표 바이주로 가장 먼저 우량예가 언급되고 있다. 우량예는 구이저우마오타이(貴州茅臺 600519.SH)에 버금가는 중국 대표 명주(名酒)로 한때 마오타이와 양대산맥을 이루기도 했다. 그러나 산하 브랜드 난립과 허술한 브랜드 관리로 한때 주가가 마오타이의 3분의1 수준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현재 우량예의 PER(주가수익배율)은 20배로 주가는 35위안 내외다. 우량예가 선강퉁 유망종목으로 주목받는 또 다른 이유는 최근 수년간 고배당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우량예 주가는 배당시기가 가까워질수록 높아지는 흐름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진=바이두(百度)>

양허구펀(洋河股份 002304.SZ) 역시 선구퉁 인기 바이주 종목으로 꼽힌다. 양허구펀은 설립된 지 10년이 채 안 되는 바이주 기업이지만 우량예의 강력한 맞수로 언급되고 있다.

양허구펀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반부패 정책이 강화됐던 2014년 이후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현재 추세라면 오는 2018년까지 무난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양허구펀의 PER은 우량예보다 낮은 16배로 주가는 68위안 전후를 기록하고 있다.

루저우라오자오(瀘州老窯 000568.SZ)는 장기간 침체를 극복하고 올 들어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선강퉁 전체를 통틀어 유력 종목으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2월29일 루저우라오자오의 주가는 19위안선까지 떨어지며 바닥을 찍었지만 이후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며 12월 초 기준 33위안선, PER은 23배 수준이다. 올 3분기 루저오라오자오의 순익은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증가했으며 특히 이 회사 대표 상품 ‘궈자오(國窖)1573’은 연 목표 판매량을 이미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지막으로 선전증시 유력 바이주 종목으로 구징궁주(古井貢酒 000596.SZ 고정공주)를 들 수 있다.

구징궁주의 황허러우(黃鶴樓 황학루) 인수합병은 올해 바이주 업계 최대 이슈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황허러우는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 대표 바이주 기업으로 전국 주류품평회에서 2회 연속 명주로 선정되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매출 부진과 함께 올해 바이주 업계에 불어 닥친 인수합병 열풍으로 구징궁주에 인수됐다.

<사진=바이두(百度)>

현재 구징궁주 PER은 4대 바이주 종목 가운데 가장 높은 30배를 수준이다. 구징궁주의 주가 그래프는 루저우라오자오와 마찬가지로 올해 2월 이후 계단식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 중순 한때 주가가 소폭 하락하기도 했지만 9월 이후 반등해 46위안 내외를 기록 중이다.

한편 중국 A주에는 현재 19개 바이주 기업(상하이증시 9개, 선전증시 8개)이 상장돼있다. 이 가운데 마오타이와 우량예 등 1선 종목의 평균 PER은 20배, 2,3선 바이주 기업의 경우 25배 수준이다.

 

 

[뉴스핌 Newspim] 서양덕 기자 (syd@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돌연 취소된 '2+2 통상협상' 왜?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5일(현지 시각) 미국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미 2+2 재무·통상 협의'가 돌연 취소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 측이 한국 대표단에 '양해'의 뜻을 여러 차례 표명했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설명이지만, 외교상 결례에도 불구하고 협의를 미뤄야 했던 배경에는 한국 협상단을 길들이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오전 9시경 이메일로 미국 측으로부터 협의 취소를 통보 받았다. 이날 오전 구 부총리는 협의를 위해 미국으로 출발할 예정이었다. 당시 인천공항 대기실에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기재부는 이 같은 사실을 오전 9시 30분께 언론에 공개했고, 구 부총리는 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오전 9시 50분께 공항을 빠져나갔다. 이날 회의가 취소가 된 배경에 대해 기재부 측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긴급한 일정'에 대한 설명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측이 이메일을 통해 여러 차례에 걸쳐 사과 의사를 밝혔지만, 협상 관련 구체적 일정은 확정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미국과의 협상은 예정대로 진행된다. 김 장관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 등을, 여 본부장은 제이미스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각각 만난다. 하지만 양국 경제·통상 수장이 구체적 이유 없이 협의를 돌연 취소한 배경으로 한미간 협상이 난항을 겪은 것 아니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 20일 미국으로 출국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귀국할 예정이지만, 고위급 협상에 진전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 정부는 1000억달러(약137조원) 규모의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을 미국 정부에 제안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보다 먼저 관세협상을 타결한 일본 사례를 참고해 짠 전략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5500억달러(약 757조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약속하고 미국과의 상호관세 15%부과에 합의했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다만 한국 정부가 제시할 투자 규모에 미국 정부가 만족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댄 스커비노 백악관 부비서실장이 최근 소셜미디어(SNS) 엑스(옛 트위터)에 공개한 일본 대표단과의 협상 사진을 살펴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대미 투자액을 상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투자액이 나온다. 애초 일본이 제시한 투자액 4000억달러는 펜으로 그어져 있고, 그 위에 5000억달러라는 숫자가 써 있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일본의 대미국 투자액은 5500억달러라고 공개했다. 협상액보다 500억 달러가 높아진 셈이다. 촉박한 협상 일정을 무기 삼아 미국이 비관세 영역도 손보려는 의도가 아니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2025년 미국 무역대표부의 비관세 장벽 보고서(NTE)에서도 한국의 방산·통신·원전 분야를 지적했다. 박기훈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방산과 통신은 미국 기업의 진입 장벽이라는 측면에서 구조 개선에 대한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07-24 18:42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