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금융위기보다 적어, 직원들 봉사는 2배 급증
[편집자] 이 기사는 07월 04일 오후 3시19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한기진 기자] “점점 봉사가 은행업무만큼 부담되네요.”
대형 시중은행에서 7년째 일하고 있는 김모 대리는 지난 6월에만 은행 사회공헌단체 일원으로, 근무하는 지점의 자매결연 마을로 세 차례나 봉사활동을 했다. 그는 “몇 년 사이 고아원 돌보기, 공부방 만들기, 학교 금융교육 등 봉사활동 횟수가 늘어나는 추세고, 최근엔 청소 같은 환경분야 봉사가 새로 생겼다”며 “은행이 수익이 늘지 않으니 사회공헌활동을 돈 대신 직원들이 몸으로 대신하라는 것 같다”고 했다.
실제로 은행의 사회공헌활동 지원 액수는 줄고 직원의 자원봉사 횟수는 늘었다.
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회원사(시중은행, 국책은행, 신용보증 및 기술보증기금, 주택금융공사 등)의 사회공헌활동 지원규모는 2015년 4651억원으로 글로벌 금융위기로 모든 비용을 줄였던 2008년 4833억원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이명박 정권 때부터 시작된 사회책임경영 확산 분위기를 타고 관련 지출이 꾸준히 늘었다가 갑작스레 꺾였다.
연도별 규모를 보면 2009년 5188억원, 2010년 5652억원, 2011년 6614억원, 2012년 6990억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다 2013년 6105억원, 2014년 5146억원으로 급감하더니 결국 작년에 4000억원대로 떨어졌다. 불과 3년 사이 40% 급감했다.
은행별로 보면 NH농협은행이 1014억원으로 가장 많이 줄었다. 다음으로 KB국민은행 535억원, 우리은행 542억원, 기업은행 543억원, 신한은행 440억, KEB하나은행 362억원, BNK부산은행 292억원, DGB대구은행 230억원, KDB산업은행 128억원, SC제일은행 58억원, 한국씨티은행 44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농협은행과 지방은행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은행이 2008년보다 감소했다. 당시 지원규모는 신한은행 1008억원, 우리은행 400억원, SC제일은행 60억원, 하나은행 631억원, 국민은행 898억원, 외환은행 256억원으로 작년보다 많았다. 반면 농협은행 675억원, 대구은행 132억원, 부산은행 159억원으로 작년에 더 늘었다.
반면 직원이 직접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횟수는 폭발적으로 늘었다.
작년 한해 사회공헌에 참여한 인원(1행사당 1인씩 계산)은 43만1613명으로 집계가 시작된 2009년 26만341명보다 17만명(65%) 늘었다. 2010년 28만명, 2011년 26만명 수준에 그쳤다가 2012년 35만명, 2013년 42만명, 2014년 43만명 등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사회공헌 지원 ‘돈’은 줄고 봉사 ‘인력’은 크게 늘어나는 반비례 현상이 빚어진 이유는 수익 감소가 결정적이다. 또한 눈에 보이지 않는 서민금융지원 비용도 있다.
은행권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009년에 5.76%를 시작으로 해마다 7.22%, 8.40%로 상승했다. 그러나 2012년부터 6.19%로 하락세를 타더니 2013년 2.69%, 2014년 4.05%, 2015년 2.08%까지 떨어졌다. 사회공헌에 대한 지출도 이런 흐름에 따라 감소했다.
사회공헌사업에 쓰일 돈이 그 규모가 커진 서민금융지원으로도 흘러갔다.
은행들은 이명박 정권 때 미소금융재단에 2012년까지 2555억원을 기부키로 약속했다. 또 신용회복기금에 2009년 6726억원을 출연했다. 이 밖에도 새희망홀씨, 바꿔드림론, 청년대학생햇살론 및 징검다리론 등에 지원했다. 이렇게 지원한 사회책임금융이 2014년 11조2850억원에 달했다. 지난해는 서민금융 수요 감소와 출자가 마무리되면서 7조7624억원으로 감소했다.
시중은행 사회공헌 담당 부장은 “은행들이 몇 년 사이 비용절감으로 그 규모가 줄어들었지만, 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에 13%로 역대 최고였던 2013년(15%)에 육박하는 점을 보면, 경영진들이 사회공헌사업 지출에 상당히 애를 쓴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한기진 기자 (hkj77@hanmail.net)