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산업

속보

더보기

중국도 ‘포켓몬 GO’ 신드롬, “텐센트 유사게임 출시 기대”

기사입력 : 2016년07월14일 17:28

최종수정 : 2016년07월15일 09:53

관련 AR 게임 봇물 전망, 닌텐도 중국서 포켓몬고 상표권 신청

[뉴스핌=이지연 기자] 증강현실(AR) 모바일 게임 ‘포켓몬 고(Go)’가 전 세계 게임 애호가들 사이에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마찬가지로 공식 출시대상국이 아닌 중국에서 포켓몬고 광풍이 불고 있다. 주식시장에서도 AR과 VR관련 종목 주가가 급등세를 보이는 등 '포켓몬 고' 열풍은 자본시장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포켓몬 고' 게임을 흉내낸 카피캣 게임이 중국 앱스토어 다운로드 수 1위를 달리고 있고, 게임 애호가들은 ‘중국판 포켓몬고’ 출시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포켓몬고 플레이 방법에 관한 글들은 ‘중국판 카카오톡’ 위챗(웨이신)에서 10만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현재 포켓몬고 다운로드는 물론 로그인에 필요한 구글 계정도 만들 수 없다. 앞서 2010년 구글은 중국과의 검열 갈등으로 모든 서비스를 철수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또한 중국에선 잡히지 않아 GPS 기반의 포켓몬고를 플레이할 수 없는 실정이다.

앞서 10일 포켓몬고는 공식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전 세계에서 포켓몬고를 서비스할 예정이지만 중국, 대만, 한국, 쿠바, 이란, 미얀마, 수단은 서비스 제외 대상국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소식은 중국 웨이보와 위챗 모멘트를 통해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게다가 중국에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버그까지도 이미 수정된 상태다.

포켓몬고 플레이 장면 <사진=바이두>

이에 중국 네티즌들은 카피캣 게임 개발의 대명사 텐센트가 중국판 포켓몬고를 출시하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SNS 웨이보 댓글창에 텐센트 회장의 이름 마화텅(馬化騰)을 도배하는가 하면, “텐센트의 서유기 버전 포켓몬고를 기대해보자”, “3개월 안에 ‘매일매일 몬스터 잡기’ 게임이 나올 것 같은데?”라며 포켓몬고 정식 서비스 불가에 대한 실망을 애써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중국판 네이버’ 바이두(百度)의 온라인 백과사전에는 이미 포켓몬고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 올라와 있는 상태다. 플레이어 설정부터 포켓몬 포획 방법, 각종 아이템 및 포켓머니, 포켓몬 진화, 맵(Map), 전투 시스템, 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포켓몬고 플러스’, 게임 리뷰 등에 관해 아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포켓몬고에 대한 중국인들의 강한 열망은 카피캣 게임의 대박으로도 여실히 증명된다. 위치기반서비스(LBS)에 기초한 소셜 게임 ‘시티몬 고(CITYMON GO, 城市精靈GO)’는 최근 중국 앱스토어 다운로드 수 1위를 기록했다.

지난 5일부터 시티몬고는 중국 앱스토어 게임 다운로드 순위에서 무려 728위나 상승, 지금까지도 1위를 수성하고 있으며, 앱스토어 다운로드 수만해도 이미 60만건이 넘는다. 시티몬고의 개발사는 2009년 설립된 탄위후둥(探娛互動)으로 알려졌다.

포켓몬 GO의 중국 카피캣 게임 '시티몬 GO', 중국 앱스토어 다운로드 수 1위를 달리고 있다. <사진=바이두>

한편 지난 6일(현지시간) 처음 출시된 포켓몬고는 현재 미국, 호주, 뉴질랜드, 독일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조만간 일본에서도 출시될 것으로 관측되지만 한국과 중국은 '미지수'로 남아있다. 하지만 14일 닌텐도가 중국에서 ‘포켓몬고’ 상표권을 신청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중국 지역 서비스 개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상황이다.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은 지난해 기준 71억달러(약  8조원) 규모에 달하는 거대한 시장으로, 전 세계 게임 개발사가 모두 눈독 들이는 지역이다.

아울러 중국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포켓몬고 열풍이 불면서 AR 게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폭되고 있다. 13일 중국증시에서는 AR 및 VR(가상현실) 테마주가 일제히 강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산업 자체로 봤을 때 중국에서 AR 게임은 아직까진 철저한 ‘마이너(비주류)’ 시장이다.  

천리뱌오(陳禮標) YOUZU.COM(遊族網絡) 최고운영책임자(COO)에 따르면, 중국에서 AR 관련 기업은 200여곳에 달하며 이중 대다수는 AR 게임을 이미 개발했거나 향후 개발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현재 수만 개에 달하는 중국 게임업체 중에 AR 게임 개발 비중은 1%도 채 안 된다. 게임 200~300개당 평균 1개가 AR 게임이라는 설명이다.

[뉴스핌 Newspim] 이지연 기자 (dela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