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중국 세계 최대 재벌 배양국 우뚝 .'젊은 피' 세대교체 가속

기사입력 : 2016년10월17일 16:02

최종수정 : 2016년10월17일 16:02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부호 배출 최다 지역은 ‘광둥성’, IT 분야 두각
부호 연경화, 30대 젊은 부호 대거 등장

[편집자] 이 기사는 10월 14일 오후 5시42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배상희 기자] 중국이 세계 최대의 '부호 산실'로 성장하고 있다. 차이나머니의 위상 확대와 함께 중국 부호들은 해외시장으로 투자 반경을 넓히며, 전 세계 자본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제2의 왕젠린(王健林)과 마윈(馬雲)의 탄생이 주목되는 이유다. 

성장둔화 흐름도 거스른 중국…차이나머니의 ‘힘’

투자은행 UBS와 컨설팅업체 PWC가 13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억만장자 1397명의 총 재산규모는 5조1000억 달러(약 5775조원)로 전년보다 3000억 달러 줄었다. 전반적 경제성장둔화 속에 원유를 비롯한 벌크상품의 가격 하락, 달러 강세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국가별로는 지난해 미국이 47%나 줄었고, 아시아가 6%, 유럽이 3% 감소했다. 다만, 중국은 유일하게 전년보다 억만장자가 5.4%나 늘었다. 중국 억만장자들은 주로 과학기술(19%), 소비 및 소매판매(15%), 부동산(15%)에 종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210명의 억만장자가 새롭게 배출됐다. 중국은 전년대비 80명 증가했고, 기준에 부합되지 못한 40명이 순위에서 사라지면서, 전년과 비교해 40명의 억만장자가 새롭게 등장했다. 미국은 단 5명의 억만장자를 배출시켰다. 아시아에서는 3일에 한 명 꼴로 억만장자가 탄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시아 신생 억만장자의 절반 이상은 중국에서 배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장리쥔(張立鈞) PWC 중국금융산업관리자문파트너는 “중국 개혁 및 경제발전 과정에서 젊은 창업자들이 빠르게 성장하며, 부호층을 넓히고 있다”면서 “이는 중국 차이나머니 시장의 거대한 잠재력을 입증한 것”이라고 말했다.

조세프 스태들러(Josef Stadler) UBS 글로벌자산 담당자는 “비록 중국의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있으나, 거대한 자산 성장세가 눈에 띈다”면서 “과학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중국에서 수십명의 부호가 새롭게 배출되고 있다”고 말했다.

부자로 넘쳐나는 중국…최대 배양지 ‘광둥성’

중국 부자연구소인 후룬연구원(胡潤研究院)에 따르면 올해 5월까지 집계된 순자산 1000만 위안(약 16억8000만원) 이상의 중국 부호층은 총 134만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10.7%(13만명) 증가했다. 순자산 1억 위안(약 168억800만원) 이상의 억만장자는 8만9000명으로 전년대비 14.1%(1만1000명) 늘었다. 중국 부호층은 600만 위안 이상의 자산가를 기준으로 한다. 

순자산 1000만 위안 이상의 자산가를 가장 많이 배출한 지역은 광둥(廣東)성이었다. 광둥성의 1000만 위안 이상 자산가는 24만명으로 지난해보다 17.65% 급증했다. 베이징(北京)은 23만8000만명, 상하이(上海)는 20만5000명, 저장(浙江)성은 16만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들 4곳에서 배출한 1000만 위안 이상 자산가는 총 84만3000명으로 전체의 63%를 차지했다.

중국 자산가들은 예금저축(98%), 부동산투자(94%), 보험상품(95%) 등을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 자산가의 95%가 개인 생명보험을 가입하고 있었다. 보험비로 일인당 연평균 3만7000위안을 지출했고, 1000만 위안 자산가 134만명의 1년간 보험지출 비용은 470억 위안에 달했다.

중국부호 세대교체…’젊은 피’ 30대 부호 대거 등장

후룬연구원이 13일 발표한 ‘2016 중국 부호 순위’에 따르면 올해 자산규모 20억 위안 이상의 중국부호는 2056명이며, 179명의 억만장자가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올해 20억 위안 이상 부호 수는 3년 전과 비교해 배로 늘었고, 10년 전과 비교해서는 10배나 증가했다.

중국 대표 부동산개발업체 완다(萬達)그룹의 왕젠린 회장 일가는 총 자산 2150억 위안의 자산으로 3회 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 중국을 대표하는 IT계 거물인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과 텐센트(騰訊∙텅쉰)의 마화텅(馬化騰) 회장은 각각 2050억 위안과 1650억 위안의 자산을 보유해 그 뒤를 이었다. 

무엇보다 올해 부호명단에는 새로운 얼굴들이 대거 등장해, 중국 스타 부호층의 세대교체를 예고했다. 특히, 10위권에 새롭게 진입한 4명의 기업가가 조명 받고 있다.  

최대 ‘다크호스’로 떠오른 인물은 바오넝(寶能)투자그룹의 야오전화(姚振華) 회장이다. 1150억 위안의 자산을보유한 야오 회장은 지난해 중국 부호 순위에서 204위에 불과했지만 1년 사이에 재산이 9배로 키워, 4위에 이름을 당당히 올렸다.

