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장주연 기자] “나는 낙선재에서 오래오래 살고 싶어요. 전하, 비전하 보고 싶습니다. 대한민국 우리나라….”
영화 ‘덕혜옹주’는 역사가 잊고 나라가 감췄던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의 파란만장한 삶을 스크린에 옮긴 작품이다. 역사를 기반으로 한 권비영 작가의 동명 소설이 원작이 됐다. 하지만 먼저 짚고 넘어가자면, 이 영화는 원작과는 꽤 다른 색을 띤다. 전체적으로 흘러가는 방향은 같지만, 캐릭터의 비중이나 배치, 중심 사건의 축소와 확대 등을 통해 판이한 색을 내게 됐다.
간단히 이런 식이다. 소설에서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한 복순과 덕혜, 소다케유키와 덕혜, 정혜와 덕혜의 이야기를 최소화했다. 대신 김장한과 박무영(김장한의 또 다른 이름), 형 김을한의 캐릭터를 한데로 묶어 꽤 비중이 큰, 새로운 김장한 캐릭터로 탄생시켰다. 또한 영친왕 망명작전이란 사건을 만들어 전체 줄거리에 녹였다. 이 과정에서 고수가 열연한, 실존인물 이우 왕자가 등장하기도 한다. 허진호 감독은 이렇게 사실과 허구를 오간 동명의 소설에 자신의 상상력을 더했다.
놀라운 건 원작만큼이나 흡입력을 가지고 있다는 데 있다. 오히려 곁가지를 쳐내고 인물을 경중을 조절한 선택이 혼란을 줄이고 몰입도를 높이는 역할을 했다.
단순 민족 영화, 혹은 ‘국뽕 영화’(지나치게 애국심을 강조하는 영화)로 만들지 않았다는 것도 분명한 플러스 요인이다. 허 감독은 아픈 시대의 무게나 민족주의 감성에 의존하지 않았다. 그는 언제나처럼 사람과 사람 사이, 그리고 그들의 감정에 집중했다. 시대를 뛰어넘어 보편적인 공감대 형성을 끌어내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이 영화의 백미는 손예진의 열연에 있다. 손예진은 강인함, 처연함, 광기 등 덕혜옹주의 모든 감정을 오점 없이 그려냈다. 말로 형용할 수 없는 묵직하고 세련된 감정연기가 무엇인지 그는 몸소 보여줬다. 손예진의 연기는 단 한 번도 과잉되지 않으며, 다소 모순적일 수 있는 장면에도 설득력을 부여한다. 배우 손예진에 대한 일말의 의심까지 모두 사라지는 순간. ‘덕혜옹주’에서 손예진은 곧 덕혜고 덕혜는 곧 손예진이다.
물론 이외에도 의도치 않게(?) 또 한 번 여심 사냥에 성공한 박해일이나, 극에 크고 작은 웃음을 선사한 라미란, 정상훈의 연기도 눈여겨 볼만하다. 이들은 전형적인 묘사로 외면당할 수 있는 캐릭터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같은 맥락에서 윤제문의 부재는 두고두고 아쉽다. 만일 그가 사회적 물의(현재 윤제문은 음주운전으로 자숙 중이다)를 일으키지 않았다면, 제2의 염석진(‘암살’)이 되지 말라는 법도 없다.
덧붙이자면, 시작부터 우려를 낳은 역사 왜곡, 미화 문제는 여전히 갑론을박이 있을 수밖에 없다. 당연히 영화가 특정 대상을 옹호했다는 건 아니다. 다만 모든 게 그러하듯 보는 시각에 따라서 같은 장면이라도 다르게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역사적으로만 해석하고 단순 비난을 던지기엔 고된 삶을 견뎌낸 이 여인의 비애가 너무 깊고 크다. 12세 이상 관람가. 8월 3일 개봉.
[뉴스핌 Newspim]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