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지수 ELS 발행량 1년새 1/30까지 위축
"투자자 상품 이해도 높이고 자정기능에 맡기는 방향 필요"
[편집자] 이 기사는 8월 17일 오전 10시29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박민선 기자] 금융당국이 주가연계증권(ELS)에 대한 규제 가능성을 공식화하면서 업계 분위기가 눈에 띄게 무거워졌다. 최근 위축세를 보이고 있는 ELS 시장에 상품 판매와 관련된 규제까지 얹어질 경우 자칫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반면 당국은 특정지수로의 쏠림 현상를 막고 투자자 보호장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규제의 향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각 증권사의 ELS 담당 실무자 등과 면담을 통해 시장의 현황과 대응 능력 등에 대한 현장점검을 진행 중이다.
이달말까지 진행하는 이번 점검은 오는 9월말로 예정된 금융위원회의 ELS 관련 규제 마련과 맞물린 조치여서 업계가 느끼는 부담은 크다. 금융위는 앞서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 숙려기간 도입과 판매규제 강화 방안 등을 마련해 투자자 피해를 방지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반면 업계는 불완전 판매 이슈 등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한 판매 절차 강화 필요성에 대해선 공감하면서도 발행량 관련 규제보다는 시장의 자율적 자정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건전한 성장을 위해서도 적합하다는 입장이다.
최근 1년간 홍콩H지수 기초자산으로 한 ELS 발행량 및 H지수 동향 그래프. <자료=한국예탁결제원> |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ELS 발행 규모는 올해 24조7221억원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60조5700억원 대비 무려 60% 가량 줄어든 상태. 이는 지난해 홍콩 H지수를 중심으로 쏠림현상이 확대되면서 당국이 발행량에 대한 규제를 도입한 데다가 브렉시트(영국의 유로존 탈퇴) 등으로 글로벌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된 데 따른 것이다.
실제 지난해 H지수에 대한 발행량 규제 이후 관련 ELS 발행량은 8월 현재 1459억원 규모로 쪼그라들었다. 전년동기(4조2640억원)와 비교한다면 무려 1/30 수준까지 위축된 셈이다.
하지만 당국은 유로스톡스지수를 중심으로 한 발행량이 여전히 높은 수준임을 지적하며 다양한 기초자산으로의 배분을 주문하고 있다. 유로스톡스(EUROSTOXX) 50지수 ELS 발행 규모는 1조2686억원 수준으로 올해 들어 꾸준히 1~2조원대 규모를 유지 중이다.
한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시장 변동성이 발생할 경우 감당할 수 있는 파급효과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시장 분위기가 이미 상당히 위축된 데다가 유로스톡스지수는 H지수 대비 글로벌시장에서 거래량이 훨씬 많아 동일선상에서 문제를 제기하기엔 맞지 않는 부분이 많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새로운 기초자산 개발 노력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지만 실제 적용 가능한 지수가 제한적이고 새로운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이 여의치 않은 게 현실"이라며 "리자드형을 비롯해 노낙인 상품 등 안정화를 꾀하고 있고 투자경험을 토대로 한 투자자들의 상품 이해도가 서서히 높아지고 있는 만큼 시간을 두고 시장의 자정기능에 맡기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동안의 선례에 비춰볼 때 당국 규제가 시장 성장을 저해하는 결과로 이어진 경험들이 적지 않았다는 점이 불안감을 키우는 부분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급격한 성장세 만큼 ELS 시장의 위축도 빨라지는 분위기에서 발행량에 대한 규제가 이뤄질 경우 제 2의 주가연계워런트(ELW)로 전락할 수 있다"며 "당국에서 우려하는 쏠림현상 역시 발행량 감소로 자연스럽게 완화되는 측면이 있어 투자자들에게 상품의 위험성을 제대로 이해시키고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에서 규제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금융감독원 자본시장감독국 관계자는 "향후 시장 전망에 따른 발생 가능 리스크와 특정지수를 중심으로 한 쏠림현상 등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포함해 현재까지 제기돼 온 이슈들에 대해 들어보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규제 방향과 범위를 고민 중"이라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박민선 기자 (pms071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