중국 포털업체 넷이즈(網易∙왕이)의 딩레이(丁磊) 회장이 1000억 위안의 자산을 보유해 6위로 올라섰다. 중국 굴지의 부동산 재벌기업 헝다(恒大)그룹의 쉬자인(許家印) 회장이 780억 위안, 중국 대표 가전업체 메이디(美的)의 허샹젠(何享健), 허젠펑(呵劍峰) 부자가 780억 위안을 보유해 공동 10위에 올랐다.

아울러 100위권에 새롭게 이름을 올린 중국 게임제작사 완메이스제(完美世界)의 츠위펑(池宇峰) 회장과 가전업체 페이커전기(飛科電器)의 리가이텅(李丐騰) 일가 또한 주목된다. 이들은 각각 265억 위안과 220억 위안의 자산을 보유해 64위와 95위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이번 부호 명단에는 1980년대 출생한 30대의 빠링허우(80後) 자산가가 68명이나 포함됐다. 이는 전년과 비교해 12명 증가한 수치다. 그 중 21명은 자수성가형 창업가로 전년대비 5명 늘었다. 세계 드론(무인항공기) 시장의 70%를 장악한 DJI 창업자 왕타오(汪滔·36)와 중국 최대 차량호출 서비스업체 디디추싱(滴滴出行)의 청웨이(程維∙33) 회장 등이 대표적이다.  

 

[뉴스핌 Newspim] 배상희 기자(b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무원 당직제' 76년만에 전면 개편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1949년 도입된 공무원 당직 제도가 76년만에 처음으로 전면 개편된다. 무인 전자경비장치 등 도입 여부에 따라 재택당직을 적극 도입하고, 인공지능(AI) 민원응대 시스템도 도입된다. 인사혁신처는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한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24일 밝혔다. 당직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AI 당직 민원 시스템을 통한 신속한 민원응대가 이번 개정안의 핵심이다. 이번 개정안은 크게 재택당직 확대, 상황실 중심 당직 전환, 통합당직 운영, 인공지능 민원응대 도입 및 소규모 기관 당직 감축 등 4가지 측면에서 추진된다. 지방자치단체 당직근무 유형 예시[제공=인사혁신처] 우선 무인 전자경비장치와 통신체계가 마련된 기관의 경우, 인사처나 행정안전부와의 사전 협의 절차 없이 자율적으로 재택당직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 기존 2~3시간이었던 사무실 대기시간은 1시간으로 단축된다. 외교부, 법무부 등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는 기관은 기존 당직실 대신 상황실에서 당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당직 부담이 큰 기관은 인력 보강이나 인원 조정이 가능하게 했다. 같은 청사나 인접 지역에 위치한 여러 기관은 협의를 통해 당직 운영을 '통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전청사 내 8개 기관이 각각 1명씩 당직을 서던 기존 방식 대신, 앞으로는 3명의 통합당직 근무자가 8개 기관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야간이나 휴일에 전화 민원이 빈번한 기관에는 AI 당직 민원 시스템이 도입된다. 민원은 국민신문고로 연계하고, 화재나 범죄는 119·112 신고로 연결된다. 긴급 사안은 당직자에게 직접 연결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외에도 24시간 상황실 운영 기관의 일반 당직이 폐지되면 공무원들이 본연의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사처는 연간 약 169억~178억원 규모의 예산 절감 효과와 함께 356만 근무시간이 추가 확보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동석 인사처장은 "시대 변화에 맞지 않는 비효율적인 당직 제도는 공무원들의 불필요한 업무 부담을 가중하고 공직 활력을 저해하는 요인"이라며 "실태조사와 현장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 만큼, 공무원들이 업무에 더욱 집중하고, 국민에게 보다 질 높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11-24 12:00
사진
카카오톡 '친구탭'-목록형 중 택일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카카오톡의 대표 기능 중 하나인 '친구탭'이 다음 달부터 기존의 목록형 방식 UI(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다시 이용 가능해질 전망이다. 2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내부 테스트를 거쳐 다음 달 정식 업데이트에서 두 가지 UI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현재 적용돼 있는 소셜미디어형 친구탭과, 기존처럼 단순하게 친구 목록만 표시되는 목록형 UI 중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난 9월 경기도 용인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열린 'if(kakao)25' 컨퍼런스 현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기조연설을 통해 카카오톡 개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양태훈 기자] 당초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이달 안에 기존 UI 복구를 마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지만, 카카오는 안정성 확보 및 일부 기능 보완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업데이트 시점을 한 달가량 늦춘 것으로 전해졌다. 친구탭 개편은 지난 9월 23일 열린 개발자 행사 '이프 카카오(if(kakao)25)'에서 공식 공개됐다. 당시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는 "프로필이 단순한 정보 표시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과 일상을 담아내는 형태로 확장될 것"이라며 새로운 방향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개편 직후 사용자 불만이 급격히 늘었다. 피드 형식의 화면이 메신저 본래 기능과 맞지 않는다는 의견과 함께 광고 노출이 지나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실제로 개편 이후 카카오톡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이용자 평점이 1점대까지 떨어지는 등 서비스 신뢰도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이용자 불만이 이어지자 카카오는 결국 연내에 기존 UI를 되돌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 역시 이달 7일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이용자 의견을 바탕으로 친구탭 개편을 포함한 전반적인 서비스 개선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언급하며 기존 방향 수정 의지를 재확인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올해 4분기 내 목록형 친구탭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은 변함이 없다"라며 "이용자 편의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의견을 계속 수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wcn05002@newspim.com 2025-11-23 14:21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